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5판 머리말
1판 머리말
제1장 사회심리학의 소개: 특징, 역사와 연구방법
사회심리학은 어떠한 학문인가
사회심리학은 어떻게 성립되었나
사회심리학자들이 취하는 연구방법
실험실의 사회심리와 연구윤리
제2장 사회생활과 자기
자기란?
자기의 기능
자기의 일관성과 변화
문화권에 따른 자기성의 차이
제3장 다른 사람에 대한 파악: 인상형성과 귀인
인상형성 과정의 원리
대인지각의 내용
행위/사건/일의 파악: 귀인과 설명
귀인의 편향성과 문화
귀인의 적용
제4장 사회생활 속의 추론과 판단
정보의 수집
정보의 취합과정
도식과 은유의 활용
일상의 판단은 효율성 추구: 어림법의 활용
일상의 판단에서 작용하는 두 유형의 사고
제5장 태도와 태도변화
태도란 무엇인가
태도의 형성과 측정
태도와 행동의 일관성
행동에 따른 태도변화
설득에 의한 태도변화
설득효과에 대한 인지적 접근: 정교화 가능성 이론
태도변화와 관련된 흥미로운 주제들
제6장 사람들 간의 교류와 관계맺음
의사소통의 기능
교류의 진전
관계를 발전시키는 요인
관계맺음의 유형
서열사회: 한국 사회의 교류 특징
대인교류의 기능
사랑
제7장 인간의 공격성과 사회의 폭력
공격행위를 유발하는 요인과 심리
공격행위의 획득 및 감소책
사회의 폭력성과 문화
테러리즘의 이해
제8장 사회의 갈등, 정의, 도덕 및 친사회적 행위
사회적 갈등
현실적 갈등의 접근, 해결책의 모색
사회정의
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되는 세계
도덕성
친사회적 행위-협동
도움행위의 심리
제9장 집단 속의 개인
타인의 존재가 야기하는 현상
동조현상
사회의 위계성: 권위, 복종, 문화
제10장 집단 간 교류: 고정관념, 편견과 차별
고정관념/편견의 발생과 동학
한국 사회의 편견과 차별: 성, 지역과 소수자 집단
피해자 측면에서 본 편견
편견과 차별의 감소
집단 간 행위의 설명: 사회정체감 이론
제11장 기후변화의 사회심리학
기후변화가 미치는 심리적 영향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영향 요인들
기후변화 대응행동과 개입
한국 사회의 환경 문제: 개발이냐 보존이냐?
기후정의
자연과 인간의 관계: 다종간 정의와 관계 맺는 방식
제12장 한국인의 사회심리
한국인의 집단주의에 대한 새 조명: 쪽의 세계관
한국인의 고유적 교류현상
한국인이 보이는 가치관
한국 사회의 구성 세대
한국 사회의 높은 자살률: 무한경쟁의 대가
제13장 사회심리학의 응용, 전망, 교훈
행복의 심리학
사회심리학의 변화와 전망
사회심리학의 교훈과 제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