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첫째, 이 책은 확률이론보다는 추론통계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쓰여진 책이다. 둘째, 이 책은 추론통계를 위한 자료분석기법 가운데 초급 자료분석기법의 원리를 사회복지라는 맥락 속에서는 가능한 한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쓰여진 책이다. 본 저자가 이 책을 쓰면서 염두에 두었던 주된 독자층은 ‘궁극적으로는 중급 및 고급 자료분석기법을 접하게 되겠지만 그에 앞서 초급 자료분석기법의 원리를 이해하고자 하는 사회복지 분야의 연구자와 실천가’이다. 셋째, 이 책에는 독자들로 하여금 자료분석의 원리를 좀 더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려는 목적에서 사회복지 분야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통계 소프트웨어 사용법이 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 책은 여전히 자료분석의 원리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왜냐하면 자료분석기법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과 자료분석 프로그램의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 어떤 이유에서든 동일시되어서는 안 되며, 그런 동일시가 사회복지학 연구자들 사이에서 사라지지 않는 한 사회복지학이 새로운 지식을 생산해 내는 학문으로서 발전하기는 좀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다음 세대 학자들 중에서 누군가는 중급 또는 고급 자료분석기법의 원리를 이해하고자 도전해야 할 것이며 그럴 수 있으려면 적어도 초급 자료분석의 원리에 대해 이해해야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