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집중적 상호작용 핸드북(원서 2판)
지적 장애와 자폐 아동을 위한
저자 : Dave Hewett | 역자 : 이경아, 김희영, 안유인
페이지 : 272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3,000원
  • 978-89-997-3105-1 93180
  • 2024-06-30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집중적 상호작용’은 발달 초기 단계와 이후 발달 단계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는 자폐인들에게 기본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가르칠 수 있는 치료법 중 하나이다. 자폐인과 대화상대자 간의 교감을 바탕으로 타인에 대한 집중력을 높이고, 나아가 대화에 참여하는 자폐인이 먼저 상호작용을 시작하도록 유도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 책은 집중적 상호작용 실무자들이 지적 장애·자폐 아동들과 평범하고 일상적인 상호작용 파트너가 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집중적 상호작용 실무자에게는 융통성 있는 범위의 행동이 필요하며, 실무자인 당신이 바로 의사소통과 활동의 주된 장비가 된다.

목차

역자 서문

제1부 인간의 의사소통 및 집중적 상호작용의 배경

제1장 인간의 의사소통의 본질

제2장 집중적 상호작용의 배경
1. 집중적 상호작용의 역사
2. 집중적 상호작용이란 무엇인가
3. 누구를 위한 집중적 상호작용인가
4. 집중적 상호작용은 무엇을 가르치는가-의사소통의 기본 원칙
5. 우리 서비스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업무 특성

제3장 인간은 어떻게 의사소통을 배우기 시작하는가

제2부 집중적 상호작용 실행의 실용성

제4장 집중적 상호작용의 준비
1. 집중적 상호작용의 목적과 결과
2. 집중적 상호작용의 원리
3. 집중적 상호작용 세션은 어떤 것인가
4. 준비
5. 관찰
6. 팀 구성(준비)

제5장 시작하기
1. 시작: 접근하기
2. 첫 번째 시도
3. 초기 성공 및 발전

제6장 추가적 및 지속적 진전(진행)
1. 진전 활동 및 세션 작동과 ‘급등’
2. 진전 결과 인식
3. 중장기적 가능성
4. 결국, 얼마나 진전될 것인가

제7장 활동 기록 및 프로세스 유지
1. 관찰과 기록
2. 관찰
3. 작업에 대한 기록
4. 비디오를 통한 기록
5. 비디오 증거 사용
6. 비디오 증거를 사용하여 ‘실천 공동체’ 생성
7. 데이터 사용 및 구성
8. 행운을 빕니다

제8장 집중적 상호작용 결과 보고서

제9장 일터(직장)에서의 집중적 상호작용 지원
1. 환경
2. 집중적 상호작용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의 작업 환경
3. 체계적·조직적 협업
4. 세팅: 특수 학교 및 단체
5. 집중적 상호작용과 다른 작업/접근 방식의 통합
6. 집중적 상호작용의 세 가지 좋은 기본 원칙
7. 세팅: 성인 주거 및 주간 서비스
8. 세팅: 상호작용 카페

제10장 자폐증과 집중적 상호작용, 그리고 더 유능한 사람들과의 집중적 상호작용
1. 의사소통, 사회적 상호작용 그리고 대인 간 의사소통
2. 자폐증과 사회적 의사소통
3. 자폐증과 언어-더 유능한 사람이라고 하면 누구를 생각하게 되는가
4. 대면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행동

제11장 가정에서 집중적 상호작용 실행
1. 연결 방법 배우기
2. 순간과 장소 찾기
3. 가끔 그는 몸 상태가 안 좋다
4. 다른 가족들과 친구들
5. 전문가와 관계 맺기
6. 가족의 기록 보관
7. ‘실천 공동체’ 안의 부모

제3부 이슈, 주제 및 커뮤니티

제12장 일부 관련 이슈 및 주제
1. ‘연령 적합성’ 및 발달 적합성
2. 신체적 접촉
3. 비디오 기록 사용
4. 도전적 행동

제13장 집중적 상호작용 커뮤니티
1. 집중적 상호작용 ‘실천 공동체’
2. 집중적 상호작용 교육기관
3. 집중적 상호작용 뉴스레터
4. 집중적 상호작용 지역 협력단체
5. 웹상의 집중적 상호작용
6. 다른 나라들의 집중적 상호작용

찾아보기

저자 소개

<font color= 663300><b>Dave Hewett</b>

데이브 휴이트 박사는 40년 동안 특수교육 분야에서 일해 왔다. 그는 1980년대 동안 하퍼베리 병원 학교의 수석교사였으며, 그곳에서 그와 그의 팀은 ‘집중적 상호작용’의 개발에 힘썼고 ‘집중적 상호작용’에 대한 첫 번째 출판물과 연구 성과를 학계에 발표하며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1994년 멜라니 닌드와 함께 첫 번째 ‘집중적 상호작용’ 책을 발표했다. 1990년부터 그는 독립 컨설턴트로 활동하며 광범위한 출판 활동과 이에 대한 접근 방식의 개발과 보급 작업을 이어 가고 있다.

데이브는 또한 이 책의 도전적 행동 섹션에서 ‘행동의 어려움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라는 주장의 내용을 발표하고 강의를 한다. 그것은 별개의 주제가 아니다. 그는 현재 인텐시브 인터렉션 인스티튜드(Intensive Interaction Institute)의 책임자로,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집중적 상호작용에 대한 메시지를 널리 알리고 있다.

역자 소개

<font color= 663300><b>이경아</b>

자폐성장애를 가진 아들과 가족의 삶을 이해하고자 특수교육학을 공부하여 정서행동장애 및 자폐성장애 전공으로 박사를 받고 부모상담과 자폐성장애 관련 영역에서 대학과 종사자 강의를 하고 있다. 청소년상담사 1급 자격을 취득하고 경계선지능, 학습 장애, 정서행동문제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 청년의 학교중재상담, 가족상담과 지역사회 지원을 17년 이상 하고 있으며 현재 도닥임아동발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font color= 663300><b>김희영</b>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특수교육학 석사, 단국대학교에서 청각언어장애아교육 박사를 받았다. 언어재활사 1급으로 김희영아동발달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문장이 술술’ 시리즈를 비롯해 언어치료자료를 출간하고 있다.



<font color= 663300><b>안유인</b>

서울대학교 의류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복식미학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덕성여자대학교, 한남대학교 등에서 강단에 섰으며 현재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