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의 목적은 사회사업의 이론과 지식을 발전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사회사업조사의 본질, 설계방안, 자료수집과 분석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첫째, 학생들이 조사와 사회사업실천과의 연계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둘째, 사회사업조사의 각종 개념을 이해하며, 셋째, 표본, 측정, 신뢰도, 타당도에 대한 원리와 각종 조사설계에 대한 장단점을 이해하고, 넷째, 유용한 통계적 방법과 각종 조사결과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궁극적으로는 학생들이 사회사업조사를 시행하는 접근방법, 기법, 논점을 이해하여 능력 있는 조사의 생산 및 소비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저서들과 비교하여 이 책의 장점은 일반 사회조사의 내용과 더불어 '사회복지조사'의 기본을 충실히 다루고 있는 점이다. 즉, 사회복지에서 중요시하는 인식론적 논의, 질적조사방법, 단일사례설계, 실험설계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다. 특히 임상조사에서 중요시되는 관계의 강도와 통계적 검증력에 대해 소개하였다. 더 나아가 사회사업실천의 핵심인 집단사회사업의 평가방법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또 학생들에게 조사논문이 어떻게 쓰이는지를 보여 주기 위해 다양한 논문의 실례를 소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