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추천 서문
저자 서문
1장 개념 기반 언어 교수 및 학습의 구조
개념 기반 언어 교수와 학습의 구조
지식의 구조
과정의 구조
과정에 대한 전이 가능한 이해를 개발하는 개념의 예시
언어교육과정의 설계 과정에서 ‘지식의 구조’와 ‘과정의 구조’ 간의 관계
CBCI 모델은 어떻게 의미 있는 개념 기반 언어교육을 지원하는가?
2장 개념 기반 교육과정 설계, 단원 계획 및 외국어 교육
자주 채택되는 언어교육과정의 구조를 돌아보며
용어 정리: 교수요목 vs 교육과정
개념 기반 외국어 교육과정의 지향점
개념 기반 언어 환경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탐구 단원 계획하기
주의: 개념에 대한 인식이 있다는 가정은 하지 말자
탐구 단원 계획을 위한 단계
개념 기반 언어교육을 위한 탐구 단원 계획서
주요 내용(contents) 및 주요 기능(skills)
교수 및 학습 과정
평가
단원의 마무리
3장 개념 기반 외국어 교수 및 학습
청소년을 가르칠 때는 무엇이 달라지는가?
탐구 단원의 교수 및 학습 과정
개념 기반 언어교육의 원리
교수 및 학습 과정을 위한 기반 준비하기
‘개념’ 소개: 입문 시나리오
개념과 듣기 과정의 개발
개념과 읽기 과정의 개발
개념과 산출물 중심 과정의 개발
교수 전략을 모델링하는 학습 시나리오
학생이 개념적 이해에 도달하도록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가?
이해의 통합
4장 개념적 이해의 평가를 위한 시스템
진전 및 통제(progress and control)
학습 과정의 다양한 단계에서 학습은 어떤 모습을 띠는가?
GRASPS
RAFTS
사례 1: 외국어로서의 스페인어 학습의 첫 번째 단원
단원의 총괄 과제에 대한 평가 루브릭
사례 2: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학생을 위한 단원
단원의 총괄 과제에 대한 평가 루브릭
전이하기
시나리오 1: 학습 경험을 사용하여 개념 간의 관계 이해를 시도하기
시나리오 2: 개별 면담(conference)
시나리오 3: 개념적 지식은 다양한 맥락에 적용될 때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
5장 결론
6장 자료
자료 A: 교육과정 지도(curriculum map) 예시
자료 B: 단원 계획서 샘플(초급 수준 마무리 단계)
자료 C: 단원 계획서 샘플(중하급 수준, lower intermediate level)
자료 D: 개념적 이해를 연습하기 위한 전략의 예시
자료 E: 문법에 대한 탐구를 가능하게 하는 학습 루틴 설계
자료 F: 개인적 성찰 도구
자료 G: 토픽 및 시제에 따라 사용 가능한 텍스트
추천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