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이 책은 미술치료 임상 현장에서 만나는 내담자의 상실과 관련된 다양한 심리 및 행동문제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고 중재하기 위한 임상 전문서이다. 저자들은 다년간의 미술치료 임상 경험과 슈퍼비전 경험을 토대로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 개입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하는 실제적인 내용들을 다루었다. 먼저 1장에서는 애도의 정의 및 애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으로, 애도 상담,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 및 이와 관련된 국내외 연구동향을 다루었다. 2장에서는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의 실제로, 임상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초기, 중기 및 후기 단계의 활동을 소개하였고 3장에서는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의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실제 임상 현장에서 애도가 필요한 내담자를 위해 미술치료가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다루었다. 마지막 장은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의 부록으로,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에서 참고할 만한 셀프 활동지, 다양한 미디어 및 웹사이트 자료, 애도 장애 진단기준 및 척도와 체크리스트 등을 소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