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모든 학생을 위한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교수 실제를 다루고자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습니다. 우선 통합교육의 개념 및 동향(Part I)에서는 통합교육 현장의 다양한 학습자와 통합교육 시대의 특수교육의 모습을 살펴보고(1장), 통합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주요 쟁점, 최근 동향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2장). 모두를 포함하는 학교문화 및 체제(Part II)에서는 장애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과 장애이해교육을 위한 실행 방법(3장), 그리고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문화와 리더십의 중요성을 토대로 학교 내외의 협력체계(4장)를 설명합니다. 모든 학생을 위한 교수 설계 및 지원(Part III)에서는 다양한 학습자를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 및 테크놀로지에 대한 이해와 적용(5장), 일반교육과정 접근의 중요성과 이를 위한 교육과정 수정 및 교수 실제(6장), 통합학급 수업지원을 위한 협력교수의 이해와 적용 방법(7장)을 다루고 있습니다. 사회적 관계 맺기와 긍정적 행동지원(Part IV)에서는 사회성 및 의사소통 지도를 위한 다양한 교수 실제(8장)와 행동문제 중재를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이해와 적용 방법(9장)에 대해 살펴봅니다. 나아가, 통합교육 현장의 쟁점 및 향후 과제(Part V)에서는 학교급별 통합교육의 현황 및 특징과 전환교육 실제(10장) 그리고 미래 통합교육의 주요 쟁점 및 과제(11장)를 다루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