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K-콘텐츠 어떻게 만드나요?
<우영우>, <꼬꼬무>, <피지컬 100>, <유퀴즈>, <스우파> PD 심층인터뷰
저자 : 홍경수
페이지 : 256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7,000원
  • 979-11-93667-05-7 03320
  • 2024-03-20
  • 신국판변형
  • 반양장

내용

이 책에서는 2021~2023년까지 한국의 대중문화를 대표하는 드라마, 교양, 예능 콘텐츠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필자는 10여 년 전부터 꾸준히 콘텐츠 비평을 계속해 왔고, 특히 2020년부터 3년여 동안 K-콘텐츠를 분석하며 가르치는 일에 집중했다. 의미 있는 콘텐츠가 등장할 때마다 콘텐츠를 보고 생산자를 직접 만나 인터뷰를 시도해 왔다. 이 책도 이러한 과정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드라마에서는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교양에서는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예능에서는 <피지컬: 100>, <유 퀴즈 온 더 블럭>, <스트릿 우먼 파이터>를 선정하였다. 이 콘텐츠들이 K-콘텐츠를 모두 대변하지는 못한다고 하더라도, 이들을 빼고 2020년대 K-콘텐츠를 논하기 어려울 만큼 대표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들은 모두지금까지 만들어진 장르의 콘텐츠와는 달리 새로운 변곡점을 보인 콘텐츠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 변곡점은 AI와 OTT의 도입으로 큰 충격을 받고 있는 장르의 새로운 가능성과 연결된다. 가능성의 구체적인 내용은 인터뷰를 통해서 밝히고자 한다.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K-콘텐츠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방송을 배우는 학생들은 콘텐츠가 어떠한 과정에서 기획되고 만들어졌는지 배울 수 있을 것이다. 방송 현업자들은 앞으로의 콘텐츠에 어떠한 철학이 담겨야 하는지 인사이트를 얻기 바란다. 접근이 쉽지 않은 생산자의 인터뷰 원문이 방송학 연구자들에게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면 더 큰 기쁨이 없겠다. 생산의 기억과 감각이 글이라는 형태로 축적되었고, 상당한 기간 동안 보존될 것이 틀림없다.

목차

머리말_왜 K-콘텐츠이고, 왜 PD이고, 왜 질문인가


PART 1 5인의 PD를 만나다

STORY 1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1.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는 어떤 콘텐츠인가
2.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분석: 만약 칸트가 ‘우영우’를 보았다면
3. 유인식 PD 인터뷰
4. 인터뷰 요약 및 정리

STORY 2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1.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는 어떤 콘텐츠인가
2.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분석: 교양의 새로운 길을 열다
3. 최삼호 PD 인터뷰
4. 인터뷰 요약 및 정리

STORY 3 <피지컬: 100>
1. <피지컬: 100>은 어떤 콘텐츠인가
2. <피지컬: 100> 분석: 넷플릭스가 K 오리지널을 만드는 방식
3. 장호기 PD 인터뷰
4. 인터뷰 요약 및 정리

STORY 4 <유 퀴즈 온 더 블럭>
1. <유 퀴즈 온 더 블럭>은 어떤 콘텐츠인가
2. <유 퀴즈 온 더 블럭> 분석: 훼손된 정서적 공론장, 또는 예능과 산업의 윤리
3. 김민석 PD 인터뷰
4. 인터뷰 요약 및 정리

STORY 5 <스트릿 우먼 파이터>
1. <스트릿 우먼 파이터>는 어떤 콘텐츠인가
2. <스트릿 우먼 파이터> 분석: <스트릿 우먼 파이터>와 콘텐츠의 미래
3. 최정남 PD 인터뷰
4. 인터뷰 요약 및 정리


PART 2 K-콘텐츠의 철학을 말하다


참고문헌

저자 소개

<b>홍경수</b>

아주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 KBS에 22기 TV 예능 PD로 입사하여 <열린음악회>, <가요무대>, <이소라의 프로포즈> 등 음악쇼 프로그램을 만들었으며, <낭독의 발견>, <단박인터뷰>를 처음 기획했다. K2 프로젝트 우수기획상, 민주언론시민연합 이달의 추천방송상, 한국방송대상 우수작품상 등을 받았고, 2022년에 아주대학교 우수교육교수상(Teaching Award)을 수상하였다. 한국방송대상, 국제에미상, 백상예술대상, 인문다큐영화제 심사위원 등 다양한 콘텐츠 평가에 참여하였다. TBS 시청자위원장과 KBS 경영평가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현재 MBC 저널리즘 책무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한국방송학회와 한국언론정보학회의 이사를 거쳐 한국언론학회 49대 부회장과 봄철학술대회 조직위원장으로 봉사했다. 현재 한국언론학회 방송과 뉴미디어 연구회 회장으로 방송과 현장을 잇는 연구를 조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나는 오늘부터 힘센 기획자가 되기로 했다>, <기획의 인문학>, <예능 PD와의 대화>, <확장하는 PD와의 대화> 등이 있으며, 기획인문학과 PD학 및 방송생산자 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