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전화코칭
변증법적 행동치료에서의
저자 : Alexander L. Chapman | 역자 : 서미, 장혜미, 백정원, 이자영, 김지혜, 정나슬
페이지 : 312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9,000원
  • 978-89-997-3033-7 93180
  • 2024-01-30
  • 크라운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DBT를 제대로 능숙하게 활용하는 방법을 알고 싶어 하는 치료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저술되었다. DBT는 본래 경계선 성격 혹은 이와 관련된 장애를 가진 자살 내담자 그리고/또는 자해 내담자를 위해 개발된 것이다. DBT 치료 매뉴얼(Linehan, 1993a), 개정된 DBT 스킬 훈련 매뉴얼(Linehan, 2015b), DBT 스킬 훈련 핸드아웃과 워크시트(Linehan, 2015a)는 치료자에게 전반적인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런 기본 치료 매뉴얼 이후에 치료전략들, 즉 연쇄행동분석(chain analysis), 타당화, 전화코칭, 가족개입, 자문팀, 변증법적 전략의 효과적인 사용과 같은 전략들이 기존 치료 매뉴얼 이후 훨씬 뒤에 개발되었다. 이런 이유로 우리는 Marsha M. Linehan 박사의 도움을 받아서 현재의 DBT 기준과 개입방법에 따라 치료자들이 그들의 스킬을 증진하고 정교화하며 더욱 효과적으로 내담자들에게 DBT를 전달할 수 있도록 이 책을 개발하였다.

목차

역자 서문
편집자의 말: 변증법적 행동치료의 과거와 현재

제1장 서론 및 개관
이 책을 읽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전화코칭은 무엇인가
전화코칭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우리는 왜 전화코칭을 활용하는가
일반적인 우려와 미신
전화코칭에 적용되는 변증법적 이론
기본 규칙과 절차
이 책은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제2장 효과적인 전화코칭을 위한 단계 설정
전화코칭에 전념하기
표준 DBT를 사용하지 않는 치료자를 위한 보조도구로서의 전화코칭
표준 DBT에서 전화코칭을 사용할 때
당신의 상담 실제에서 전화코칭이 적합한지 결정하기
전화코칭에 대한 개인적 및 직업적 한계의 고려
전자통신은 어떠한가
적절한 지원 및 상담 보장
전화코칭과 관련된 주요 DBT 원칙 및 실천에 익숙해지기
전화코칭 준비에 대한 변증법적 접근
요약

제3장 전화코칭 오리엔테이션
원리를 설명하라
전화코칭이 치료나 위기 전화가 아님을 명확히 하라
언제, 왜 전화해야 하는지 설명하라
내담자를 24시간 규칙에 적응시키라
예상 전화 시간을 명확히 하라
전화코칭에 관한 치료자의 한계를 명확히 하라
내담자와 치료자의 기대치를 명확히 하라
전화코칭에서 초기 문제를 예방하고 다루라
오리엔테이션에 대해 변증법적으로 접근하라
요약

제4장 전화코칭 통화를 구조화하기
전화코칭 시간 구조화
전화코칭에서 수반성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전화코칭 통화를 구조화하기
통화의 종결 지점 구조화하기
24시간 규칙 적용하기
개인상담 회기에서 전화코칭 보고받기
구조 변증법화
요약

제5장 핵심 DBT 스킬코칭의 원리와 전략
내담자 능력에 맞춘 스킬 훈련과 코칭
스킬코칭의 핵심 구성 요소
스킬코칭에 대한 변증법적 접근
요약

제6장 정서조절과 고통감내에 대한 코칭
감정과 정서조절
정서조절 스킬에 대한 코칭
중요한 고통감내 스킬들에 대한 코칭
정서조절과 고통감내의 코칭에서의 변증법적 접근
요약

제7장 자살위기 상담전화 다루기
형식적 전략
유연성, 창조성, 치료적 제한
핵심 평가와 개입 전략
자살위기 상담전화에 대한 변증법적 접근
요약

제8장 문제해결 및 한계준수를 위한 원칙과 전략
치료방해행동 해결의 원칙
치료방해행동 관리를 위한 단계
효과적인 수반성 관리
치료방해행동에 대한 변증법적 접근
요약

제9장 스킬 일반화 및 셀프코칭 스킬 개발
오리엔테이션
일반화에 방해가 되는 것들을 평가하고 개념화하기
스킬 일반화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
셀프코칭 스킬 개발
일반화와 셀프코칭에 대한 변증법적 접근
요약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Alexander L. Chapman</b>

캐나다 British Columbia Burnaby에 있는 Simon Fraser University(SFU) 심리학과의 교수이자 임상심리학 영역 코디네이터이며, 밴쿠버 DBT 센터장이다. Chapman 박사는 SFU에서 성격과 감정 연구실의 책임자로서 경계선 성격장애, 자해, 충동성, 기타 행동 문제에서 감정 조절의 역할을 연구하고 있다.

역자 소개

서 미

한양대학교 교육학과 박사 졸업(상담심리 전공)

전 미국 퍼시픽대학교 초빙교수; 한양대학교, 건국대학교, 강남대학교 강사

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상담역량개발본부장



장혜미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 졸업(교육상담 전공)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박사 수료(상담자교육 전공)

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상담원



백정원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 졸업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박사후 과정

전 부산가톨릭대학교 연구교수, 동부산대학교 조교수

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주임상담원



이자영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박사 졸업(상담심리 전공)

전 서울사이버대학교 교수

현 한양대학교 사이버대학교 교수, 한국상담심리학회 자격검정위원장



김지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박사 졸업(교육상담·심리 전공)

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주임상담원



정나슬

미국 뉴욕대학교 심리학과 졸업

미국 미시간대학교 대학원 재학(School of Information)

전 미국 뉴욕대학교 심리학과 연구인턴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