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총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제1장 ‘아동복지의 기초’에서는 아동의 개념, 아동복지의 개념과 의의, 전제 조건, 그리고 주요 원칙을 다루었다.제2장 ‘아동의 권리’에서는 아동권리의 기초 개념,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주요 내용, 한국의 아동권리, 그리고 아동복지실천에서 아동참여 증진 방안을 살펴보았다.제3장 ‘아동의 발달’에서는 아동발달이론의 흐름과 함께 아동의 신체적·언어적·인지적·사회적 발달단계와 각 영역의 주요 특성 및 이상 발달 조짐을 알아 보았다. 제4장 ‘아동복지의 변천과정’에서는 외국의 아동복지 변천과정 및 한국의 아동복지 역사와 주요 제도 형성과정을 고찰하고 향후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제5장 ‘아동복지 대상과 서비스 분류’에서는 아동복지의 대상, 보호대상 아동의 유형과 특성, 서비스 분류 기준 및 현황을 살펴보았다. 제6장 ‘아동복지 정책과 관련법’에서는 아동복지 정책의 개념과 원리, 정책 현황과 아동복지 근거법, 집행체계를 살펴보았다. 제7장 ‘아동복지 실천과정과 기술’에서는 개입과정별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실천기술, 개인·집단·가족대상 실천에서의 주요 과업을 제시하였다. 제8장 ‘빈곤아동’에서는 빈곤 및 아동 빈곤의 개념, 아동 빈곤의 원인, 실태, 관련 정책을 살펴보았다. 제9장 ‘장애아동’에서는 장애아동의 정의, 현황, 욕구, 제도 및 향후 과제를 다루었다. 제10장 ‘위기아동’에서는 위기아동의 유형과 함께 가정 밖 아동·청소년, 가족 돌봄 청소년, 비행·범죄 아동·청소년을 살펴보았다. 제11장 ‘아동 안전 및 건강’에서는 아동의 안전사고, 재난, 실종과 건강, 결식, 디지털 환경 및 중독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12장 ‘아동돌봄’에서는 돌봄서비스의 개념, 유형, 현황과 과제 및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소개하였다. 제13장 ‘아동학대와 아동보호서비스’에서는 아동학대의 개념, 원인, 결과, 실태와 관련 법·제도 및 예방 대책을 살펴보았다. 제14장 ‘아동시설보호’에서는 아동보호체계와 시설보호의 현황, 자립준비청년 관련 서비스와 과제를 다루었다. 제15장 ‘가정위탁과 입양’에서는 두 제도의 역사, 정의, 대상, 유형, 제공절차와 함께 주요 쟁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