목차
1장 문제의식과 연구절차
1. 연구의 편재성, 정의, 특성
2. 연구에서 문제의식을 어떻게 정해야 하는가
3. 연구의 과정
4.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2장 학위논문 제목, 목차, 형식
1. 학위논문의 제목
2. 학위논문의 목차구성
3. 논문의 형식
3장 서론의 구성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3. 연구문제
4. 용어의 정의
5. 연구의 제한점
4장 이론적 배경의 구성, 진술방식, 문헌자료의 수집
1. 이론적 배경의 구성
2. 이론적 배경 진술방식
3. 문헌자료 수집방법
5장 연구모형, 연구설계, 변인설정
1. 연구모형
2. 연구설계
3. 변인설정
6장 표 집
1. 양적 연구를 위한 표집방법
2. 질적 연구를 위한 표집방법
3. 적정 사례수의 결정
4. 조사대상자
7장 자료수집 및 분석과정
1. 자료수집 절차
2. 분석과정
3. 자료수집 방법
8장 수집된 자료의 정리
1. 설문자료 코딩준비
2. 설문자료의 코딩
3. SPSS에서 자료 불러오기
4. 자료의 정선
5. 면접자료의 정리
9장 조사도구의 신뢰도의 타당도
1. 신뢰도와 타당도의 개념
2. 신뢰도의 종류
3. 신뢰도 검증방법
4. 타당도의 종류
5. 타당도 검정방법
6. 요인구성
10장 기초자료분석
1. 분포의 모양
2. 산점도와 상관계수
3. 빈도본석을 통한 분포파악
11장 범주형 분석
1. 교차분석의 개념
2. 두 변인 간의 관계에 대한 카이제곱 검증
3. 연관성 측도
4. 서열자료의 분석방법
12장 Z 검증과 t 검증
1. Z 검증
2. t 검증
3. 가설검증의 기초
13장 분산분석
1. 분산분석
2. 일원분산분석
3. 이원분산분석
4. 2요인 분산분석
5. 반복측정
6. 공분산분석
14장 상관분석
1. 상관분석시 관측사항
2. Karl Pearson 상관계수
3. 상관의 해석
4. 상관계수의 검증
5. 상관계수분석의 사례
6. 기타 상관계수
15장 회귀분석
1. 회귀분석의 기초
2. 회귀분석의 과정
3. 회귀방정식의 정립
4. 회귀분석의 기본가정
5. 회귀분석 기본가정의 사례
6. 분석결과의 해석
7. 회귀분석의 활용
16장 경로분서과 구조방정식모형
1. 경로분석
2. 구조방정식모형
17장 질적 자료분석
1. 질적 자료분석의 과정과 일반론
2. 코딩의 의의
3. 코딩을 통한 분석의 과정
18장 연구결과의 해석, 논의, 결론
1. 연구결과의 논의
2. 연구결과 해석에서의 오류
3. 논의
4. 요약 및 결론
5. 초록작성(한글, 영문)
19장 질적 연구와 연구의 통합적 사용
1.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차이
2.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혼용사례
3.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혼합적 사용에 대한 반대시각
4. 혼합사용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