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
<b>김은심</b>
국립강릉원주대학교에 재직 중이며, 예비유아교사 교육과 부모교육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회장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대표 저ㆍ역서로는 『영유아교사를 위한 언어지도의 이론과 실제』(공저, 2024), 『유아음악교육』(공저, 2023), 『영유아를 위한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공저, 2023), 『유아언어지도』(공저, 2022), 『유아동작교육의 이론과 실제』(2022), 『출생부터 8세까지 유아를 위한 동작ㆍ음악교육』(역, 2021/원전 출판 2021), 『유아미술교육』(공저, 2019) 외 다수가 있습니다. 또한 「환경부 선정 유아용 우수환경 그림책의 특성 분석연구」(2024), 「유아 성인지 감수성 그림책 분석」(2023), 「생활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놀이가 만 1세반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2022), 「그림책 ‘알사탕’의 온라인 독자 서평 분석 연구: 소통을 중심으로」(2022), 「글자 그림책 선택 기준에 대한 유아교사의 주관적 태도 분석」(2019) 등 아동문학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유아언어교육, 유아동작교육, 부모교육 등과 관련된 주제의 연구를 다수 수행하였습니다.
<b>유지안</b>
현재 문경대학교에 재직 중이며, 예비유아교사와 현직교사, 부모 등을 대상으로 그림책 관련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대표 저서는 『유아미술교육』(공저, 2019)가 있으며, 「층간소음을 다룬 그림책에 나타난 갈등구조 분석」(2022),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동물권과 동물복지」(2021), 「레미쿠르종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 인성 교육 내용 분석」(2021), 「그림책에 나타난 대중목욕탕 공간의 의미」(2020), 「글자 그림책 선택 기준에 대한 유아교사의 주관적 태도 분석」(2019) 등 아동문학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b>문선영</b>
문경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현재 문경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유아교육) 특임교수이자, 강원대학교, 공주대학교 유아교육과 등에서 아동문학을 강의하고 있습니다. 대표 저서로는 『유아음악교육』(공저, 2023)이 있으며, 「유아 성인지 감수성 그림책 분석」(2023), 「층간소음을 다룬 그림책에 나타난 갈등 구조 분석」(2022), 「생활 그림책을 활용한 가정연계 놀이가 만 1세반 영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2022),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동물권과 동물복지」(2021) 등을 연구하였습니다. 아동문학과 그림책을 사랑하는 연구자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도서이사를 맡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