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현재 우리의 교육은 외형적으로는 사회의 여러 제도 가운데 남녀 평등이 가장 많이 이루어진 분야 중의 하나이지만, 그 내용 면으로는 아직도 전통적인 성차별주의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영역이기도 하다. 이 점에서 교육이론은 교육에서 성차별주의를 극복하는 노력에 관심을 가져야 하겠지만, 이와 함께 교육을 통해 사회 전반에 있어서의 성차별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문화를 형성하는 일에도 관심을 가져야만 한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페미니즘 교육사상을 다루고 있다. 전체 3부로 구성되었는데, 1부에서는 서구와 우리나라 여성운동의 역사와 페미니즘을 다루고 있고, 2부에서는 페미니즘의 이론적 유형과 페미니즘 교육론을 다루고 있다. 3부에서는 여성교육에 관한 전통적 논의 유형과 대안적 논의 유형을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