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원격놀이치료
저자 : | 역자 : 강은주, 김리진, 민서정, 이소연, 이윤수
페이지 : 384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2,000원
  • 978-89-997-3162-4 93180
  • 2024-08-20
  • 크라운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크게 총 3부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제1부는 놀이치료와 원격놀이치료가 발전되어 온 과정을 소개하였고, 제2부는 치료분야별 원격놀이치료의 적용 실제를 보여 주었으며, 제3부는 원격놀이치료에서 실제 도구를 활용하여 개입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습니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서문
일러두기(용어 정의)

제1부 기초

제1장 진화하는 놀이치료 분야의 이론적 뿌리와 갈래
20세기 이전의 아동관
정신분석의 영향: 뿌리와 갈래
정신분석을 넘어: 한 분야로서 놀이치료의 등장
놀이치료의 현재 및 미래 동향
결론

제2장 사례개념화 및 치료계획 수립 시 이론의 적용
이론의 중요성
사례개념화 및 치료계획에 이론 적용하기
놀이의 치료적 힘의 안내 나침반
결론

제3장 원격놀이치료
원격의료
원격심리치료, COVID-19
원격놀이치료
COVID-19 이후
미래를 내다본다
결론

제4장 원격정신건강 놀이치료실에서의 문화적 겸손
문화와 다양성
문화
다양성
문화적 다양성
문화적으로 유능한 모범사례
문화적 겸손
문화적 역량
문화적 역량, 문화적 겸손, 그리고 원격정신건강 놀이치료
원격놀이치료의 문화적 고려사항과 한계
문화적 원격놀이치료 개입
사례
원격놀이치료에서 문화적 겸손의 실천
결론


제2부 실제 적용

제5장 트라우마 플레이와 원격심리치료: 스크린을 활용하는 새로운 방법
트라우마 플레이 구성요소의 원격심리치료 전환
트라우마 내러티브
원격심리치료로의 전환과 윤리적 이슈
결론

제6장 원격심리치료에서 애착이 미치는 힘
연구
원격심리치료로의 전환
개입
윤리
사례
결론

제7장 가상 EMDR과 원격놀이치료
팬데믹 이후의 성장
아동기 트라우마 이해하기
가상 치료
EMDR과 원격놀이치료
원격놀이치료
가상 EMDR 치료
이점과 과제
Oliver의 가상 EMDR과 원격놀이치료에 대한 경험
가상 EMDR 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려사항

제8장 발달놀이치료와 원격심리치료: 자폐아동을 위한 치료전략
개요 및 연구
발달놀이치료 프로토콜
윤리적 고려사항
사례(개입)
결론

제9장 학교에서의 원격놀이치료
학교에서 원격심리치료를 하는 놀이치료자
학교
아동
가족
연구
사례
결론

제10장 신경 다양성을 지닌 후기 청소년과 초기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원격놀이치료
후기 청소년과 초기 성인기의 신경다양성 요인과 COVID-19
COVID-19가 신경다양성 문제를 가진 대상들에게 끼친 영향
극복과 연결: 신경다양성 후기 십 대와 초기 성인기와의 원격놀이치료
사례 연구
결론

제3부 특별한 개입방법

제11장 가상 모래상자 앱을 활용한 한 소년의 치유 여정
처방적 놀이치료
모래놀이치료
실증적 연구
원격으로 제공되는 모래상자 사용
가상 모래상자 앱
원격놀이치료를 사용하기 위한 지표
윤리적 고려사항
사례
결론

제12장 가상 놀이치료실의 기초
오늘날 아동에 대한 평가, 이해 및 소통
놀이치료실의 핵심 원리
윤리적 고려사항
사례 예시
결론

제13장 원격놀이에서의 표현치료
표현놀이치료: 원격놀이치료에서 전통 놀이
표현치료 평가 개입
다양한 표현치료 영역
원격심리치료를 적용한 놀이치료: A사례
결론

제14장 자연놀이치료와 원격심리치료: 녹화와 화면 시간을 잘 다루는 방법
선행연구 및 지원
원격심리치료로의 전환
자연놀이치료 활동과 개입
자연을 기반으로 한 창의적인 표현미술 활동
자연을 기반으로 한 게임과 결합 활동
윤리적 고려사항
사례

제15장 당신의 우주: 공간적 현존감, 주의 할당, 상호작용을 통해 심리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원격 VR의 사용
존재
주의 할당
상호작용: VR 심리교육과 개입을 위한 특별한 방법
심리교육 기반 개입
사례
윤리적 고려사항
결론

결론

찾아보기

저자 소개

Jessica Stone 박사

RPT슈퍼바이저이며, 임상심리학자이자 가상 모래상자 앱(Virtual Sandtray®© App)의 공동 제작자이다. 또한 그녀는 치료에서 디지털 도구의 치료적 사용에 관한 책을 쓰는 저자이자 개발자이며 강연자이기도 하다.

역자 소개

<b>강은주</b>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박사(아동심리치료 전공)

한국놀이치료학회 놀이심리상담사 1급

여성가족부 청소년상담사 1급

현&nbsp;서울아동청소년상담센터 소장





<b>김리진</b>

고려대학교 가정학과 박사(아동학 전공)

한국아동학회 아동상담 지도감독전문가

한국임상모래놀이치료학회 아동심리놀이치료 전문가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미술심리상담 교육전문가

현&nbsp;전북대학교 아동학과 부교수





<b>민서정</b>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박사(아동심리치료 전공)

한국놀이치료학회 놀이심리상담사 1급

여성가족부 청소년상담사 1급

현&nbsp;마인드포유심리발달연구소 소장

&nbsp;&nbsp;&nbsp;&nbsp;&nbsp;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교육심리학과 겸임교수





<b>이소연</b>

Washington State University 심리학과 박사(임상심리 전공)

한국놀이치료학회 놀이심리상담 전문가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 전문가

여성가족부 청소년상담사 1급

현&nbsp;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아동심리치료 전공 교수





<b>이윤수</b>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박사(아동심리치료 전공)

한국놀이치료학회 놀이심리상담사 1급

여성가족부 청소년상담사 1급

현&nbsp;이윤수상담연구소, 이담소 소장

&nbsp;&nbsp;&nbsp;&nbsp;&nbsp;덕성여자대학교 아동가족학 전공 겸임교수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