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역경을 극복하는 데 있어 핵심 가족 과정을 강화하기 위한 개입 및 예방에 대한 연구 기반의 가족 회복탄력성 틀을 제시한다. 또한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에 대한 최신 연구 및 발전된 활동을 포함하고 있으며, 위기와 회복탄력성에 있어 개인, 가족, 지역사회, 사회문화적, 영적 영향의 지속적인 상호 작용을 중시하는 다층적 발달 체계적 틀의 핵심 원칙을 제시한다. 위기, 트라우마, 상실에서의 회복; 실직, 이혼, 이주 등 혼란스러운 전환기의 대처; 질병, 장애, 지속적 트라우마, 빈곤 등의 만성적 상태로 인한 다중 스트레스 문제의 극복; 위험에 처한 청소년의 성공을 위한 장애물 극복 등 다양한 역경을 다루기 위한 프로그램 적용, 실천 지침 및 사례가 제시된다. 전쟁 관련 트라우마와 주요 재난 및 테러 공격으로 인한 집단 트라우마에 대한 회복탄력성 지향적 접근 방식의 확장된 내용도 포함되었다. 두 개의 장에서는 회복탄력성 지향적 가족 평가와 가족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혼란스러운 전환과 회복탄력성에 대해 다룬다.1부 1장에서는 실천을 위한 가족 회복탄력성 접근의 기초를 제시한다. 2장에서는 급변하는 세상에서 가족의 다양성과 복잡성이 증가하고 스트레스가 많은 힘든 도전들이 증가하는 추세에 주안점을 두고 가족 회복탄력성을 사회적 맥락에서 살펴본다. 2부에서는 효과적인 가족 기능과 회복탄력성을 촉진할 수 있는 핵심 상호작용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 결과와 실천 관점을 통합한다. 3부에서는 가족 회복탄력성 틀의 평가 및 실천 원칙과 프로그램 적용을 설명하고 예시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