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부부치료
이론과 실제
저자 : 이진희
페이지 : 328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0,000원
  • 978-89-997-3303-1 93180
  • 2025-01-25
  • 크라운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국내 부부치료 분야의 부족한 전문 자료를 보완하고, 부부치료 임상 및 교육 현장의 기본 지침서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집필되었으며, 전체 3부 13개 장으로 구성되었다. 부부치료에 관한 다양한 이론적 관점과 함께 각 이론의 실제 적용 사례를 담고자 하였으며, 각 이론적 모델의 특성을 열 가지 핵심 요인을 기준으로 분석하고 설명하여 모델 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했다. 이 ‘핵심 요인’에는 이론적 배경, 기본 관점, 주요 개념, 평가와 사례개념화, 치료적 초점과 목표, 치료 과정과 구조, 치료자 역할, 치료적 개입, 사례 적용, 그리고 통합적 관점에서의 평가가 포함된다.

목차

머리말

PART 1 부부치료의 발전과 기반

chapter 1 부부치료의 전문적 발전과 동향
1. 부부치료의 발달 단계와 전개
2. 부부치료의 전문화와 제도화: 국제적 맥락
3. 현대 부부치료의 동향과 전망

chapter 2 부부치료의 인식론적 기반
1. 체계론적 인식론
2. 사회구성주의적 인식론

PART 2 부부치료의 이론적 모델

chapter 3 인지행동적 부부치료
1. 이론적 배경
2. 기본 관점
3. 주요 개념
4. 평가와 사례개념화
5. 치료적 초점과 목표
6. 치료 과정과 구조
7. 치료자 역할
8. 치료적 개입
9. 사례 적용
10. 통합적 관점에서의 평가

chapter 4 통합적 행동부부치료
1. 이론적 배경
2. 기본 관점
3. 주요 개념
4. 평가와 사례개념화
5. 치료적 초점과 목표
6. 치료 과정과 구조
7. 치료자 역할
8. 치료적 개입
9. 사례 적용
10. 통합적 관점에서의 평가

chapter 5 정서중심적 부부치료
1. 이론적 배경
2. 기본 관점
3. 주요 개념
4. 평가와 사례개념화
5. 치료적 초점과 목표
6. 치료 과정과 구조
7. 치료자 역할
8. 치료적 개입
9. 사례 적용
10. 통합적 관점에서의 평가

chapter 6 대상관계 부부치료
1. 이론적 배경
2. 기본 관점
3. 주요 개념
4. 평가와 사례개념화
5. 치료적 초점과 목표
6. 치료 과정과 구조
7. 치료자 역할
8. 치료적 개입
9. 사례 적용
10. 통합적 관점에서의 평가

chapter 7 다세대 가족체계 부부치료
1. 이론적 배경
2. 기본 관점
3. 주요 개념
4. 평가와 사례개념화
5. 치료적 초점과 목표
6. 치료 과정과 구조
7. 치료자 역할
8. 치료적 개입
9. 사례 적용
10. 통합적 관점에서의 평가

chapter 8 MRI 전략적 부부치료
1. 이론적 배경
2. 기본 관점
3. 주요 개념
4. 평가와 사례개념화
5. 치료적 초점과 목표
6. 치료 과정과 구조
7. 치료자 역할
8. 치료적 개입
9. 사례 적용
10. 통합적 관점에서의 평가

chapter 9 Haley 전략적 부부치료
1. 이론적 배경
2. 기본 관점
3. 주요 개념
4. 평가와 사례개념화
5. 치료적 초점과 목표
6. 치료 과정과 구조
7. 치료자 역할
8. 치료적 개입
9. 사례 적용
10. 통합적 관점에서의 평가

chapter 10 해결중심 부부치료
1. 이론적 배경
2. 기본 관점
3. 주요 개념
4. 평가와 사례개념화
5. 치료적 초점과 목표
6. 치료 과정과 구조
7. 치료자 역할
8. 치료적 개입
9. 사례 적용
10. 통합적 관점에서의 평가

chapter 11 이야기 부부치료
1. 이론적 배경
2. 기본 관점
3. 주요 개념
4. 평가와 사례개념화
5. 치료적 초점과 목표
6. 치료 과정과 구조
7. 치료자 역할
8. 치료적 개입
9. 사례 적용
10. 통합적 관점에서의 평가

PART 3 통합적 관점과 부부치료 실제

chapter 12 부부치료의 통합적 관점
1. 치료자의 역할
2. 개입의 시간적 틀
3. 개입의 수준
4. 개입의 초점과 목표
5. 부부치료의 통합적 접근

chapter 13 부부치료의 실제: 임상적 도전과 극복
1. 감정의 급격한 격화
2. 편향된 치료 관계의 형성
3. 치료자의 개인적 경험과 가치관의 영향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font color=993366><b>이진희</b>



현재 신라대학교 상담치료복지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트윈시티(미네아폴리스-세인트폴)에 위치한 미네소타대학교에서 가족사회과학부 부부가족치료학 전공 박사학위(Ph.D.)를, 미국 루이지애나대학교에서 부부가족치료학 석사학위(M.A.)를 받았으며, 미국 정부 공인 부부가족치료 전문가(LMFT)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현재 신라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소장과 가족상담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으며, 한국가족치료학회 학술지 『가족과 가족치료』 편집위원장(17~19대)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상담학회 부부가족상담학회 학술위원장(8~9대)과 부산시 소방안전본부 부부가족소통 프로그램 전문위원을 역임했으며, 신라대학교에서 국제교류처 처장 및 국제대학 학장, 인권센터 소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한국 가족을 중심으로 한 부부·가족상담 핸드북』(공저, 2020, 학지사)이 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