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놀이치료를 통한 아동과의 만남
체험적 접근
저자 : Carol C. Norton, Byron E. Norton | 역자 : 박현숙, 진미경, 정호연
페이지 : 336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3,000원
  • 978-89-997-3139-6 93180
  • 2024-06-25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놀이치료의 핵심은 아동의 세계를 이해하고 그들이 경험하는 것을 존중하는 데 있다. 이 책은 아동이 어떻게 놀이를 활용하여 자아를 표현하고 치료과정에 참여하는지를 설명하고, 놀이치료 분야 전문가들의 지혜와 경험을 통해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다양한 독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목차

역자 서문 _ 3
서문 _ 5
저자 서문 _ 9
프롤로그 _ 11

제1장 체험적 놀이치료의 이해 17
발달과정에서 놀이의 중요성 _ 17
놀이기회의 박탈이 미치는 영향 _ 19
체험적 차원에서 아동에 대한 치료적 접근 _ 20
아동/치료자 관계의 중요성 _ 21
치료의 5단계 _ 22
치유를 향한 아동의 타고난 경향 _ 26
아동이 자신의 치료 방향을 향해 가도록 허용하는 것 _ 27
아동의 놀이를 구조화할 때 _ 33
요약 _ 37
체험적 놀이치료를 활용한 기대효과 _ 38
체험적 놀이치료에 적합한 내담 아동 _ 40
체험적 놀이치료에서 제한된 효과가 예상되는 장애 _ 54

제2장 놀잇감: 놀이치료자의 도구 59
아동이 놀잇감을 통해 표현을 개인화하는 방법 _ 59
놀이치료실 놀잇감 기준 _ 61
놀잇감 사용을 위한 유용한 지침 _ 65
놀잇감, 동물, 환경의 상징적 의미 _ 67

제3장 초기 상담 시 아동 평가 117
첫 방문 _ 118
과정 기록: 그날의 주제 _ 144
부모 상담 _ 146
건강한 아동의 놀이 대 취약한/학대 아동의 놀이 인식하기 _ 148

제4장 진단하기 155
장애 _ 156

제5장 탐색 단계 171
초기 탐색 _ 172
탐색 단계에서 아동이 일반적으로 하는 질문 _ 173
자발적인 놀이의 시작 _ 175
첫 회기의 마무리 _ 176
Maria의 치료 회기 _ 176

제6장 보호를 시험하는 단계: 안전한 제한 설정하기 189
Louie의 사례 _ 193
놀이치료실의 기본적인 제한 _ 197
Tyler의 사례 _ 199
함께 놀잇감 정리하기 _ 203

제7장 치료 작업 단계 205
의존 단계: 고통과 마주하기 _ 205
치료적 성장 단계: 권능감 경험하기 _ 225

제8장 ‘놀이의 은유’ 향상 235
치료적 반응 _ 235
변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적절한 반응 시 고려해야 할 차원 _ 236
치료적 반응의 영향 추적하기 _ 261
은유적 이야기를 통한 놀이의 촉진 _ 263

제9장 종결 단계 281
적절한 종결: 종결을 위한 씨앗 심기 _ 282
Miguel의 사례 _ 290

부록
1 놀이치료실 기본 놀잇감 목록 _ 299
2 놀잇감의 상징적 의미 _ 300
3 놀이 배경이 가진 상징적 의미 _ 303
4 동물의 상징적 의미 _ 306
5 아동 정신병리의 평가 도구와 평정 척도 _ 309

참고문헌 _ 319
찾아보기 _ 329

저자 소개

Carol Norton 박사는 심리학자이자 공인된 놀이치료사/슈퍼바이저이며, 25년 이상의 정신건강과 대학 교수 경력을 가진 아동놀이치료 전공 교수이다. 그녀는 미국 전역과 캐나다에서 놀이치료와 아동정신병리학에 대한 정신 건강 및 교육 환경에 대한 광범위한 컨설팅을 수행했다.



Byron Norton 박사는 심리학자이자 공인된 놀이치료사/슈퍼바이저이며, 아동놀이치료 전공 교수이다. 노던콜로라도대학교의 상담심리 전공 교수 출신인 그는 30년 넘게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놀이치료를 가르치고 지도했으며, 미국과 캐나다 전역에서 정신건강, 병원 및 교육 환경에 대한 광범위한 컨설팅을 수행했다.

역자 소개

박현숙(Park Hyunsook)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학사, 석사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심리치료 전공 문학박사

한국놀이치료학회 놀이심리상담사 1급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미술심리상담사 교육전문가

현 마인드카페 원장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강사



진미경(Jin Mikyoung)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Ph.D (The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cience)

한국놀이치료학회 놀이심리상담 교육전문가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청소년상담사 1급

Advanced Certified Adlerian Play Therapist

현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교수



정호연(Jeong Hoyeon)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학사, 석사

한국놀이치료학회 놀이심리상담사 2급

청소년상담사 2급

보건복지부 임상심리사 2급

현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강사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심리치료 전공 박사 수료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