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소아암 중환아의 그림과 미술치료
저자 : Susan Bach | 역자 : 정여주, 서하나, 이성령, 구슬희, 김보경, 김세희, 김진경, 신예섬, 윤라미, 이지혜, 편명신, 한유정
페이지 : 368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6,000원
  • 978-89-997-3321-5 93180
  • 2025-02-25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미술치료사가 내담자의 그림을 만나고 그림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는 것은 미술치료 과정의 중요한 요소며, 그림을 읽고 해석하고 분석하는 것은 미술치료사의 전문성에 해당한다. 자발적 그림이든 주제가 있는 그림이든 모든 작품은 내담자의 내면세계, 말로 표현하지 못한 마음의 이 야기뿐만 아니라 신체적 상황과 때로는 영적 상황도 재현된다는 것을 우리는 미술치료 경험을 통해 알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내용, 그림 해석 및 분석을 깊이 있고 체계적으로 다룬 미술치료 전문 서적이 많지 않은 편이다. 이 책에는 그러한 아쉬움을 달래 주는 깊이 있고 풍부한 내용들이 담겨 있어, 미술치료에서 다양한 나이와 질병 및 장애가 있는 내담자의 그림에서 나타나는 상징의 해석과 평가 및 분석에 훌륭한 지침서가 될 수 있다.

목차

역자 서문
서문: 발견의 여정


제1부 자발적 그림 연구 지침

제1장 들어가는 말: 물의 다양한 의미

제2장 자발적 그림 수집 방법
한스 페터 베버, 취리히
한스 페터 베버의 기고문:
1. 베버와 환자의 첫 만남
2. 일반적인 지침
3. 재료
4. 자발적 그림의 체계적 수집 방법

제3장 소아암 환아 부모와 첫 면담
히치히 교수
히치히 교수의 기고문

제4장 페터, 프리스카와 리스베스의 짧은 병력
페터의 병력
프리스카의 병력
리스베스의 병력

제5장 자발적 그림의 체계적 분석
1. 그림 복사와 제목 붙이기
2. 주변 환경과 그림 비교하기
3. 눈에 띄는 사항 확인하기
4. 그림에 생략된 부분 확인하기
5. 그림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숫자
6. 다양한 대상에서 반복되는 숫자
7. 숫자, 이름, 단어, 이니셜 그리고 특별한 의미
8. 대상이 채워졌는지의 여부
9. 대상을 덧칠했거나 그림을 버린 경우
10. 빛에 비추어 그림 뒷면 관찰하기

제6장 그림을 통해 환자에게 다가가는 방법
환자의 측면:
1. 직접적인 자기표현
2. 사람에게 투사
3. 꽃에 반영
4. 비행기에 반영

제7장 방향을 이해하기 위한 보조 수단
1. 그림에서 대상의 방향
2. 연작 그림의 진행 과정에서 대상의 방향
3. 사분면의 의미와 십자선 사용 방법

제8장 색의 사용에 관하여
연한 초록과 진한 초록
갈색
빨강
주황
모브
파랑
노랑
검정
하양
검정과 하양
단색
모든 색

제9장 반복되는 숫자와 시간 단위

제10장 다량의 연작 그림에서 필요한 그림을 선별하는 방법

제11장 환자 그림에 적용되는 지침
1. 자신의 질병이나 삶을 대상에 그린 두 환아의 그림과 건강한 아동의 그림 비교
2. 원본과 환자가 따라 그린 사본의 차이점


제2부 자발적 그림 분석 지침

제12장 심리적 측면에서 원형적인 모티브의 의미
집과 나무
난쟁이
사다리

무지개

태양
타우 문자

제13장 신체적 측면을 고려하는 방법
소아 백혈병
신체적 측면으로 보는 법

제14장 정신과 신체의 관계
정신과 신체는 같은 방향을 향한다
정신이 주도권을 넘겨받다
신체가 주도권을 넘겨받다
정신과 신체가 극과 극으로 흩어지다
정신과 신체의 분리가 가져올 그림자
정신과 신체의 분리


제3부 확충과 반영

제15장 수수께끼 같은 그림 자료의 해석
우연의 일치가 주는 도움

제16장 남겨진 생애에서 변화되는 동일한 모티브
페터와 눈사람
백혈병 환아의 신체적·영적 변화를 표현하는 배, 키펜호이어 박사 기고문
임상 자료 요약
여인과 유니콘
세 가지 그림 시리즈에서 나타나는 동일한 모티브의 운명적인 변화

제17장 일반화와 오역의 위험

제18장 관찰자의 자기 방어

제19장 자발적 그림: 의사, 봉사자, 환자와 가족의 다리 역할

제20장 건강한 아동과 환아의 그림
S. Z.와 페터
쌍둥이 미키와 마누엘레

제21장 치유된 환아들

제22장 병원 안팎에서 일어나는 예후와 내면의 알아차림

제23장 관계의 역할을 하는 타원


도표 및 그림 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Susan Bach</b>

수잔 바흐(1902~1995)는 1902년 베를린에서 태어나 베를린 프리드리히-빌헬름 대학교에서 결정학(crystallography)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바흐의 학문적 배경은 이후 중증 질환 아동의 자발적 그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기초가 되었다. 그녀는 나치즘이 확산되던 1930년에 정신분석가로서 활동을 시작하면서, 자발적 그림의 중요한 의미를 발견했다.

역자 소개

정여주(Chung, Yeo Ju)

독일 쾰른대학교 치료교육대학 지적장애인의 교육과 재활 전공(교육학 박사)

현 CHA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원장

수련감독임상미술심리상담사(SATR)

『미술치료의 이해: 이론과 실제』(3판, 학지사, 2023), 『장애아동의 이해』(학지사, 2022), 『명화 감상 미술치료』(학지사, 2021) 外 역서 및 논문 다수



서하나(Seo, Ha Na)

CHA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박사과정(임상미술치료 전공)

현 쿤스트테라피-독일 미술치료·인지학 치유예술 연구소 대표

일산차병원 암통합힐링센터 및 산모대학 미술태교 미술치료사



이성령(Lee, Jenny Sungryung)

레슬리 대학교(Lesley University) 박사과정(표현예술치료 전공)

현 한국 Openstudio:A.R.T & 캐나다 Iceberg Counseling 미술치료사

캐나다 공인 상담심리사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예술심리치료학과 겸임교수



구슬희(Gu, Seul Hee)

CHA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박사과정(임상미술치료 전공)

현 이화여자대학교병설미디어고등학교 미술치료사, 전문상담사

More warM 대표



김보경(Kim, Bo Kyung)

CHA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박사과정(임상미술치료 전공)

현 군포시아동보호전문기관 미술치료사, 공감심리언어센터 미술치료사

수원시홍재장애인주간이용시설 미술치료사



김세희(Kim, Se Hee)

CHA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박사과정(임상미술치료 전공)

현 허그맘허그인 고양센터 수석상담사

한국통합미술심리치료학회 이사



김진경(Kim, Jin Kyung)

CHA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박사(임상미술치료 전공)

현 Light and Space Art Therapy 대표



신예섬(Shin, Ye Sum)

CHA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박사(임상미술치료 전공)

현 분당차 난임센터 미술치료사

아뜰리에 쉼 미술치료연구소 대표



윤라미(Yoon, Ra Mi)

CHA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박사(임상미술치료 전공)

현 CHA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학과, 성공회대 열림교양대학 강사

남양주아동발달센터 미술치료사

Onda 미술치료연구소 대표



이지혜(Lee, Ji Hye)

CHA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박사(임상미술치료 전공)

현 학대피해아동쉼터 미술치료사

서울의료원 호스피스병동 미술치료사



편명신(Pyun, Myung Shin)

CHA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박사(임상미술치료 전공)



한유정(Han, Yu Jeong)

CHA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박사과정(임상미술치료 전공)

현 일산차병원 암통합힐링센터 및 산모대학 미술태교 미술치료사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