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치료(CBT) 워크북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연구총서 15
저자 : Jenna Berman | 역자 : 김동일
페이지 : 208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8,000원
  • 978-89-997-3121-1 93180
  • 2024-05-20
  • 4x6배판변형
  • 반양장

내용

 감정 문제를 다루기 위한 흥미로운 활동들아이들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면서 어려움을 겪을 때 또래나 가족과 어울리기가 더 어려울 수 있고,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일상적인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이 저해될 수 있습니다. 증거기반 실제로서의『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치료(CBT) 워크북』을 통해 독자들은 다양한 감정과 생각을 경험하고 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쉽게 공감할 수 있는 등장인물을 가이드로 삼아 실제로 체험하는 연습을 통해 아이들은 안전하게 자신의 감정을 탐색하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인지행동치료(CBT) 기반의 활동과 팁을 바탕으로 아이들은 감정 조절에 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구체적인 대처 기술을 습득하게 됩니다. 이러한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몸과 마음을 진정시키기 위한 호흡 이완 기술다른 감정을 인식하고 다루기 위한 색칠 놀이감정적 문제 행동을 이해하고 대체하기 위한 창의적인 활동감정을 이해하기 위한 감정 차트 감정 일지 작성을 위한 프롬프트 그리고 더 많은 활동!『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치료(CBT) 워크북』은 아이들이 어떤 상황에서든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이해하며, 통제하는 데 도움을 주는 완벽한 길잡이가 되어 줄 것입니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장 감정을 인식하고 이해하기
감정 얼굴 색칠하기
나의 감정 컵 채우기
나의 감정 컵이 얼마나 가득 찼을까
감정 관리 키트
감정 주사위
“나는 무엇을 느끼고 있을까” 카드

제2장 감정의 세기
감정 온도계를 채우기
기쁨 일기
얼음 잡기

제3장 생각, 감정, 행동
무엇이 생각, 감정, 행동일까
사실만으로

제4장 나의 몸으로 나타나는 감정
나의 몸이 어떻게 느낄까
사자가 나타났다!
우리의 반응 평가하기

제5장 이완 활동
이완 활동 연습하기
주변 환경을 고려해 이완 활동 선택하기
이완 활동으로 통제감 되찾기

제6장 나의 자동적 사고
감정과 생각에 이름 붙이기
감정 괴물 손가락 인형
어떤 생각을 했을까
감정 괴물로 인해 느꼈던 감정에 이름 붙이기
나의 생각을 발견하기

제7장 나의 생각 다루기
생각 도전 활동지
감정 괴물에 맞서기
생각 기록
유용한 자기표현
좋은 기분 보관함
5, 4, 3, 2, 1
기분 전환 보관함
마음의 휴식

제8장 나의 충동들
나의 충동들
나의 선택이 어떤 결과를 만들까
선택이 현재와 미래에 일으키는 것

제9장 나의 행동 통제하기
멈추기, 생각하기, 행동하기
문제에 직면했을 때의 네 가지 선택지
내가 원하는 대로 나의 행동을 선택하기
선택지 우선순위 평가
감정 발사 버튼에 대한 대처 방안

제10장 나의 이야기
감정을 통제할 수 없을 때
감정을 통제할 수 있을 때
나는 감정과 생각 그리고 행동을 통제할 수 있어!

부록
참고문헌

저자 소개

<b>Jenna Berman</b>



뉴욕시와 뉴저지주 기반 치료사이다. 호바트 앤드 윌리엄 스미스 대학교(Hobart & William Smith Colleges)에서 심리학 학사, 컬럼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에서 사회복지학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애커먼 연구소(Ackerman Institute)와 뉴욕 대학교(New York University)에서 수련을 받았다. 정신건강 진료기관, 전일제 치료기관, 병원 등에서 다양한 임상경험을 쌓았으며, 아동과 청소년의 힘을 북돋아 그들이 장벽을 넘고 잠재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열정적이다. 현재 뉴저지 몽클레어에 가족과 함께 거주하고 있다.

역자 소개

<b>김동일</b>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육상담전공 교수 및 서울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주임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상담센터) 원장, 장애학생지원센터 상담교수, 서울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평의원(SNU Senator)으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교육부 국비유학생으로 도미하여 미네소타 대학교(University of Minnesota) 교육심리학과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Developmental Studies Center, 박사후 연구원,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교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학습장애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기획부학장(실장), 여성가족부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 (사)한국교육심리학회 회장, 한국특수교육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국가 수준의 인터넷 중독 척도와 개입 연구를 진행하여 정보화 역기능 예방사업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을 받았고,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의 연구 성과 선정으로 교육부장관 학술상(2020년 제20-1075호), 연구논문과 저서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한국상담학회 학술상(2014-2/2016/2022), 학지사 저술상(2012) 등을 수상했다.

현재 SSK교육사각지대학습자 연구사업단 단장, BK21FOUR 혁신과 공존의 교육연구사업단 단장,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회장, 여성가족부 학교밖청소년지원위원회(2기) 위원, 국무총리실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중독분과) 민간위원 등으로 봉직하고 있다.

『청소년 상담학 개론: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연구총서 1』(공저, 2020, 학지사), 『지능이란 무엇인가: 인지과학이 밝혀낸 마음의 구조』(역, 2016, 사회평론), 『DSM-5에 기반한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3판)』(공저, 2016, 학지사)을 비롯하여 70여 권의 (공)저·역서가 있으며, 300여 편의 전문 학술논문(SSCI/KCI)을 출판했고, 50여 개의 표준화 심리검사를 발표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