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진로학업설계 지도방법
교사 · 상담자 · 학부모가 알아야 할
저자 : 임은미, 정성진, 강혜정, 이성자, 정지영, 김혜영, 유미옥, 김순미, 유아신
페이지 : 336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3,000원
  • 978-89-997-3408-3 93370
  • 2025-04-30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교사, 학부모, 상담자가 이 시대 고등학생들의 ‘진로학업설계 역량’을 키워 주기 위해 무엇을 알고 어떻게 접근해서 학생들을 도와야 할지에 대한 답을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내용을 구성하였습니다.제1부에서는 진로학업설계 역량의 필요성, 기반, 원리, 학생의 진로발달 진단방안을 4개의 장으로 제시하였습니다. 진로학업설계 역량이 왜 필요한지, 그것을 기르기 위해 어떤 기반과 원리들을 이해해야 하는지, 학생을 진로발달의 관점에서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를 알려 주고 있습니다.제2부에서는 학생의 진로학업설계 역량을 기르기 위한 지도방안을 6가지 진로발달 상태별로 6개 장에 나누어 소개하였습니다. 제5장은 진로발달에 흥미가 없는 진로무동기 학생의 진로지도, 제6장은 희망 직업의 이름 정도만 막연하게 알고 있는 정도의 진로발달에 머물러 있는 진로미결정 학생의 진로지도, 제7장은 직업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채 자신이 하고 싶은 일(직무)이 무엇인지 정도는 알고 있는 진로미결정 학생의 진로지도, 제8장은 관심학과(전공)가 생겼다고 말하는 정도의 진로미결정 학생의 진로지도, 제9장은 잠정적으로 진로를 결정한 진로결정 학생의 진로지도, 제10장은 진로를 결정했다고 스스로 생각하는 학생을 위한 진로학업설계지도입니다.제3부에서는 진로학업설계 역량의 주요 결과물 중 하나인 진로 포트폴리오 설계방법을 제시하고, 아울러 스스로 설계한 진로학업설계에 맞추어 자기주도적인 학습자로서 교과목 을 선택하고 주체적으로 학교 생활을 하도록 돕는 방안을 2개의 장으로 구분하여 소개하고 있습니다.제4부에서는 학생들의 진로학업설계 능력이 자라는 동안 지근거리에서 그 필요를 민감하게 인식하며 도움을 제공할 교사, 학부모, 상담자의 역할을 정리하여 2개의 장으로 제시하였습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진로학업설계 들어가기

제1장 진로학업설계의 필요성
1. 미래사회와 교육의 변화
2. 진로와 학업의 연계
3. 진로학업설계의 목표

제2장 진로학업설계의 기반: 성장하는 ‘자기’의 이해
1. 흥미
2. 적성
3. 성격
4. 직업가치
5. 생활양식
6. 건강, 외모, 장애

제3장 진로학업설계의 원리
1. 주도성의 원리
2. 성찰의 원리
3. 의미 만들기의 원리
4. 관련성 찾기의 원리
5. 학습의 원리

제4장 학생 진로상태 진단
1. 학생의 진로발달 상황을 고려한 진단
2.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기반한 진단

제2부 진로학업설계 실전 가이드

제5장 진로무동기 학생의 진로지도
1. 일상에서 흥미요소 탐색하여 직업과 연결하기
2. 직무동사를 활용한 직업흥미 탐색하기
3. 생성형 AI 서비스를 활용한 진로탐색하기

제6장 진로미결정 학생의 진로지도: 직업명을 제시한 학생
1. 직업세계의 변화와 미래 유망직업
2. 직업정보 탐색 및 활용
3. 직업정보 탐색 실습

제7장 진로미결정 학생의 진로지도: 직무(하는 일)를 제시한 학생
1. 직무의 이해
2. 직무분석과 직무역량 탐색
3. 직무정보를 통한 직업선택 실습

제8장 진로미결정 학생의 진로지도: 관심학과(전공)를 제시한 학생
1. 학과(전공)에 대한 이해
2. 관심학과(전공) 정보 탐색방안
3. 사회 변화에 따른 관심학과(전공) 전망 예측

제9장 진로결정 학생의 진로지도
1. 진로결정 요인 점검
2. 진로결정 과정 점검
3. 진로장벽의 이해와 극복

제10장 진로학업설계지도
1. 희망대학 전공 교육과정 탐색
2. 고등학교 과목선택

제3부 진로학업설계 실천을 위한 출발

제11장 진로 포트폴리오
1. 진로 포트폴리오의 개념과 구성
2. 진로 포트폴리오 준비하기
3. 진로 포트폴리오 만들기

제12장 학습전략
1. 학습전략 방법
2. 학업실패 트라우마

제4부 교사, 상담자, 학부모의 역할

제13장 교사와 상담자의 역할
1. 고교학점제에서 교사의 역할
2. 진로상담자의 역할

제14장 학부모의 역할
1. 진로동기 촉진을 돕는 부모
2. 진로 의사결정을 돕는 부모
3. 진로갈등을 지혜롭게 대처하는 부모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임은미</b>

전북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상담전공 박사

한국상담학회 1급 전문상담사

전) 한국 교육상담학회 회장



<b>정성진</b>



전북대학교 진로진학상담대학원 강사(교육학 박사)

한국상담학회 2급 전문상담사

청소년상담사 2급, 전) 청소년동반자



<b>강혜정</b>

전북대학교 진로진학상담대학원 강사(교육학 박사)

한국상담학회 1급 전문상담사

청소년상담사 1급, 직업상담사 2급



<b>이성자</b>

전북대학교 진로진학상담대학원 강사(교육학 박사)

싹(ssac)심리상담센터 대표

전문상담교사 2급, 한국상담학회 2급 전문상담사

청소년상담사 1급



<b>정지영</b>

전북대학교 진로진학상담대학원 강사(교육학 박사)

전북대학교 행복드림센터 전임상담원

한국상담학회 2급 전문상담사



<b>김혜영</b>

전북대학교 진로진학상담대학원 강사(교육학 박사)

전북RIS미래수송기기사업단 인재양성 팀장

한국상담학회 1급 전문상담사



<b>유미옥</b>

전북대학교 진로진학상담대학원 강사(교육학 박사)

㈜휴먼제이앤씨 이사

한국상담학회 2급 전문상담사, 사회복지사 2급



<b>김순미</b>

혜전대학교 강사(교육학 박사수료)

㈜모두다 느린학습자성장지원센터장

한국상담학회 2급 전문상담사, 청소년상담사 2급



<b>유아신</b>

전북대학교 교육학과 박사수료

청소년상담사 2급

군산대학교, 우석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상담사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