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은퇴상담의 이론과 실제
저자 : 김봉환, 이영란, 김은희, 김이준, 김효정, 방혜진, 육정원, 이민아, 정희숙, 주수현
페이지 : 464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6,000원
  • 978-89-997-3525-7 93180
  • 2025-09-25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중장년의 조기 퇴직, 경력 전환, 자영업 실패, 자발적 퇴사 등 다양한 형태의 은퇴가 일상화되면서, 우리는 누구나 은퇴를 마주할 수밖에 없는 시대를 살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은퇴상담’의 필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은퇴상담은 진로상담이나 노인상담, 생애설계교육 등에 부분적으로 통합되어 있을 뿐, 독립적인 전문 분야로서의 정체성과 체계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실정이다. 『은퇴상담의 이론과 실제』는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기획되었다.제1부 ‘은퇴상담의 기초’에서는 은퇴상담의 전반을 아우르는 개요와 은퇴상담이 다루어야 할 주요 영역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은퇴상담의 전반적인 윤곽과 접근 틀을 제시한다.제2부 ‘은퇴상담의 이론’에서는 은퇴 관련 주요 이론을 서술하고, 생애발달이론을 통해 인간의 전 생애적 변화 속에서 은퇴를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진로상담이론을 기반으로 은퇴 전후의 진로전환과 의미 재구성을 조망한다.제3부 ‘삶의 맥락과 은퇴 유형’에서는 먼저 생애단계별 은퇴의 특성과 과제를 다루었고, 이어서 성별에 따른 은퇴 경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상황적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은퇴 유형을 분류하여 상담 개입의 차이를 구체화하였다.제4부 ‘은퇴상담의 기법과 도구’에서는 상담기법 전반을 은퇴 상황에 맞게 정리하고, 은퇴상담에서 활용 가능한 진단도구와 측정도구를 소개하였다. 아울러 은퇴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공공정보 및 지원체계를 정리하였고, 실제로 활용 가능한 은퇴상담 프로그램의 구성과 사례를 제시하였다.제5부 ‘은퇴상담 과정별 개입 방법’에서는 먼저 은퇴상담의 일반적인 진행과정을 설명하고, 이어서 그 과정별로 실제 상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 전략을 제시하였다.제6부 ‘은퇴상담의 동향과 과제’에서는 은퇴상담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을 정리하고, 이어서 향후 한국 사회에서 은퇴상담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를 조망하였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은퇴상담의 기초

제1장 은퇴상담 개요
1. 은퇴의 의미
2. 은퇴상담의 의미
3. 은퇴상담의 목표
4. 은퇴자의 고민사항
5. 은퇴 및 은퇴상담 현황
6. 은퇴상담자의 역할과 태도 및 역량

제2장 은퇴상담 영역
1. 은퇴상담의 다차원적 접근과 영역
2. 은퇴상담의 세 가지 주요 영역

제2부 은퇴상담의 이론

제3장 은퇴이론
1. 은퇴를 ‘사건’으로 보는 관점
2. 은퇴를 ‘역할’로 보는 관점
3. 은퇴를 ‘과정’으로 보는 관점

제4장 생애발달이론
1. 생애주기이론
2. 전환이론
3. 성공적인 노화이론

제5장 진로상담이론
1. 직업적응이론
2. 사회인지 진로이론
3. 우연학습이론
4. 진로구성주의 이론

제3부 삶의 맥락과 은퇴 유형

제6장 생애단계와 은퇴
1. 초기 성인기(20~40세)
2. 중년기(40세~60대 중반)
3. 노년기(65세 이후)

제7장 성별 및 가구 형태와 은퇴
1. 성역할 사회화와 은퇴
2. 성별에 따른 은퇴 경험
3. 가구 형태와 은퇴적응
4. 상담 적용의 시사점

제8장 상황적 특성과 은퇴
1. 은퇴준비
2. 은퇴에 대한 기대와 자발성
3. 개인적 특성과 은퇴
4. 사회적 특성과 은퇴

제4부 은퇴상담의 기법과 도구

제9장 은퇴상담 기법
1. 내담자와 관계 형성을 위한 은퇴상담 기법
2. 내담자의 특성 파악을 위한 은퇴상담 기법
3. 목표 설정을 위한 기법
4.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기법

제10장 은퇴상담 관련 척도
1. 은퇴적응 관련 척도
2. 은퇴준비 관련 척도
3. 은퇴 정서곤란 척도
4. 퇴직 관련 척도
5. 진로 관련 척도
6. 기타 척도

제11장 은퇴자 지원을 위한 정보
1. 은퇴자 지원을 위한 제도와 정책
2. 은퇴자 지원 기관 및 사이트

제12장 은퇴상담 프로그램
1. 은퇴상담 프로그램의 개요
2. 은퇴상담 프로그램 유형 및 주요 내용
3. 은퇴상담 프로그램 사례

제5부 은퇴상담 과정별 개입 방법

제13장 은퇴상담의 일반적인 과정
1. 내담자 맞이하기
2. 내담자 이해와 상담 개입하기
3. 상담 후기

제14장 은퇴 단계별 상담 개입 전략
1. 은퇴준비 상담
2. 은퇴 결정 상담
3. 은퇴적응 상담

제6부 은퇴상담의 동향과 과제

제15장 은퇴상담 연구 동향
1. 은퇴적응 연구 동향
2. 은퇴요인 동향
3. 은퇴 척도 및 프로그램 개발
4. 은퇴 만족도 연구 동향
5. 은퇴준비 연구 동향
6. 은퇴 정책, 제도, 연구 및 기타 연구 동향
7. 논의

제16장 은퇴상담의 과제와 전망
1. 변화하는 은퇴환경
2. 은퇴상담의 과제
3. 은퇴상담의 전망

[부록] 은퇴자 지원 관련 사이트 목록

찾아보기

저자 소개

로그인 후 확인하실 수 잇습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