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원서 10판)
저자 : Gerald Corey | 역자 : 김창대, 천성문, 이동훈, 전종국, 이영순, 방기연, 김장회
페이지 : 632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34,000원
  • 978-89-997-3204-1 93180
  • 2024-09-20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집단상담 과정의 기본 요소를 개관하고, 집단상담에서 특수하게 나타나는 전문적 문제와 윤리에 대해 다루며, 집단상담과 관련된 10개의 모델에 대한 핵심 개념 및 기법들을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접근법들의 통합을 시도함으로써 독자들이 자신만의 종합적인 틀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이번 10판에서는 이론적 모델을 집단 작업에 실제로 적용하는 것에 대해 강조하였다. 핵심 목적은 이러한 접근법의 다양한 측면을 통합하여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또한 이 책에서는 집단의 발달 단계에 대한 두 개의 장이 포함되어 있어서 지도자를 위한 상담 실무에서의 가이드를 제공한다. 1부(1~5장)에서는 집단의 종류 혹은 이론적 방향성과 관계없이 기본적으로 숙지해야 할 집단 과정 및 실제의 요소들을 다룬다. 2부(6~15장)에서는 집단상담과 관련된 10개의 이론적 접근들을 다루고 있다. 이번 10판에서 개정된 내용은 대부분 2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3부(16장)에서는 1부와 2부에서 다룬 이론과 원리를 실제로 적용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1부 집단 과정의 기본적 요소: 개관

1장 도입
집단상담 활용의 증가
집단상담 개관
다른 형태의 집단들
다문화 맥락에서의 집단상담

2장 집단지도자
인간으로서의 집단지도자
초보 집단지도자의 특수한 문제와 주제
집단지도자의 기술
집단 회기를 시작하고 마치는 특별한 기술
다양성을 다루는 역량을 지닌 집단상담사 되기
당신의 집단 리더십 스타일 개발하기
집단상담에서 연구의 역할

3장 집단상담에서의 윤리적·직업적인 문제
집단구성원의 권리
집단에서 심리적 위험에 관한 문제
집단지도자의 윤리
구성원 간의 교제
지도자의 가치관이 집단에 미치는 영향
집단상담에서의 종교적, 영적 가치
다문화 집단치료의 도덕적 쟁점
집단상담 기법의 올바른 사용과 그릇된 사용
집단상담사의 역량
집단상담 전문가가 되기 위한 나의 여정
온라인 집단상담 강의
책임과 과실

4장 집단 발달의 초기 단계
1단계: 사전 집단의 쟁점-집단의 구성
2단계: 초기 단계-방향 설정 및 탐색
3단계: 과도기(전환) 단계-거부감 다루기
결론

5장 집단 발달의 후기 단계
4단계: 작업 단계-응집과 생산력
효과적인 집단 작업의 특징
집단의 치료적 요인
작업 단계의 요약
5단계: 종결 단계-통합과 종결
집단 종결의 효과적인 방법
종결 단계의 요약
6단계: 종결 후 집단의 쟁점-평가와 추후 과정
집단의 과정과 결과 평가
추후 집단 회기
결론

2부 집단상담에 대한 이론적 접근

6장 정신분석적 집단상담
서론
주요 개념
집단지도자의 역할과 기능
적용: 치료 기법과 절차
발달단계와 집단 작업에서 갖는 의미
정신분석 집단치료에서의 최신 동향
집단 이론의 실제: 정신역동적 접근의 적용
학교 집단상담에 대한 정신분석적 접근의 적용
다문화 집단에 대한 정신분석적 접근의 적용
집단에 대한 정신분석적 접근의 평가

7장 Adler 학파와 집단상담
서론
주요 개념
집단지도자의 역할과 기능
Adler 집단상담의 단계
적용: 치료 기법과 절차
집단 이론의 실제: Adler 학파의 적용
학교 집단상담에 대한 Adler 학파 접근의 적용
다문화 집단에 대한 Adler 학파 접근의 적용
집단에 대한 Adler 학파 접근의 평가

8장 사이코드라마와 집단상담
서론
주요 개념
집단지도자의 역할과 기능
사이코드라마의 기본 요소
사이코드라마 과정의 단계
적용: 치료 기법과 절차
집단 이론의 실제: 사이코드라마의 적용
학교 집단상담에 대한 사이코드라마의 적용
다문화 집단에 대한 사이코드라마의 적용
사이코드라마에 대한 평가

9장 실존주의 접근과 집단상담
서론
주요 개념
집단지도자의 역할과 기능
적용: 치료 기법과 절차
실존주의 집단의 단계
집단 이론의 실제: 실존주의적 적용
학교 집단상담에 대한 실존주의 접근의 적용
다문화 집단에 대한 실존주의 접근의 적용
집단에 대한 실존주의 접근의 평가

10장 인간중심 접근과 집단상담
서론
주요 개념
집단지도자의 역할과 기능
인간중심 집단의 단계
인간중심 표현예술과 집단상담
적용: 치료 기법과 절차
집단 이론의 실제: 인간중심 적용
학교 집단상담에 대한 인간중심 접근의 적용
다문화 집단에 대한 인간중심 접근의 적용
집단에 대한 인간중심 접근의 평가

11장 게슈탈트 치료와 집단상담
서론
주요 개념
집단지도자의 역할과 기능
게슈탈트 집단의 단계
적용: 치료 기법과 절차
집단 이론의 실제: 게슈탈트 치료의 적용
학교 집단상담에 대한 게슈탈트 치료의 적용
다문화 집단에 대한 게슈탈트 치료의 적용
집단에 대한 게슈탈트 접근의 평가

12장 인지행동적 집단상담
서론
주요 개념
집단지도자의 역할과 기능
인지행동 집단의 단계
적용: 치료 기법과 절차
집단 이론의 실제: CBT 이론의 적용
학교 집단상담에 대한 인지행동 접근의 적용
다문화 집단에 대한 인지행동 접근의 적용
집단에 대한 인지행동 접근의 평가

13장 합리적 정서행동치료와 집단상담
서론
주요 개념
집단지도자의 역할과 기능
적용: 치료 기법과 절차
집단 이론의 실제: REBT의 적용
학교 집단상담에 대한 REBT의 적용
다문화 집단에 대한 REBT의 적용
집단에 대한 REBT의 평가

14장 선택 이론/현실치료와 집단상담
서론
주요 개념
집단지도자의 역할과 기능
적용: 치료 기법과 절차
집단 이론의 실제: 현실치료의 적용
학교 집단상담에 대한 현실치료의 적용
다문화 집단에 대한 현실치료의 적용
집단에 대한 선택 이론과 현실치료 평가

15장 해결중심 단기치료와 동기강화상담에서의 집단상담
서론
주요 개념
집단지도자의 역할과 기능
해결중심 집단의 과정
적용: 치료 기법과 절차
집단 이론의 실제: 해결중심 단기치료의 적용
학교 집단상담에 대한 해결중심 단기치료의 적용
다문화 집단에 대한 해결중심 단기치료의 적용
동기강화상담
집단에 대한 해결중심 단기치료와 동기강화상담의 평가

3부 통합과 적용

16장 비교, 대비, 통합
서론
집단상담의 목표: 다양한 관점
집단지도자의 역할과 기능: 다양한 관점
구조화의 정도와 책임의 분배: 다양한 관점
기법의 사용: 다양한 관점
다문화 맥락에서의 집단상담: 다양한 관점
통합적 모델의 적용
요약과 검토를 위한 표

찾아보기

저자 소개

<font color=993366><b>Gerald Corey</b>

풀러턴에 소재한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휴먼 서비스 및 상담학과(Human services and Counseilng) 명예교수이며, 뉴올리언스 홀리 크로스 대학교의 상담학 특별 초빙교수이다.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상담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92년에는 국립 루이스 대학교 명예 인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심리전문가위원회(American Board of Professional Psychology)의 공인을 받은 상담심리학 전문가이고, 국가공인 심리학자이자 상담가이며, 미국심리학회(APA, 17분과 상담심리학, 28분과 집단심리치료)와 미국상담협회(ACA) 및 집단상담전문가협회(ASGW)의 특별 회원이다. 2011년에는 미국정신건강상담사협회(American Mental Health Counselors Association)에서 공로상을 수상했으며, 2001년에는 집단상담전문가협회(ASGW)로부터 특별공헌상(Eminent Career Award)을 받았고, 1991년에는 풀러턴 소재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올해의 교수상을 받았다. 또한 2021년 미국상담협회(ACA)의 가상 회의에서 토마스 호헨실 전국 출판물상 등을 수상했다. 16권의 상담학 교과서의 저자 또는 공저자이며, 70편 이상의 학술논문과 다수의 저서를 집필했다. 그의 저서인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는 아랍어, 인도네시아어, 포르투갈어, 한국어, 중국어로 번역되었으며,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Theory and Practice of Group Counseling)』는 한국어, 중국어, 스페인어 그리고 러시아어로 번역되었다. 『상담 및 심리치료 윤리(Issues and Ethics in the Helping Professions)』는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로 번역되었다. 그리고 동료들과 함께 미국, 독일, 아일랜드, 벨기에, 스코틀랜드, 멕시코, 캐나다, 중국, 한국에서 집단상담 훈련을 중점적으로 워크숍을 진행했다.

역자 소개

<font color=993366><b>김창대</b>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전문상담사단체협의회 회장

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수련감독급,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전 한국상담학회 회장, 한국상담진흥협회 이사장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원장



<font color=993366><b>천성문</b>

국립부경대학교 평생교육상담학과 교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이사

문화체육부 영상물등급위원회 이사

한국교육치료학회 회장

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수련감독급,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전 경성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상담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스탠퍼드대학교 초빙객원교수



<font color=993366><b>이동훈</b>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외상심리건강연구소 소장

전국대학교학생상담센터협의회 회장

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수련감독급,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게슈탈트상담학회전문가

전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조교수



<font color=993366><b>전종국</b>

대구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한국상담학회 산하 집단상담학회 회장, 한국아들러심리협회(KSAP) 회장

한국집단상담학회, 한국학교상담학회 수련감독

Certified Adlerian Counselor by The Alfred Adler Institute at British Columbia

전 한국심리학회 선임이사, 한국코칭심리학회 학술위원장

여성가족부 정책자문위원, 한국교류분석학회 회장



<font color=993366><b>이영순</b>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전북대학교 부설 심리코칭연구소 소장

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수련감독급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정신보건임상심리사



<font color=993366><b>방기연</b>

고려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한국상담학회 학교상담학회 회장

APA Div 29 International Committee Member

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수련감독급,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전 전국대학상담학과협의회 회장, CUK심리상담센터 센터장



<font color=993366><b>김장회</b>

경상국립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경상국립대학교 교육연구원장, 학생상담센터장

한국상담학회 회장

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수련감독급

전 인제대학교 상담심리치료학과 교수

전국대학교학생상담센터협의회 회장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