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주관적/공감적 전통
이 시대에 치료자가 되는 것과 심리치료를 가르치는 것
책의 구성
제1장 사례이해와 심리치료의 관계
기본 전제들
전통적 정신분석치료의 목표
연구보다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사례이해
요약
제2장 면담에 대한 입문
내가 첫 면담을 진행하는 방식
결론적 논평
요약
제3장 변화가 불가능한 요인에 대한 평가
기질
직접적인 심리적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선천적 의학적 요인
외상 질병 중독에 의해 야기된 돌이킬 수 없는 뇌손상
변화시킬 수 없는 신체적 특성
변화시킬 수 없는 외부적 상황
지나간 성장과정
요약
제4장 발달적 문제의 평가
정신분석적 발달이론에 관한 논평
내담자 문제가 무의식적 갈등과 발달적 정체 중 어느 것을 나타내는지 평가하기
고전적 Freud학파 및 후기-Freud학파의 발달모델과 임상적 적용
요약
제5장 방어의 평가
방어를 평가할 때 치료와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
성격 또는 상황에 근거한 방어반응
방어 평가의 임상적 함의
요약
제6장 감정의 평가
전이 및 역전이 감정
정서적 문제가 주호소적인 경우
감정의 진단적 의미에 대한 평가
정서를 올바로 포착하는 것의 치료적 함의
요악
제7장 동일시의 평가
전이반응에서 나타나는 동일시
동일시, 함입, 내사 및 상호주관적 영향
동일시 이해의 임상적 함의
역동일시가 우세한 경우
민족, 종교, 인종, 문화 및 하위문화와 관련된 동일시
요약
제8장 관계양상의 평가
전이를 통해 드러나는 관계주제들
치료장면 밖에서의 관계주제
장기치료와 단기치료에서 관계양상이 지니는 함의
요약
제9장 자존감의 평가
자존감 문제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
자존감에 대한 정신분석적 관심
자존감 평가의 임상적 함의
요약
제10장 병리유발적 신념의 평가
병리유발적 신념의 특성과 기능
병리유발적 신념에 대한 가설 형성
병리유발적 신념의 이해가 갖는 임상적 함의
요약
맺음말
몇 가지 마지막 조언
부록: 계약서 견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