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심미학적 음악치료의 아키텍처
The Architecture of Aesthetic Music Therapy
저자 : Colin Andrew Lee | 역자 : 심성용
페이지 : 352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3,000원
  • 978-89-997-3166-2 93180
  • 2024-08-08
  • 크라운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음악치료의 본질과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음악의 본질적 특성과 치료 효과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강조
2. 현대 음악 동향을 음악치료에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
3. 음악의 접근성과 치료 효과 사이의 균형 문제 제기
4. 음악적 (구조적) 관계를 치료적 관계로 재해석 및 이와 관련한 새로운 이론으로 개발
5. 음악 중심 실천과 음악 의학 간의 접점 모색 제안
6.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치료적 자원으로 보고 그 활용의 중요성 강조
7. 심미학적 음악치료(AeMT)라는 새로운 접근법 소개
8. 음악과 인간의 표현 사이의 관계 이해 필요성 강조
9. 혁신과 통합을 통한 음악치료의 발전 필요성 주장

저자인 콜린은 음악치료사이자 피아니스트 그리고 작곡가로서, 개인적인 경험과 철학을 통합하는 음악 중심의 인본주의적 접근법, 즉 심미학적 음악치료(AeMT)를 개발했으며, 이 책을 통해 음악치료의 새로운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 역자 서문
◆ 추천의 글
◆ 저자 서문

제1장 시작: 음악에 관하여
심미학적 음악치료의 정의
노르도프 로빈스와 심미학적 음악치료
세션 설계: 소나타 형식을 임상적 구조로 사용하기
음악 중심이 되는 것에 관하여
음악치료와 음악학
음악의 심미학
맥락에서의 음악치료와 심미학
즉흥연주와 작곡
즉흥연주의 심미학
즉흥연주와 음악치료
심리학적 함의
고전 음악
재즈
민족음악학
음악과 감정
음악과 언어
음악은 표상적인가
마무리 생각
* 막간 에피소드

제2장 바흐, 미사곡 B단조-작품 번호 232: 대위법적 음악적 관계
바흐, 대위법, 그리고 음악치료
키리에, 푸가, 그리고 음악치료
작곡 기법과 영성

제3장 연주 속의 삶: 그룹 사례 연구
치료적 구조와 음악적 중재
라이트하우스 그룹
세션
반영

제4장 음, 형식, 그리고 아키텍처
심미학적 치료관계
음악치료 과정의 양상

형식
아키텍처

제5장 임상적 청취
청취 수준
슈퍼비전에서의 임상적 청취
임상적 반응
능동적 청취
결론: 청취와 삶

제6장 사례 연구-마이클: 음악과 상실
내담자의 이야기
치료사의 이야기
의사소통의 시작
음악치료 스키마
일반적인 반영
치료사의 결론
내담자의 결론

제7장 베토벤, 현악 사중주 15번 A단조-작품 번호 132: 창조성, 음악, 그리고 질병
베토벤의 후기 작품과 심미학적 음악치료
“리디안 열쇠로 회복된 사람을 신께 드리는 거룩한 감사” 현악 4중주 15번 A단조, 작품 번호 132, 세 번째 악장 분석
임상 가이드로서의 베토벤

제8장 분석과 사정평가
악보 기보법
생성 세포(조직)
인덱싱
마무리 생각

제9장 음악 형식과 임상 형식
‘트리스탄’ 코드: 임상적 의미
음악적 구조와 치료적 구조
교향곡 형식의 임상적 즉흥연주
관현악기의 임상적 활용
아키텍처적인 으뜸음(AT)

제10장 무조성 음악: 임상적 의도와 심미적 현실
무조성의 이해와 분석
조성의 방향, 예측, 기억력 및 반복
임상적 즉흥연주에서의 조성 및 무조성적 형식의 구조: 연속체의 균형 조정
21세기를 위한 음악적 언어의 일관성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조성과 무조성의 미래: 음악치료에 대한 함축적 의미

제11장 존 케이지, 준비된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와 간주곡: 아름다움과 혁명
존 케이지: 존경받는 즉흥연주가
소나타와 간주곡: 음악치료를 위한 새로운 공명
나는 음악치료에 대한 도전/반란을 일으키고 있는 것인가

제12장 음악이 멈출 때
예측할 수 없는 죽음과 즉흥연주
사례 연구-데이비드
사례 연구-리사
음악과 죽음

제13장 물병자리 시대로의 전환: 현악 사중주를 통한 심미학적 음악치료
배경
(협업) 세션
인터뷰
그룹 음악 심리치료(하이디 아호넨-에리카이넨)의 관점
마무리 생각

제14장 작곡가의 관점에서
균형과 창작

제15장 성찰과 새로운 방향성
연구의 심미학
음악적 천재와 병리학
세션 시작에 대한 생각
음악치료에서 음악의 미래: 내부로부터의 이론
코다: 임상적 교향곡 스케치

◆ 참고문헌

저자 소개

<b>Colin Andrew Lee</b>

이 책의 저자인 콜린(Colin Andrew Lee)은 영국 출생으로, 독일의 Nordwestdeutsche Musikakademie에서 피아노를 전공한 후, 런던의 Nordoff-Robbins Music Therapy Centre에서 음악치료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콜린은 HIV/AIDS 감염 내담자들과의 즉흥연주 분석에 대한 박사 학위 논문을 AIDS 문제에 직면한 사람들을 위한 센터인 London Lighthouse에서 완성하면서 Music Therapy Charity Research Fellowship을 수상했다. 그는 City University, London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Oxford의 Sir Michael Sobell House Hospice에서 임상 작업을 계속한 후, 캐나다 Wilfrid Laurier University에서 음악치료 교수로 근무하다가 퇴직하였다.

『Music at the Edge: The Music Therapy Experiences of a Musician with ADIS』(1996 & 2016)를 출간한 후, 자신의 단행본인 『The Architecture of Aesthetic Music Therapy』(2003)의 주제였던 심미학적 음악치료 이론을 창시했다. 최근의 연구 관심사로는 포스트 미니멀 리스트 작곡가의 음악학적 분석과 응용 건강 음악학 연구에 미치는 영향 등이 있으며, 현재에도 다양한 연구 및 집필 작업을 계속해 나가고 있다.

역자 소개

<b>심성용</b>

서울대학교 특수교육 박사, PhD

Wilfrid Laurier University 음악치료 석사, MMT

Wilfrid Laurier University 음악치료 우등학사, BMT(Honours)

한국공인음악중재전문가(KCMT)

미국공인음악치료사(MT-BC)

캐나다공인음악치료사(MTA)

대한적십자사 심리사회적지지 강사(PSSI)



전)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강사

서울대학교 BK21PLUS 미래교육디자인 연구사업단 박사후연구원(Post-doc)

JB Music Therapy Inc. 선임음악치료사(Senior Music Therapist), Calgary, Canada



현)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중앙대학교 객원교수,

경희대학교, 동국대학교, 서강대학교, 한양대학교 강사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