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트라우마와 표현예술치료
뇌, 신체, 창조적 이미지를 잇는 회복의 여정
저자 : Cathy A. Malchiodi | 역자 : 임나영
페이지 : 464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32,000원
  • 978-89-997-3380-2 93180
  • 2025-03-15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트라우마 치료에서 표현예술치료의 이점을 설명하며, 예술, 놀이, 상상력을 활용해 내담자의 건강과 웰빙을 돕는 접근법을 제시한다. 아동, 성인, 가족을 대상으로 표현예술치료를 적용하는 방법을 소개하며, 기존 치료법을 보완하고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한다.
표현예술치료는 미술, 동작, 음악, 연극, 창의적 글쓰기, 즉흥 연주 등의 감각 기반 치료 기법을 활용하는 '상향식' 접근법으로, 기존의 언어 중심 심리치료, 신체 기반 모델, 마음챙김, 뇌 기반 기법(뉴로피드백 등)과 결합될 때 더욱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내담자가 트라우마 반응을 안전하게 경험하고, 신체적·정서적 자기 조절을 배우며, 트라우마 기억을 회복력 있는 이야기로 전환하도록 돕는다.
또한, 예술 경험이 없는 치료사들도 표현예술치료 기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트라우마 치유 과정에서 예술이 문화적으로 적합한 강력한 치료 도구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미술치료사, 무용/동작치료사, 음악치료사, 연극치료사들에게는 기존 기술을 강화하고 다양한 예술 형식을 전략적으로 통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목차

역자 서문저자 서문

제1장 표현예술치료, 언어의 한계를 넘어서
말하지 않고 전하기
침묵 깨기
사례 개념화
심리치료에서의 예술
표현예술치료 모든 감각의 통합
표현예술치료의 근거
표현예술의 8가지 주요 강점
트라우마 생존자를 위한 창의력과 상상력의 활용
결론

제2장 표현예술치료와 트라우마 기반 치료를 위한 체계
트라우마 기반 치료의 선행 모델
트라우마 기반 치료의 기초
트라우마 기반 치료의 5가지 주요 원칙
트라우마 기반 관점의 사례
트라우마 기반 표현예술치료
치유 중심 참여 트라우마 기반 치료를 위한 사회 정의 모델
사회적 행동으로서의 표현예술
예술 기반 치유 중심 참여 문화적으로 적절한 실천을 위한 4가지 모델
재경험, 재감각화, 재연결
결론

제3장 표현예술치료를 위한 뇌-신체의 통합적 프레임워크
양쪽 뇌
외부 수용 감각과 내부 수용 감각
트라우마 기억
ETC 표현치료 연속체
상향식, 하향식 접근
트라우마에 기반한 표현예술치료 연속체의 적용
트라우마 통합의 문제
신경발달 관점에서 본 트라우마 기반 표현예술치료 체계
결론

제4장 회복은 관계에 있다
관계의 중요성
트라우마는 관계를 변화시킨다
대인관계 및 관계적 트라우마
표현예술을 통한 애착 형성
상호적 표현예술치료
함께 만들기 공동체를 통한 회복
위기에 처한 청소년을 위한 표현예술 및 회복탄력성 프로그램
표현예술치료의 관계적 특성
결론

제5장 안전 치료의 필수적인 기반
트라우마 및 공포
안전의 신경생물학
초기 표현예술 회기의 안전성 설정 전반적인 고려사항
초기 표현예술치료 회기에서 안전성을 위한 접근법
결론

제6장 자기 조절 안정화의 기본 원칙
핵심 역량으로서의 자기 조절
표현예술 자기 조절을 위한 감각 사용
조절 연습으로 표현예술 적용
결론

제7장 신체 감각을 통한 트라우마 치료
신체의 트라우마 감각
신체, 동작 및 표현예술
인내의 창 및 신체 기반 접근법
동작으로 회기 시작하기 좋은 리듬 찾기
트라우마에 민감하고 ‘섬세한’ 요가를 통한 신체 회복
양방향 동작과 그림
체화된 감각 및 신체 기반 인식
바디아웃라인과 바디스캔
점진적 노출수위 조절 및 진자운동
신체 감각지도와 신체지도 표현
신체 기반 접근법의 적응적 활용
결론

제8장 트라우마 내러티브 이야기로 풀어내는 다층적 표현
트라우마 기억들 산사태 속에 갇히다
비언어적 내러티브로서의 표현예술
신체감각의 내러티브로부터 시작하기
그림을 통한 트라우마 내러티브
놀이와 연기를 통한 트라우마 내러티브의 재연
내러티브 작업에 대한 하향식 접근 방법 글쓰기
트라우마 내러티브의 고비 넘기기
가족 내러티브
잔혹 행위는 반드시 보고되고 목격되어야 한다
결론

제9장 회복탄력성 역량과 숙련의 강화 및 체화
회복탄력성 연구의 네 가지 단계
사회적환경적 문제 속에서 보는 회복탄력성
자신을 표현하라 회복탄력성의 예 맥락 내에서 구축하기
회복탄력성은 신체를 통해 배운다
회복탄력성을 위한 준비 놀고 웃을 수 있는 능력 되찾기
조력자를 믿는 방법 배우기
세 가지 C
자기연민의 발달을 돕기 위한 표현예술
문화적 실천으로서의 자기연민
세대 간 회복탄력성
결론

제10장 의미 만들기 뇌와 신체를 통한 삶의 새로운 방향 모색
변화를 일으키는 순간들을 지원하기
트라우마로 얼룩진 이야기를 변화시키기
공동체와 다시 연결되기
신체 재감각화 하기
새로운 이야기를 상상하기
놀이 및 연극적 재연 아동의 변화 촉진하기
상상력이 트라우마를 희망과 치유로 재구성한다

참고자료
부록 1A. 신체 윤곽 템플릿 성인용
부록 1B. 신체 윤곽 템플릿 아동용
부록 2. 두뇌 템플릿 측면 보기
부록 3. 두뇌 템플릿 두 개의 반구
부록 4. 호흡 안내를 위한 지침
부록 5. 바디매핑 제작 활동 예시안
부록 6. 바디매핑 템플릿

참고문헌
색인

저자 소개

<b><font color=000099>Cathy A. Malchiodi</b></font>

Cathy A. Malchiodi(PhD, ATR-BC, LPCC, LPAT, LPAT, REAT)는 트라우마 회복을 전문으로 하는 심리학자, 표현예술치료사, 미술치료사이다. 그녀는 의료, 교육, 지역사회 환경에서 정신건강전문가를 양성하고 전 세계 재난구호 및 인도주의적 노력을 지원하는 ‘트라우마-기반 치료 및 표현예술치료연구소(Trauma-Informed Practices and Expressive Arts Therapy Institue)’의 설립자이자 전무이사이다. 그녀는 미국, 캐나다, 유럽, 중동, 아시아, 호주에서 500회 이상의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했으며,『 아동의 그림 이해(Understanding Children’s Drawings)』와『 트라우마 아동과의 창조적 개입(Creative Interventions with Traumatized Children)』을 포함한 수많은 기사와 서적을 출판했다. 그녀는 케네디센터와 워싱턴 DC로부터 ‘Very Special Arts상’을 수상했으며, 그밖에도 탁월한 기여, 임상적 공헌, 평생의 업적으로 많은 상을 받았다. 그녀는 건강에서 예술이 차지하는 역할을 열렬히 옹호하며, 현재 PsychologyToday.com의 저자로 활동하고 있다.

역자 소개

임나영(Lim, Nayoung)

서양화와 심리학을 전공했고, 고려대학교 임상 및 상담심리전공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에서 미술치료 석사 후 과정과 텍사스 오스틴 주립병원 보호감찰 및 폐쇄병동에서 미술치료인턴을 했고, 국내 병원과 상담센터에서의 다양한 임상경험을 기반으로 미술치료 수련감독전문가, 예술놀이상담전문가, 건강심리전문가로 활동 중이다. 현재 AEDP(Accelerated Experiential Dynamic Psychotherapy) 치료사로서 신경심리, 트라우마, 재난구호, 위기개입, 중독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다. 미술치료 분야의 표준화된 투사적 그림검사 ‘EBDT정서행동 그림검사’를 개발하여 근거기반 미술치료의 효과 검증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사)한국예술치료학회의 학회장으로서 예술치료의 미래에 대해 고민하고 있으며,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특수상담치료학과와 특수치료대학원 미술치료학 주임교수로 재직하며 후학들을 지도하고 있다.

저·역서로는『 DSM-5TR 기반 최신 미술심리진단 및 평가』와『 인간중심 미술치료의 실제』『 미술치료 윤리 이론과 실제』『 전생애 놀이치료』 등이 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