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신라시대 불교 교육사
불교적 지(知)의 유통과 변용, 그리고 소비의 역사
저자 : 안경식
페이지 : 416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3,000원
  • 978-89-997-3492-2 93370
  • 2025-08-20
  • 신국판
  • 반양장

내용

신라시대를 ‘불교적 지식의 유통·변용·소비’라는 시각으로 새롭게 읽어내는 불교교육사 탐구서이다. 대만 정토불교 문화 체험에서 출발해, 귀국 후 30년간 축적한 신라 불교교육 연구를 한 권에 응축했다. 『삼국유사』를 구술문명의 관점으로 재해석하며, “교육사가 학교사”라는 통념을 뒤집는다. 붓다를 ‘최초의 교육자’로 보고, 번역·강설·독송·필사로 이어진 지식 유통의 거대한 흐름을 추적한다. 원효와 학승, 왕실의 강회 문화까지—신라의 ‘현지화’ 성공이 오늘 우리의 배움과 문화에 남긴 의미를 밝혀내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불교교육의 서막

고구려의 불교 전래
순도의 교화
백제의 불교 전래와 마라난타
신라의 불교 전래와 묵호자
또 한 사람의 불교 전래자 아도화상
신라 최초의 사찰, 홍륜사
가야불교의 전래
가락국의 불교 설화와 교육
‘1세대’ 불교교육의 교사
법홍왕의 공적


제2장 불교교육의 기초를 놓은 사람들: 신라의 유학승

불교 발전의 인적·물적 기반
최초의 유학승 각덕
양나라의 불교
안홍법사와 지명법사
서학의 길을 연 원광
원광의 불교 수학과 수행 과정
신라에서 가르침을 편 원광
신라십성 안함의 유학
도당유학승과 입학승
인도로 유학을 간 승려들
신라 구법의 유학의 교육사적 의의


제3장 고승과 불교교육(1): 자장

불교교육사의 탐구 대상으로서 고승
원력 소생의 인물, 자장
출가 인연과 사서(史書)의 학습
출가 이후의 불교 학습으로서 수행과 수계
중국에서의 수행과 교화
종남산과 청량산에서의 수행
자장의 교육적 인간상으로서 문수보살
문수보살과 『화엄경』
자장의 삶과 문수보살
귀국 후의 교화 행적: 계율의 스승으로서 자장
자장정율과 그 불교교육적 의미
계율 학교로서 통도사의 건립
자장의 최후의 가르침


제4장 고승과 불교교육(2): 원효

원효의 시대
원효의 스승
입당 유학의 시도와 좌절
원효의 깨달음과 『대승기신론』에서 보는 마음
깨달음의 과정
원효철학에서 앎의 의미
저잣거리의 교육자, 원효


제5장 고승과 불교교육(3): 의상

의상의 가계와 출가
입당 수학
귀국 후 낙산사의 창건
태백산 부석사의 창건
강사 의상의 교육실천
부석사에서의 강의
황복사에서의 강의
태백산 대로방에서의 강의
소백산 추동에서의 강의
세미나 방식의 연구와 강의
의상의 제자
에 나타난 의상의 교육 사상
환본(還本)의 교육론
‘내 몸’ 교육론
의상의 영향과 화엄대학


제6장 고승과 불교교육(4): 진표

진표의 시대와 가정 배경
출가와 스승 숭제법사
진표의 수행
진표의 어별 교화, 짐승 교화
제자 양성


제7장 아미타신앙과 불교교육

신라인의 아미타사상 관련 저술
원효의 아미타사상
불교적 지의 소비자로서 민중
광덕 엄장 설화에 나타난 아미
광덕의 노래, 「원왕생가」
16관법
왕생의 방법, 왕생인
성속 이분법의 타파
욱면비 설화에 나타난 아미타신앙
아미타신앙이 배경이 된 「제망매가」
신라 사회에서 아미타신앙이 성행한 이유
아미타신앙이 신라의 교육 문화에 끼친 영향


제8장 미륵신앙과 불교교육

미륵신앙과 미륵사상
신라 고숭의 미륵 관련 저술과 원효의 미륵사상
고구려와 백제의 미륵신앙
신라의 미륵신앙
석미륵과 미륵보살반가상
미륵신앙이 신라의 교육 문화에 끼친 영향


제9장 관음신앙과 불교교육

관음신앙의 성립과 전개
고구려와 백제의 관음신앙
고난의 구원자로서 신라의 관음신앙
백률사 관음보살상
중생사 관음보살의 교화
십일면관음신앙과 경흥 설화
「도천수관음가」와 천수관음신앙
관음보살의 19웅신
조신설화와 교육미디어로서 꿈
교육미디어로서 신라의 관음상
관음신앙이 신라의 교육 문화에 끼친 영향


제10장 화엄신앙과 불교교육

동아시아의 화엄사상
『화엄경」의 성립과 한역(漢譯) 과정
『화엄경』의 신라 전래 과정
신라의 화엄 관련 저술들
신라 중대, 경덕왕대의 화엄사상
연기법사의 「화엄경」 사경
돌을 대상으로 강의한 승전
신라 하대의 화엄결사
화엄 사찰의 건립과 화엄사상의 전개


제11장 강경 의례와 불교교육

신라의 각종 불교 의례
국가 차원의 강경 의례: 백좌강회
신라의 백좌강회
백좌강회의 실제
적산법화원의 강경 의례
『법화경』강의 의례
적산원 강경 의례
일일강 의례
개강 의례
강설 의례
회향 의례
강경 의례의 교육적 의의


제12장 신라 하대 불교교육의 새바람: 선사들의 수행, 수학의
역사

선불교 도입의 의의
하대의 불교 상황
하대의 주요 선사들과 정치 상황
선사들의 가계와 가정 환경
선사들의 태몽과 태교
선사들의 아동기 생활
선사들의 출가 인연
선사들의 수학과 수행 과정
선사들의 스숭
입당 전과 후의 선사들의 수행과 학습


제13장 신라 하대 불교교육의 새바람: 선사들의 교화와 산문의
형성

붓다의 삶과 선사들의 삶
법랑선사와 신행선사의 교화
도의국사, 염거선사, 보조선사 체징과 가지산문
진감선사 혜소와 쌍계산문
적인선사 혜철의 동리산문
낭혜화상 무염의 성주산문
통효대사 범일의 사굴산문
증각대사 홍척과 수철화상의 실상산문
철감선사 도윤과 징효대사 절중의 사자산문
지증대사 도헌과 봉종대사 긍양의 희양산문
신라 하대 선사의 교화의 특징
화엄불교과 선불교의 교차점
신라 하대 교육 방법의 변화
스승과 제자의 선문답
선문답 이외의 교육 과정
선불교 교육시스템의 유통과 정착
불교적 지의 유통과 변용 그리고 창조

맺음말: “감통은 신라시대 불교교육사의 말후구(末後句)”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로그인 후 확인하실 수 잇습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