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용 PPT는 PC에서만 다운이 가능합니다.(*교수회원만 가능)
이 책은 상담과 심리치료의 핵심 이론과 실제를 균형 있게 담아 초심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이론과 실제를 아우르는 깊이 있는 안내서로서 전문가와 입문자 모두에게 유익한 인사이트를 제시한다. 학부의 고학년 학생들이나 이제 막 상담과 심리치료 영역에 들어선 대학원생들이 어렵게 느끼지 않으면서도 깊고 복잡한 인간 내면을 살펴볼 수 있도록 돕는 지침서이다. 심리치료 이론들이 지닌 시대를 초월하는 지혜와 위대한 이론가들의 혜안을 담고 있으면서도 가장 현대적이고 지금 세대에 적합한 방향의 초점을 지니고 있어 실용성과 균형 잡힌 내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
머리말 제1장 상담 및 심리치료 1. 상담 및 심리치료 1) 상담 및 심리치료의 개념 2) 생애발달 단계에 따른 상담 및 심리치료의 대상 3) 상담 및 심리치료의 현장 4) 상담 및 심리치료의 형태 5) 상담 및 심리치료의 매개 2. 상담 및 심리치료의 모델 1) 이건의 유능한 조력자 모델 2) 힐의 상담 과정 3단계 모델 3.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의 근거중심실천 1) 상담 및 심리치료 효과성 연구의 발달 2) 공통요인 모델 4. 상담 및 심리치료 관련 학회 1) 국내 학회 2) 미국 학회 5. 상담 및 심리치료의 자격 1) 국가자격 2) 민간자격 3) 미국 자격제도 6. 상담 및 심리치료의 윤리 1) 전문가로서의 능력 및 태도 2) 비밀보장 및 사생활 존중 3) 다중관계 제한 4) 연구 및 출판의 윤리 5) 사회적 책임 7. 요약 및 리뷰 제2장 정신분석적 심리치료 1. 정신분석적 심리치료 소개 1) 주요 발전 2) 주요 학자 전기 2. 정신분석적 심리치료의 주요 이론 1) 정신결정론 2) 이중 본능 이론 3) 유혹가설에서 유아 성욕설로 4) 지형학적 이론 5) 구조 이론 6) 마음의 지형학적, 구조적 모델 7) 불안과 방어 8) 심리성적 발달 단계 9) 대상관계 이론 3. 정신분석적 심리치료의 실제 1) 정신분석과 정신분석적 심리치료 2) 치료적 관계 3) 치료 기법 4. 관련 최신 치료법: 시간제한 역동 심리치료 1) 목적과 변화 원리 2) 사례개념화 3) 핵심 치료 전략 5. 주요 기술 실습 6. 요약 및 리뷰 제3장 개인심리이론 1. 개인심리이론 소개 1) 주요 발전 2) 주요 학자 전기: 알프레드 아들러 2. 개인심리이론 주요 이론 1) 인간론(인간의 정신) 2) 주요 개념 3. 개인심리이론 치료의 실제 1) 아들러의 목적론 2) 치료 기법 4. 관련 최신 치료법 1) 아들러 개인심리이론이 미친 영향 2) 단기 아들러 심리역동 치료 3) 아들러 놀이 치료 5. 주요 기술 실습 1) 생활양식 검사지 6. 요약 및 리뷰 제4장 실존치료 1. 실존치료 소개 1) 주요 발전 2) 주요 학자 전기 2. 실존치료 주요 이론 1) 기본 개념 2) 성격관 및 발달관 문제의 뿌리 3. 실존치료의 실제 1) 상담의 목표 2) 상담의 과정 및 결과 3) 기술과 기법 4. 주요 기술 실습 1) 한계 탐색하기 2) 자유로운 선택을 부인하는 모습 3) 자유로운 선택에 대해 돌아보기 5. 요약 및 리뷰 제5장 구성주의 치료 1. 구성주의 치료 소개 1) 구성주의 치료의 주요 발전 2) 주요 학자 전기 2. 이야기 치료의 주요 이론과 실제 1) 주요 개념 2) 이야기 치료의 실제 3) 이야기 치료 관련 최신 치료법 3. 해결중심 단기치료의 주요 이론과 실제 1) 주요 개념 2) 해결중심 단기치료의 실제 3) 해결중심 단기치료 관련 최신 치료법 4. 주요 기술 실습 1) 이야기 치료의 주요 기술 실습 2) 해결중심 단기치료의 주요 기술 실습 5. 요약 및 리뷰 제6장 게슈탈트 치료 1. 게슈탈트 치료 소개 1) 주요 발전 내용 2) 주요 학자 전기: 프리츠 펄스 2. 게슈탈트 치료 주요 이론 1) 게슈탈트 주요 개념 2) 게슈탈트와 건강한 자아 3) 형태와 배경 4) 접촉 주기 5) 게슈탈트 이론의 이상심리 3. 게슈탈트 치료의 실제 1) 상담자-내담자 관계 2) 평가 및 진단 3) 치료 목적 4. 치료 기법 1) 치료의 단계 2) 빈의자 기법 3) 상담자 언어 개입하기 4) 역할 바꾸기 5. 관련 최신 치료법: 감정중심치료 6. 주요 기술 실습 1) 알아차림 영역 적용하기 2) 내재화된 감정 표현하기 7. 요약 및 리뷰 제7장 현실치료 1. 현실치료 소개 1) 주요 발전 2) 주요 학자 전기 2. 현실치료 주요 이론 1) 통제이론 2) 선택이론 3. 현실치료의 실제 1) 현실치료에서의 정신건강 2) 현실치료의 목적 3) 치료적 관계 4) 치료 과정 모델 5) 주요 치료 기법 및 기술 6) 적용영역 4. 관련 최신 치료법 1) 학교 진로상담 2) 육아 훈련 및 가족치료 모델 5. 주요 기술 실습 1) 기본 욕구 탐색 2) WDEP 체계 3) SAMI2C3 6. 요약 및 리뷰 제8장 인간중심치료 1. 인간중심치료 소개 1) 주요 발전 2) 주요 학자 전기: 칼 로저스 2. 인간중심치료 주요 이론 1) 기본 개념 3. 인간중심치료의 실제 1) 치료의 목적 2) 치료 기법 3) 적용영역과 사례 4. 관련 최신 치료법: 동기강화상담 1) 동기강화상담이란 2) 동기강화상담과 인간중심치료 3) 동기강화상담의 주요 개념 4) 동기강화상담의 실제 5. 주요 기술 실습 1) 인간중심상담 2) 동기강화상담 6. 요약 및 리뷰 제9장 행동치료 1. 행동치료 소개 1) 주요 발전 2) 주요 학자 전기 2. 행동치료 주요 이론 1) 고전적 조건 형성: 자극-반응 모델 2) 조작적 조건 형성: 선행사건-행동-결과 모델 3) 사회인지이론 3. 행동치료 실제 1) 치료적 관계 2) 기법과 절차 4. 관련 최신 치료법: ACT 1) 수용-전념치료(ACT)란 2) 수용-전념치료의 원리 3) 수용-전념치료의 주요 개념 4) 수용-전념치료의 치료 과정 5. 주요 기술 실습 1) 행동치료 과정 6. 요약 및 리뷰 제10장 인지치료와 인지행동치료 1. 인지치료와 인지행동치료 소개 1) 주요 발전 2) 주요 학자 2. 인지치료의 주요 이론과 실제 1) 주요 개념 2) 인지치료의 실제 3) 인지치료 관련 치료법 3. 인지행동치료의 주요 이론과 실제: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1) 주요 개념 2) 합리적 정서행동치료의 실제 3)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관련 치료법 4. 관련 최신 치료: 정서도식치료와 변증법적 행동치료 1) 정서도식치료 2) 변증법적 행동치료 5. 주요 기술 실습 1) 사고기록지 실습 2) A-B-C-D-E 연습하기 3) 신념의 이익과 손실(기능적 논박) 6. 요약 및 리뷰 제11장 다문화상담 1. 다문화상담 소개 1) 다문화상담의 주요 발전 2) 주요 학자 전기: 데럴드 윙 수 2. 다문화상담 주요 이론 1) 다문화상담 유능성 2) 미국상담학회의 다문화주의 상담 이론 3) 상담자 옹호 역량 4) 인종적 정체성 발달 단계 5) 문화적응 모델 6) 정체성 교차 7) 미세공격 8) 상담자 특권 알아차리기 3. 다문화상담의 실제 1) 여성주의 상담 2) 남성 상담 3) 연장자 상담 4) 군인 내담자 상담 5) 국내 체류 외국인 상담 6) 장애인 상담 4. 관련 최신 치료법 1) 문화적으로 유능한 평가 2) 문화적으로 수정된 증거기반실천 3) 상담자의 역할 이해하기 4) 다문화주의 평가 과정 5. 주요 기술 실습 1) 다문화 역량 검사지 2) 사례연구 6. 요약 및 리뷰 제12장 그 외 중요한 심리치료 1. 그 외 중요한 심리치료 소개 1) 관계심리치료 2) 교류분석 3) 긍정심리치료 2. 관계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1) 주요 개념 2) 관계심리치료의 실제 3. 교류분석의 이론과 실제 1) 주요 개념 2) 교류분석의 실제 4. 긍정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1) 주요 개념 2) 긍정심리치료의 실제 5. 주요 기술 실습 1) 관계심리치료의 주요 기술 2) 교류분석의 주요 기술 3) 긍정심리치료의 주요 기술 6. 요약 및 리뷰 참고문헌 찾아보기
<b>신성만</b>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케임브리지병원 정신과 연구원 현 한동대학교 상담심리학 교수/상담대학원장 <b>금창민</b>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전임상담원 인제대학교 상담심리치료학과 조교수 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고용서비스정책학과 조교수 <b>김이삭</b>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Herr Clinic 상담자 및 수퍼바이저 현 네브래스카대학교-오마하 상담학과 조교수 <b>김주은</b> 대전중구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센터장 현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부교수 <b>김향미</b> 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 외래교수 강서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외래교수 현 김천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조교수 <b>남소정</b>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연구원 웨스턴미시간대학교 상담자교육 및 상담심리학과 조교수 현 뉴멕시코대학교 상담 전공 조교수 <b>신정미</b> 숭실대학교 상담·인권센터 전임 상담사 현 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 외래교수 <b>이아람</b> 뉴욕 주립대학교 오스웨고 초빙조교수 현 시러큐스대학교 조교수 <b>이영희</b> 한동대학교 외래교수 대구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외래교수 현 토닥토닥협동조합(토닥토닥심리상담센터) 센터장 <b>정정운</b> 포트헤이스 주립대학교 상담 전공 조교수 현 뉴멕시코대학교 상담 전공 조교수 <b>최희락</b> 미시간 주립대학교 상담자교육과 수퍼비전 연구조교 현 노스웨스턴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원 <b>추교현</b> 한동대학교 외래교수 선린대학교 겸임교수 현 김천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조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