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교육공학 개론서로서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충실히 다루면서도, 최근 새롭게 주목 받는 영역들을 폭넓게 다루고 있어 수업 교재로서의 가치가 높다.
이 책이 기존의 개론서와 차별화되는 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기존 개론서에서 상대적으로 덜 다루어졌던 사용자 중심 디자인, 학습자 중심 디자인, 학습자 경험, 학습공간 설계 등의 주제를 독립된 장(章)으로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저자가 서문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이 책은 IEEE의 ‘Technical Committee on Learning Technology’에서 제시한 역량 체계를 기반으로 주제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제들은 엔지니어링적인 공학분야의 영향과 새로운 역량 개발을 위한 노력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이 책은 기존 개론서에서 주로 다루는 이론적 논의를 넘어서서 다양한 연구 방법론과 쟁점을 소개하고 있다. 그 예로 제7장의 사회연결망 분석, 제11장의 설계 기반 연구, 제12장의 설계 방법론 등은 교육공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과 관련 연구자에게 유용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