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순환경제 시대의 에너지 PR
저자 : 김병희, 정원준, 김현정, 박한나, 김준성, 태용석
페이지 : 312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0,000원
  • 979-11-93667-17-0 03320
  • 2025-04-30
  • 신국판
  • 반양장

내용

에너지 자원의 97%를 수입하는 대한민국, 지속 가능한 미래를 제대로 준비하고 있는가?   에너지 산업의 제 문제를 대국민 소통의 관점에서 접근한 에너지 PR에 관련된 전문서가 없어 관련 학계나 업계 관계자들 모두에게 많은 아쉬움을 남겼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집필되었다. 에너지의 이면에는 자원 확보를 위한 치열한 경쟁과 국가 간 갈등이 존재한다. 순환경제 시대에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공공선을 실현하고 ESG 경영의 성과를 높이려면 에너지 PR 활동을 어떻게 전개할 것인가? 이 책에서 현실적인 해법을 속속들이 확인할 수 있다. 이 책이 우리 사회에 공공선의 가치를 알리는 에너지 PR 실행의 전문서이자 에너지 산업계의 ESG 경영 활동에 빛을 밝히는 지침서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

목차

머리말


제1장 ESG 경영에서 에너지 PR의 필요성
1. 에너지 산업의 ESG 경영과 PR 활동
2. ESG 경영의 관점별 에너지 PR 활동
3. 에너지 PR의 핵심 전략과 운용 방법
4. 에너지 PR의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
5. 에너지 PR의 도전 과제와 PR의 기능

제2장 순환경제와 에너지 PR 전략의 방향
1. 지속 가능한 에너지를 위한 순환경제
2. 순환경제의 기대효과와 긍정적 영향
3. 지속 가능한 에너지의 종류와 장단점
4. 순환경제 체계의 상호작용과 기대효과
5. 에너지 PR의 성공 전략과 해결 과제

제3장 원자력 에너지 PR에서의 갈등관리
1.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갈등적 인식의 배경
2. 사회적 갈등 주체로서의 원자력 에너지
3. 원자력 갈등의 특징 및 PR 대응
4. 원자력 에너지 PR 제안
5. 원자력 에너지 PR 전략
6. 원자력 에너지 PR 전술
7. 원자력 에너지 갈등 해소를 위한 PR 함의

제4장 원자력 에너지 수용성 증진을 위한 PR 이슈·위험관리
1.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수용성 저하 배경
2. 이슈 및 위험관리
3. 정책 수용성
4. 사용후핵연료 저장 및 처분 이슈 사례
5. 원자력 에너지 수용성 증진 PR 전략
6. 원자력 에너지 수용성 증진 PR 전술
7. 원자력 에너지 수용성 증진을 위한 PR 함의

제5장 전기 에너지의 PR 전략과 과제
1. 전기 에너지의 중요성과 생산 및 보급
2. 국내 전력 수급 현황과 소비의 문제점
3. 전기 에너지 수급 관련 위기 및 쟁점 해결 방안
4. 전기 에너지 절약의 실천과 PR 캠페인

제6장 저탄소 에너지와 가스 에너지의 PR 방향과 과제
1. 저탄소 에너지 시대의 천연가스 에너지
2. 천연가스의 장단점 및 세계 생산과 공급의 이슈
3. 천연가스 관련 공적 PR 이슈와 국내 수출산업의 기회
4. 천연가스 관련 국제 PR의 미래 과제와 역할

제7장 에너지 정책의 PR 캠페인 사례
1. 에너지 정책 PR의 중요성
2. 한국에너지공단 사례
3. 한국수력원자력 사례
4. 한국동서발전 사례
5. 에너지 정책 PR의 방향성

제8장 신재생에너지 PR 커뮤니케이션의 방향과 과제
1. 신재생 에너지의 정의 및 중요성
2. 국내외 신재생 에너지 현황
3. 신재생 에너지 뉴스 빅데이터 분석
4. 신재생 에너지 PR 커뮤니케이션 전략
5. 미래 에너지로서 신재생 에너지 정책 PR의 방향


찾아보기

저자 소개

<b>김병희</b>

현재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이다.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에서 광고학 박사를 받았다. 한국광고학회 제24대 회장, 한국PR학회 제15대 회장, 정부광고자문위원회 초대 위원장, 서울브랜드위원회 제4대 위원장으로 봉사했다.



<b>김준성 </b>

현재 (주)디앤씨컴퍼니 대표이다. (주)디앤씨컴퍼니는 2015년 회사 설립 이후 현재까지 총 200여 건의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 홍보 용역을 진행했고, 전국에 6개 지사를 두고 있는 종합홍보대행사이다.



<b>김현정</b>

현재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이다. 한양대학교에서 영문학 석사와 홍보학 박사를 받았다. 한국무역보험공사 홍보실과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홍보 전문가를 역임했다.



<b>박한나</b>

현재 선문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광고홍보콘텐츠 전공 주임 교수와 진로설계교양센터장을 맡고 있다.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에서 PR 전공으로 매스커뮤니케이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b>정원준 </b>

현재 수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연세대학교에서 학사를,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에서 석사를, 미국 퍼듀대학교 커뮤니케이션 학과에서 PR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b>태용석</b>

현재 (주)디앤씨컴퍼니 본부장이다.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에서 언론학석사를 받았다.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공단, 한국동서발전 등 대한민국 에너지 관련 공공기관 PR 용역 총괄 대행 업무를 진행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