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역량 기반 교수
초등학교에 마르자노 아카데미 모델 적용하기
저자 : Robert J. Marzano, Seth D. Abbot | 역자 : 온정덕, 윤지영
페이지 : 288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0,000원
  • 978-89-997-3320-8 93370
  • 2025-02-20
  • 4x6배판변형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촉진과 평가로서의 교육을 이야기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성장형 평가’ 혹은 ‘모든 학생의 성공을 위한 평가’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학생의 역량 계발을 이야기한다. 이러한 성장형 평가는 성장의 준거 혹은 기준이 되는 척도 마련과 함께, 성취평가제를 통한 절대 평가로 실시될 수 있다. 하지만 과연 우리가 각 등급에 해당하는 준거를 갖추고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확실한 것은 학생의 평가 결과가 척도와 연결될 때 학생의 학습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학생 개개인의 점수에 대한 의미 있는 해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숙달 척도와 같은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이 책은 지금까지 우리가 통찰과 경험에 근거해서 교실에서 자연스럽게 혹은 암묵적으로 해 왔던 것의 의미를 학교 교육의 구조 안에서 체계적으로 제시한다. 우리가 해 온 다양한 실천을 가시화하여 이를 정기적으로 계획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서론
마르자노 아카데미 모델의 역사와 토대
마르자노 아카데미의 수업 모델
이 책의 구성

제1장 피드백
설계 분야 I: 숙달 척도
설계 분야 II: 평가
요약

제2장 내용
설계 분야 III: 숙달 척도 수업
설계 분야 IV: 일반적 수업
요약

제3장 맥락
설계 분야 V: 그룹화와 재그룹화
설계 분야 VI: 참여
설계 분야 VII: 편안함, 안전, 질서
요약

제4장 자기 조절
설계 분야 VIII: 소속감과 존중감
설계 분야 IX: 효능감과 주체성
설계 분야 X: 메타인지와 생활 기능
요약

제5장 CBE 마인드셋
학생들을 위한 CBE 기능과 과정
촉진과 평가로서 교육
성적 산출 및 보고를 위한 새로운 측정 방법
요약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로버트 J. 마르자노(Robert J. Marzano)</b>

콜로라도주 덴버에 위치한 마르자노 리소스(Marzano Resources)의 공동 설립자이자 최고 학

술 책임자(chief academic officer)이다. 교육 분야에서 50년 동안 활동하며, 연설자이자 트레이너로서 교육자들과 함께 일해 왔다. 교수, 평가, 기준(standards) 작성 및 구현, 인지, 효과적인 리더십, 학교의 중재(intervention) 등을 주제로 50권 이상의 책과 200편 이상의 논문을 저술했다. 저서로는 『The New Art and Science of Teaching』 『Leaders of Learning』 『Making Classroom Assessments Reliable and Valid』 『The Classroom Strategies Series』 『Managing the Inner World of Teaching』 『A Handbook for High Reliability Schools』 『A Handbook for Personalized Competency-Based Education』, 그리고 『The Highly Engaged Classroom』 등이 있다. 그의 최신 연구와 이론은 실제적인 교실 전략으로 전환되어 국제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교사들과 관리자들 모두 이를 널리 실천하고 있다. 마르자노 박사는 뉴욕 아이오나대학교에서 학사학위를, 시애틀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워싱턴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b>세스 D. 애버트(Seth D. Abbott)</b>

콜로라도주 웨스트민스터에 있는 마르자노 아카데미인 존 E. 플린(John E. Flynn) 학교의 교사이다. 그는 개별화 역량 기반 교육(Personalized Competency-Based Education: PCBE)의 선구자인 웨스트민스터 공립학교(Westminster Public Schools: WPS)에서 13년간 근무했다. 혁신적인 교육 스타일로 PCBE 운동의 중심에 선 인물이기도 하다. WPS에서 역량 기반 도구, 실천, 절차 개발에 리더 역할을 했으며, 국제적으로도 학교구를 대표해 왔다. 그는 PCBE를 옹호하며 전 세계의 교육구와 조직을 위해 자문, 상담, 훈련을 진행해 왔다. 2019년에는 마르자노 리소스 고신뢰 교사 프로그램(Marzano Resources High Reliability Teacher™ Program)에서 최초로 레벨 3에 도달한 교사가 되었다. 이 외에도 블로그에 다양한 글을 썼고, 역량 기반 교육 분야의 전문가로서 팟캐스트에 출연하기도 했으며, 콜로라도주에서 매년 열리는 전국 역량 기반 교육 콘퍼런스인 ‘WPS 서밋’에서 정기적으로 발표를 하고 있다. 덴버 메트로폴리탄 주립대학교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역자 소개

<b>온정덕</b>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에서 초등교육전공(교육학 부전공)으로 학사학위를,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초등교육학과에서 교육과정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반포초등학교와 명지초등학교에서 교사로 재직 후 미국 아이오와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과정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제임스매디슨대학교 사범대학 초등교육과에서 4년간 조교수를 한 후, 현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학부와 대학원에서 교육과정, IB교육을 주제로 강의하고 있으며, 국가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설계, 통합교육과정, 교실 평가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또한 국가 교육과정 개정 연구를 포함하여 여러 분야의 연구자들과 함께 교육과정 관련 정책연구에 참여하고 있으며, 교육부·교육청·학교 등 공공기관에서 주관하는 현장 교사 대상 연수와 컨설팅을 하고 있다.

『이해중심 교육과정: 백워드 설계』(공저, 교육아카데미, 2014), 『교실 속으로 간 이해중심 교육과정: 이론과 실천이 만나다』(공저, 살림터, 2018),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이해와 설계』(공저, 교육아카데미, 2018),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이해를 위한 수업』(공저, 교육아카데미, 2021), 『교실 속으로 간 이해중심 통합교육과정: 이론과 실천이 만나다 2』(공저, 살림터, 2022), 『디지털 교육 트렌드리포트 2024: 대한민국 디지털 교육혁신 원년, 10대 키워드 분석과 2024년 전망』(공저, 테크빌교육, 2023), 『맞춤형 수업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통합』(공역, 학지사, 2012), 『백워드 단원 설계와 개발: 기본 모듈Ⅱ』(공역, 교육과학사, 2015), 『백워드로 시작하는 창의적인 학교교육과정 설계』(공역, 학지사, 2015), 『생각하는 교실을 위한 개념 기반 교육과정 및 수업』(공역, 학지사, 2019), 『교실 평가로 학습 극대화하기: 학습 과정으로서의 평가』(공역, 학지사, 2022) 등 다수의 저·역서 및 연구 논문이 있다.



<b>윤지영</b>

부산교육대학교에서 학사학위를, 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에서 교육심리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에서 교육방법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공립초등학교 교사로 18년간 재직 후, 현재 대학에서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강의를 하고 있다. 교육과정 관련 정책연구에 참여해 왔으며, 교육과정 설계와 실천, 학습과 사고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생각하는 교실을 위한 개념 기반 교육과정 및 수업』(공역, 학지사, 2019), 『교실 평가로 학습 극대화하기: 학습 과정으로서의 평가』(공역, 학지사, 2022),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서 단원 설계 방안탐색」(공동, 미래교육연구, 2017), 「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기능의 의미와 설계 방식 고찰」(공동,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교과 교육과정 지식과 기능 영역의 의미와 설계 방식 고찰: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공동, 교육과정연구, 2021), 「학습에서의 성찰개념 및 교육과정에의 적용 방안 고찰」(공동, 교육과정연구, 2022), 「총론과 각론 연계성 제고를 위한 교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탐색」(공동,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4) 등 다수의 역서와 연구 논문이 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