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역자 서문 
저자 서문
chapter 01 놀이치료실에서의 공격성
희망찬 새로운 패러다임 
기본을 알기 
추가적인 지원과 병행하기 
시너제틱 놀이치료 
강렬함을 피하지 않기 
놀이치료사가 흔히 겪는 일 
치료자부터 시작하기 
트라우마 치료를 위한 놀잇감 선택하기
chapter 02 새로운 관점 탐색하기: 공격성 수용하기
공격성 표현에 완벽한 장소, 놀이치료실 
카타르시스 
공격성에 “안 돼.”라고 말하지 않기 
수치심 
chapter 03 신경계 이해하기  
신경계가 정의하는 위협 
신경계의 활성화 
안전에 대한 신경지 
치료에서의 신경계 
공격적 놀이에서의 신경계
chapter 04 조절의 진정한 의미  
연속선상에 존재하는 조절 
아동의 본능적인 조절 방식 
외부 조절자의 필요성 
chapter 05 외부 조절자로서의 역량 키우기  
성장에 대한 헌신 
느끼면서 조율하기 
강렬함에 다가가기 
치료자의 배쪽 신경계로 포용하기 
몸과의 관계를 개발하기 
구하고자 하는 욕구 
두려움에 맞서기 
공격성에 대한 신념 
치료자의 과거 경험이 미치는 영향 
chapter 06 조절하기의 기본  
치료자 먼저 산소마스크 착용하기 
보고 배우는 원숭이 
마이키 사례 
조절을 모델링하기 
경험을 소리 내어 표현하기
chapter 07 설정  
한 발은 안으로, 한 발은 밖으로 
나인가, 아니면 당신인가 
chapter 08 진정성 있는 표현  
나는 정말로 내가 될 수 있을까 
‘해야 한다.’는 생각이 주는 방해 
진정성 있는 반응 나누기 
아이들에게 진짜가 되기 위한 치료사의 진정성 
신경 경로 변경하기 
chapter 09 경계 설정  
경계는 개인마다 다르다 
경계는 중요하다 
경계 설정은 유연한 경험이다 
어떻게 경계를 설정해야 할까 
흐름 유지하기: 인정하기와 재지시하기 
나는 공격성을 조장하고 있는가 
안전 문제 
교정하기 
chapter 10 너무 강렬한가: 정서적 범람과 작업하기  
정서적 범람에 대한 이해 
정서적 범람은 관계의 부분이다 
범람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정서적 범람과 작업하기 
정서적 범람은 나쁜 것인가 
불화와 교정은 안전감을 만든다 
정서적으로 범람할 때 
chapter 11 공격적인 놀이 관찰 
관찰자의 중요성 
관찰자가 되는 방법 
밥백/펀칭백 사용하기 
chapter 12 과각성 놀이  
과각성을 조절하기 위한 추가 정보 
느끼고 흘러가도록 두어라 
칼싸움을 하자 
놀이 대본 작성 
chapter 13 저각성 놀이  
놀이치료실에서 죽음은 정말로 필요한가 
죽으면서 넘어지기 
죽은 사람은 말이 없는 법
저각성과 죽음을 통해 조절하기 
당신은 여전히 느끼고 있다 
당신은 여전히 마음을 느낀다 
아이는 당신을 느낄 수 있다 
죽은 동안에도 현재에 머물기 
반복되는 죽음 
저각성 묘사하기 
부정적인 자기 대화 
chapter 14 공격적인 놀이 동안 부모 지원하기  
코치할 시간 
놀이치료실에서 부모를 조절하기 
경계 설정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