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추천사
윤리적 고려(면책 조항)
제1장 정신화하기
쿨라의 기록
케이트의 기록
정신화하기 개요
제2장 정신화 기반 미술치료의 배경, 목표, 그리고 적용
선행 연구자들
이미지의 역할: 함께 정신화하기
정신화하는 미술치료사
인식론적 신뢰 구축
건강 생성 촉진
회복탄력성 개발
행위주체성과 연결 촉진
공감 촉진
비정신화하기
제3장 메닝거, 미술치료, 그리고 컴퍼스 프로그램
메닝거 클리닉에서의 미술치료 발전사
청년 대상 컴퍼스 프로그램 개요
컴퍼스 프로그램 환자의 특성
컴퍼스 프로그램 치료팀
컴퍼스 프로그램 구조
정신화하기를 촉진하는 창의적 집단 개입
제4장 초기 성인기, 정신화하기, 그리고 미술치료
초기 성인기 단계 설정
초기 성인기 모델의 발전
초기 성인기의 주요 특징
정신건강 치료 접근성
정신건강 문제
회복탄력성
애착과 개별화
사회적 인지 발달
정신화하기의 필요성
제5장 정신화 기반 집단미술치료
정신화 기반 집단미술치료의 개발
집단 구성원
위치 및 환경
집단 시작
작업 단계
이미지 다루기: 시각적 은유를 통한 정신화
집단 마무리
사후 논의
인계
비구조화된 집단
구조화된 집단
제6장 자기, 타인, 그리고 관계를 정신화하기
초기 성인기의 애착
정신화 기반 미술치료와 애착
미술 작업 주제: 타인과의 관계
미술 작업 주제: 자기와의 관계
미술 작업 주제: 애착 관계 및 단절과 회복
제7장 마음을 정신화하기
마음에 대한 마음챙김의 이해
미술 작업 주제: 마음의 풍경
다양한 관점 이해
미술 작업 주제: 조각상 그리기
미술 작업 주제: 반응 작업
제8장 치료와 그 이후의 정신화하기
치료를 위한 핵심 문제 구상
미술 작업 주제: 정체된 상태
미술 작업 주제: 무엇이 방해가 되는가
행위주체성
미술 작업 주제: 삶을 책으로
희망 유지
미술 작업 주제: 희망 유지
희망에 대한 글쓰기(그리고 나아가기)
제9장 이미지의 삶
정신화하는 치료팀
치료팀의 정신화하기 실패
우리 말만 듣지 말고, 우리보다 덜 편향된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 보라
집단 과정의 생명력
결론
참고문헌
추천 도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