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는 한편, 한국 사회의 지역사회 변화를 반영하여 실천적 접근과 정책적 함의를 탐색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지역사회복지는 단순한 서비스 전달을 넘어, 주민 주도의 사회자본 형성과 지역 내 복지 자원의 조정·협력을 통한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복지 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이다. 이에 이 책은 세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제1부는 지역사회복지의 기초로 지역사회복지의 주요 개념과 이론을 정리하였다. 특히,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실제 사례를 풍부하게 담아,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적 이해를 돕는 데 중점을 두었다. 제2부는 지역사회복지 실천 모델과 실천 과정으로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전통적 모델과 현대 사회에서 조망 받는 모델을 다루어서 다양한 조건과 각도에서 실천 모델의 적용을 돕고자 하였다. 그리고 지역사회복지 실천 과정을 상세하게 다룸으로써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제3부는 지역사회 조직화 기법이나 임파워먼트 기법과 같은 전통적인 지역사회복지 실천 기법부터 지역 사회 구축 기법까지 다양한 지역사회복지 실천 기법으로 구성하였다. 실천 기법에 관한 이론적 검토와 실천적 관점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이 책의 각 장은 다양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여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독자들이 변화하는 사회적 환경 속에서 지역사회복지를 효과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