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AI 시대 교사를 위한 디지털 교육 워크북
저자 : 이은화, 신하영, 김상미
페이지 : 144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6,000원
  • 978-89-997-3370-3 93370
  • 2025-03-20
  • 크라운판

내용

디지털 기술의 빠른 발전은 교육 현장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제 예비 교사들에게 디지털 역량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기를 수 있는 실무 중심의 학습이 더욱 중요해졌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제작된 이 책은 단순한 이론서가 아닌 실습형 워크북으로서, 예비 교사들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역량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워크북은 기존의 교재들과 차별화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4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모듈은 교실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실습 중심의 내용을 담고 있다. 각 모듈은 실제 교육 현장의 상황과 문제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워크시트와 활동지를 통해 예비 교사들이 디지털 도구와 AI 기술의 단순한 활용을 넘어 혁신적인 수업 설계와 교육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워크북은 매년 새로운 실습활동과 워크시트를 개발하여 업데이트할 예정이며, 정부의 디지털 교육 정책과 AIDT 정책 변화를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추가 자료와 보충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예비 교사들이 변화하는 교육 환경에 효과적으로대응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목차

머리말

모듈 1 교사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기초
제1주차 오리엔테이션: 디지털 교육의 새로운 장을 여는 여러분에게
제2주차 교사를 위한 정보 관리와 디지털 보안의 기초

모듈 2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수업
제3주차 디지털 콘텐츠 제작 도구의 이해와 활용
제4주차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협력적 학습
제5주차 디지털 도구 활용 수업-평가
제6주차 디지털 환경에서 학습진단과 학급 관리

모듈 3 AI 기술과 교육의 미래
제7주차 인공지능(AI)과 디지털 기술
제8주차 GAI 생성형 AI 수업 설계와 활용
제9주차 생성형 AI 관련 위험과 주의사항

모듈 4 디지털 교육의 윤리와 미래 방향
제10주차 디지털 교육에서 윤리적 교육자원 활용
제11주차 개인정보 보호와 디지털 범죄 예방
제12주차 디지털 폭력 예방과 윤리 가이드

저자 소개

<b>이은화</b>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전공)

현)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저서>

국제이해교육의 이론과 실제(공저, 학지사, 2012)

러닝 포트폴리오의 이해와 실제(공저, 학지사, 2012)

티칭 포트폴리오의 이해와 실제(공저, 학지사, 2011)

<논문>

AI 시대 예비교사 소양교육으로서 디지털 리터러시 필요성 고찰(공동, 인문사회과학연구, 2024)

비수도권 사립대학생의 대학몰입 요인 인식유형과 유형별 특성(공동, 인문사회21, 2022)

대학간 교양교육 공유 협력 현황과 과제(공동, 교양교육연구, 2022)



<b>신하영</b>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교육사회학· 교육행정 전공)

현) 세명대학교 교양대학 교육학 교수

<저서>

스마트 미래 인성교육(공저, 태학사, 2023)

<논문>

리빙랩의 고등교육 ODA 가능성 탐색(공동, 교육혁신연구, 2024)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AI 시대의 교사역할과 역량에 대한 기대수준(공동, 교육연구논총, 2023)

정책수용도 향상을 위한 기초학력정책 성과지표 개발 연구(공동, 교육과정평가연구, 2023)

대학혁신의 확산과 채택: 구성원의 인식을 중심으로(공동, 교육행정학연구, 2022)



<b>김상미</b>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전공)

현) 부산대학교 교육특화총괄본부 연구교수

<연구 및 논문>

AI 기반 시뮬레이션 랩을 활용한 교원 전문성 향상 교육모델과 지원체제 연구(한국연구재단, 2024)

실천 중심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과 적용 방향 탐색(한국연구재단, 2021)

Post-COVID, 개발도상국 고등교육에서 교수역량 개선 요구와 지원방안(글로벌교육연구, 2022)

우리나라 MOOC 관련 연구의 흐름과 동향(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19)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