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상호주관적 대상관계이론
상담의 실제
저자 : Bruce R. Brodie | 역자 : 조난숙, 장정은
페이지 : 392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3,000원
  • 978-89-997-3334-5 93180
  • 2025-02-25
  • 크라운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대상관계이론과 상호주관성 개념을 바탕으로, 상담 장면에서 내담자와 상담자 사이에 어떻게 심리적 변화와 치유가 일어나는지를 깊이 있게 설명한다. Klein, Winnicott, Fairbairn 등의 이론을 중심으로, 상담 관계 속에서 전이, 공감, 동일시 등의 역동이 어떻게 작동하며 치료적 자원이 되는지를 임상적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다룬다. 특히 이 책은 이론에 그치지 않고, 실제 상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통찰을 제공한다. 정신분석적 상담을 공부하거나 실천하는 임상가들에게 중요한 지침서가 될 것이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서론

제1부 유아의 심리적 탄생
제1장 안아 주는 환경
그렇다면 무엇인가
동일시의 역할
그렇다면 무엇인가
치료의 본질

제2장 어머니의 거울 반영 역할
그렇다면 무엇인가

제3장 어머니-유아 단위
그렇다면 무엇인가
Winnicott, 학습, 그리고 상호주관성

제4장 잠재 공간과 과도기적 대상
놀이로 채운 잠재 공간
잡동사니로 채운 잠재 공간
자기로 채운 잠재 공간
과도기적 대상과 과도기적 현상으로 채운 잠재 공간
그렇다면 무엇인가
상징으로 채운 잠재 공간
심리치료로 채운 잠재 공간
잠재 공간과 약물

제2부 편집 분열 자리와 내적 대상
제5장 편집 분열 자리: 분열과 ‘마치 ~인 것처럼’의 사고
분열 논리 I: 역사의 취소
분열 논리 II: 책임의 부정
분열 논리 III: 대상으로서의 자기 경험
분열 논리 IV: 경직된 사고
분열 논리 V: 정의로운 세상에 대한 믿음
분열 논리 VI: 말이 되는 감정과 그렇지 않은 감정
분열 논리 VII: 전능함과 마법 대 힘과 자유
분열 논리 VIII: 연민의 부재
분열 논리: 요약

제6장 편집 분열 자리: 대상관계 단위
전이
역전이
그렇다면 무엇인가

제7장 편집 분열 자리에서의 안정적 성격 구조

제8장 나쁜 대상에 대한 저항과 집착
저항의 근원

제3부 우울 자리, 상호주관성, 그리고 외부 대상의 발견
제9장 심리적 ‘제삼자’
내면의 제삼자
공동으로 창조된 제삼자
상호주관적 제삼자 주체

제10장 투사적 동일시와 복종하는 제삼자

제11장 대상 사용과 대상 파괴

제12장 해석
인식으로서의 해석

제13장 전이

제14장 애도

제15장 동일시

제16장 우울 자리 투쟁: 거짓 자기
Winnicott의 ‘참 자기’와 ‘거짓 자기’ 기능
그렇다면 무엇인가
그렇다면 접근 불가능한 것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을까
거짓 자기 성격과 함께 작업하기―꿈 분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Bruce R. Brodie</b>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학사학위를 받았고, 시카고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비행 청소년을 위한 보호 주거치료센터에서 20년 동안 일했다. 20년 동안 캘리포니아 전문 심리학 대학원(California School for Professional Psychology)의 겸임교수였으며, 35년 동안 심리치료 및 훈련을 위한 토요 센터(Saturday Center for Psychotherapy and Training)에 소속되어 있었다.

그는 현재 캘리포니아주 산타모니카에서 개인 상담실을 운영하고 있다. 『청소년과 비행: 대상관계이론 접근(Adolescence and Delinquency: An Object Relations Theory Approach)』의 저자다.

역자 소개

<b>조난숙</b>

서울대학교에서 수학교육과 수학을 전공한 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성대학교 교양학부에서 가르치고 연구하다가, 정년 보장을 받자마자, 다시 상담 공부를 시작하였다.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기독교심리상담학으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고, 한국상담심리학회, 한국상담학회,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등에서 수련 과정을 마치고 1급 상담사, 정신분석가 및 슈퍼바이저 자격을 취득했다. 현재 한성대학교에 재직 중이다.



<b>장정은</b>

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장로회신학대학원에서 교역학 석사학위를, 미국 드류대학교에서 심리학과 종교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NAAP 공인정신분석가(NCPsyA)이며, 전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로 현재는 JE정신분석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