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자폐 아동을 위한 JASPER 모델
공동관심, 상징놀이, 참여, 조절 증진
저자 : Connie Kasari, Amanda C. Gulsrud, Stephanie Y. Shire, Christina Strawbridge | 역자 : 서민경, 김지수, 구태우
페이지 : 464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8,000원
  • 978-89-997-3455-7 93370
  • 2025-06-30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JASPER는 ASD 아동이 초기 발달에서 특히 어려움을 겪는 공동관심(joint attention), 상징놀이(symbolic play), 참여(engagement), 조절(regulation)의 네 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설계된 중재 모델입니다. 이 책을 통해 단순한 이론적 설명을 넘어, 중재 실행 절차, 놀이 자료 구성, 단계별 교수 전략, 평가 방법에 이르기까지 상세히 안내하고 있어, 교사, 치료사, 부모 등 다양한 실행자가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

목차

차례


1부 JASPER 모델 소개

1장 JASPER 모델이란

1. 도입
2. 중재 세부 사항
3. 중재 틀
4. 4개 영역
5. 평가
6. 전략
7. 결론

2장 JASPER 모델 핵심 영역
1. 도입
2. 참여
3. 단순 놀이에서 상징놀이
4. 사회적 의사소통
5. 조절
6. 결론

2부 표적 기술 설정하기

3장 SPACE 평가
1. 도입
2. SPACE 정보
3. SPACE 평가의 적용
4. 일반적 질문
5. SPACE 양식
6. 채점 방법
7. 결론

4장 숙달한 기술과 표적 기술 파악하기
1. 도입
2. 표적 기술 설정하기
3. 영역별 표적 기술
4. 표적 기술 설정 연습
5. 결론

3부 놀이 회기 준비하기

5장 JASPER 놀이 루틴
1. 도입
2. 놀이 루틴에 대한 설명
3. 놀이 루틴의 구성 요소
4. 놀이 루틴의 특성
5. 놀이 루틴 내에서 동등하고 적극적인 놀이 상대자 되기
6. 결론

6장 JASPER 놀이 루틴 설정
1. 도입
2. 장난감 및 놀이 행동 선정하기
3. 의사소통 선택하기
4. 놀이 루틴 설정하기
5. 놀이 루틴을 설정할 때 발생하는
일반적인 어려움
6. 결론

7장 JASPER 환경 준비하기
1. 도입
2. 환경을 사용하여 아동의 목표를 지원하기
3. 놀이 공간 준비하기
4. 놀이 루틴 구성하기
5. 루틴 전반에 걸쳐 환경을 유지하기
6. 환경 관련하여 발생하는 일반적 어려움
7. 결론

8장 참여와 조절을 위한 토대 마련하기
1. 도입
2. 시각적 일과와 지원을 적용하기
3. 회기 속으로 그리고 밖으로 전이하기
4. 자연스런 강화제 사용하기
5. 촉진체계 이해하기
6. 명확한 기대치 설정하기
7. ACT 문제해결 틀
8. 참여 및 조절 지원과 관련한 일반적 어려움
9. 결론

4부 놀이

9장 놀이 모방하기와 시범 보이기
1. 도입
2. 아동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모방과 시범 보이기
3. 모방 지침
4. 시범 보이기 지침
5. 성인의 시범에 대한 아동의 반응을 인식하기
6. 모방과 시범 보이기의 균형 이루기
7. 모방하기 및 시범 보이기와 관련한 일반적 어려움
8. 결론

10장 기본놀이 설정하기
1. 도입
2. 기본놀이의 원리
3. 놀이 루틴 설정 시 성인의 역할
4. 기본놀이가 잘 설정되었는지 점검하기
5. 놀이 루틴 재시작하기
6. 아동의 놀이 속도 지원하기
7. 기본놀이를 설정할 때 발생하는 일반적 어려움
8. 결론

11장 놀이 루틴 확장하기
1. 도입
2. 확장하기의 원리
3. 놀이 확장을 위해 환경 준비하기
4. 아동이 놀이를 확장하도록 기다리기
5. 놀이 확장을 위한 추가적인 지원
6. 확장 후 놀이 루틴 지속하기
7. 놀이 루틴 풍부하게 하기
8. 놀이 확장 시 발생하는 일반적 어려움
9. 결론

5부 의사소통

12장 핵심 의사소통 전략
1. 도입
2. 의사소통 의도를 보여 주는 신호 살피기
3. 생산적인 의사소통 모방하고 확장하기
4. 성인 차례에 언어 시범 보이기
5. 의사소통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일반적 어려움
6. 결론

13장 몸짓과 언어 사용을 위한 프로그래밍
1. 도입
2. 프로그래밍의 원리
3. 프로그래밍 준비하기
4. 프로그래밍을 통해 기회 제시하기
5. 아동의 반응 알아차리기
6. 양질의 프로그래밍과 촉진 제공하기
7. 프로그래밍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일반적인 어려움
8. 결론

14장 음성산출장치 사용하기
1. 도입
2. 의사소통 장치 준비하기
3. 놀이 회기에서 음성산출장치 사용하기
4. 음성산출장치 사용 시 발생하는 일반적 어려움
5. 결론

6부 문제 해결하기

15장 참여 지원하기
1. 도입
2. 참여 평가하기
3. 참여 증진 계획 세우기
4. 효과 확인하기
5. 결론

16장 조절 지원하기
1. 도입
2. 조절 평가하기
3. 조절 증진을 위한 계획 세우기
4. 효과 확인하기
5. 결론

17장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이 나타날 때 생산적 놀이 지원하기
1. 도입
2. 놀이의 질 평가하기
3. 생산적 놀이 증진을 위한 계획 세우기
4. 경직성에 대응하기
5. 제한된 관심에 대응하기
6. 반복적 행동에 대응하기
7. 감각 관련 행동에 대응하기
8. 효과 확인하기
9. 결론

7부 결론

18장 모든 것을 통합하기
1. 개요
2. 전략 통합하기
3. 아동의 진보 지속적으로 점검하기
4. JASPER 교육
5. 기초를 넘어서
6. 일반적 질문
7. 결론

부록
부록 A 전략 체크리스트
부록 B 연습문제 정답
부록 C 장난감 상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로그인 후 확인하실 수 잇습니다.

역자 소개

로그인 후 확인하실 수 잇습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