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갈등 시대의 PR 커뮤니케이션
이론으로 현실을 풀다
저자 : 홍문기, 김활빈, 김천수, 강귀영, 박한나
페이지 : 312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8,000원
  • 979-11-93667-15-6 03320
  • 2025-02-20
  • 신국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에서는 제주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 과정에서의 갈등을 PR 쟁점 진행 모형(Issue Process Model)을 적용해 설명하고 있고, 환경문제 관련 갈등 해결을 위해서는 문제해결 상황이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세대 갈등 이슈로 등장하는 연금 개혁 문제는 조직-공중 관계성 이론과 상호지향성 모델을 통해서 분석됐고, 남남 갈등은 IDEA(Internalization, Distribution, Explanation, Action) 모델을 통해 연구됐습니다. 또한 젠더 갈등은 DEI(Diversity, Equity, Inclusion) 모델을 적용해 PR 커뮤니케이션의 역할과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목차

차례

발간사
머리말

제1장 프롤로그: 다양한 이론과 모델
1. 갈등 해결을 위한 PR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모델

제2장 제주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 갈등 과정에서의 PR: 쟁점 진행 모형의 적용
1. 제주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을 둘러싼 갈등
2. 쟁점 진행 모형
3. 쟁점 진행 모형을 통해 본 제주 해군기지 갈등
4. 사회 갈등과 PR

제3장 환경문제해결을 위한 PR 커뮤니케이션: 문제해결 상황이론의 적용
1. 서론: 환경문제
2. 환경문제의 특징과 PR 커뮤니케이션
3. 환경 이슈 사례와 PR 커뮤니케이션
4. 결론: 환경문제에서 사회적 갈등을 줄이는 PR 커뮤니케이션

제4장 연금 갈등 해결을 위한 정책 PR 커뮤니케이션: 조직-공중 관계성 이론과 상호지향성 모델의 역할
1. 연금 개혁안과 세대 갈등
2. 세대와 세대 갈등
3. 정책 PR 커뮤니케이션과 조직-공중 관계성
4. 소통을 위한 상호지향성 모델의 역할
5. 공중 관계성 이론과 상호지향성 모델에 의한 갈등관리 방안
6. 갈등관리와 PR 커뮤니케이션 역할

제5장 남남 갈등과 PR: IDEA 모델의 적용
1. 서론
2. 남남 갈등에 대한 논의
3. 남남 갈등과 PR 커뮤니케이션
4. 결론: 남남 갈등 해소를 위한 PR 관점의 전략적 제언

제6장 젠더 갈등: DEI 모델에 기초한 조화와 포용을 위한 PR 전략
1. 서론
2. 젠더 갈등의 원인과 영향
3. DEI의 개념과 중요성
4. DEI와 젠더 갈등
5. DEI와 PR을 통한 포용적 사회 구축
제7장 에필로그: 갈등 시대의 PR 커뮤니케이션
1. 갈등의 시대 I: 지식의 팽창
2. 갈등의 시대 II: 미디어 환경의 변화
3. 사회의 윤활유로서 PR 커뮤니케이션

.찾아보기

저자 소개

<b>홍문기</b>

현재 한세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와 고려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플로리다주립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b>김천수</b>

현재 명지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미네소타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인디애나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b>김활빈</b>

현재 강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와 동대학원 언론학과를 졸업하고, 오하이오대학교에서 저널리즘 석사학위 및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b>강귀영</b>

현재 고려대학교와 서강대학교에서 갈등관리커뮤니케이션, 뉴미디어PR, PR실무 관련 과목들을 강의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PR 전공으로 언론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b>박한나</b>

현재 선문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광고홍보콘텐츠 전공주임교수와 이니티움교양센터장을 맡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플로리다대학교에서 PR 전공으로 매스커뮤니케이션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