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미드저니 프롬프트 가이드북
쉽게 배우는
저자 : 박승배, 전진성
페이지 : 184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5,000원
  • 979-11-93667-06-4 00320
  • 2024-08-20
  • 신국판변형
  • 무선철

내용

‘디자이너는 인공지능(AI)의 변화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라는 물음은 현재진행형입니다. 기술은 계속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디자이너는 새로운 도구, 기술, 트렌드에 대한 지식을 계속해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학습과정에 적극 참여하고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여 디자이너로서의 경쟁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단순히 디자인 능력뿐만 아니라 다양한 역량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데이터 시각화, 인터랙션 디자인, 기술 이해, 윤리 및 사회적 영향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역량을 키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AI와 함께 작업할 때, 다양한 전문가들과의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개발자, 데이터 과학자, 비즈니스 전문가 등과 소통과 협업 능력을 향상시키면서 효과적인 팀으로 작업할 수 있어야 합니다.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말이 있듯이 이 변화의 최전선에서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까를 정확하게 판단해야 할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미드저니(Midjourney)라고 생각했습니다. 가장 빠르게 변화를 만들어 내고 가장 정확하게 디자이너의 요구를 제공할 줄 아는 인공지능이 바로 미드저니라 생각되어 이 책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생성형 이미지 인공지능의 선두주자로서 미드저니를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지금 현재의 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덕목 중 하나라고 생각됩니다. 아마 지금 이 시간에도 인공지능은 더 빠르게 발전하고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활용하는 데에 첫 출발로서 미드저니를 추천하며 이 책과 함께 시작하시기를 바랍니다. 

목차

머리말

01. 미드저니 시작하기
미드저니에서 이미지 생성하기
자주 쓰는 미드저니 커맨드
미드저니와 니지저니 설정

02. 미드저니의 프롬프트
프롬프트의 기본 구조
프롬프트의 기본 구성
이미지 프롬프트
매개변수

03. 미드저니 프롬프트 작성 심화
추가 프롬프트 작성 팁
공식 미드저니 프롬프트 가이드
미드저니 사이트 레퍼런스 이용하기

04. 미드저니 이미지 활용하기

05. 프롬프트 아카이브: 주제
프롬프트 아카이브 개요
인물 및 인종
감정 및 표정
얼굴 외형
헤어 스타일
의상
장신구
행동

06. 프롬프트 아카이브: 환경
배경(현실)
배경(판타지)
화면 구성

07. 프롬프트 아카이브: 스타일
효과 및 광원
장르 및 표현 방식
아티스트 및 추가 레퍼런스

08. 이미지 아카이브
1. 현실적인 사진
2. 3D 모델링
3. 일러스트레이션
4. 예술 & 디자인
5. 건축물

저자 소개

<b>박승배</b>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프로그램 교수다. 미국 Academy of Art University에서 New Media 석사를 취득하였고 홍익대학교 영상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제일기획에서 제작본부와 인터넷비즈니스팀에서 근무하였으며 현대카드에서 광고를 담당하였고 미국 RBG marketing에서 아트디렉터를 역임하였다. 학교 임용 전 디자인컨설팅회사와 온라인마케팅회사 등을 연쇄 창업하였고 2017년 국내 최초 AI 디자인 스타트업 브랜뉴테크를 창업하였다.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부회장, 한국 서비스디자인학회 부회장, 한국광고PR실학회 이사로 봉사하고 있으며 주요 저서로는 『이노베이티브 광고』(공저, 도서출판대가, 2016), 『트리플미디어 마케팅과 광고기획』(공저, 중앙북스, 2016) 등이 있다.



<b>전진성</b>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학을 전공하였다. 2022년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이 출시되면서 생성형 인공지능을 통한 이미지 생성 기술을 접해 현재는 미드저니와 Dall-E, Gen-2 등의 다양한 Gen-AI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다른 분야의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예: Chat GPT, Eleven Labs 등)과 접목하여 기존의 미디어에 새로운 방식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 또한,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의 보편화를 위한 AI 이미지 아카이브 및 커뮤니티 서비스인 ‘SERP’를 시험 제작하는 등, 기존의 사용자에게 익숙한 방식의 UX를 활용하여 모두가 생성형 인공지능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