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27가지 질문으로 풀어 보는 애착
저자 : Blaise Pierrehumbert | 역자 : 김향은, 이양호
페이지 : 304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7,000원
  • 978-89-997-3022-1 93180
  • 2024-01-30
  • 신국판
  • 반양장

내용

  저자는 이 책에서 다섯 가지 영역에 걸쳐 모두 스물일곱 가지의 애착과 관련된 질문을 제시하고 있다. 즉, 감정 욕구로서의 애착, 가족 안팎에서의 애착, 평생에 걸쳐 발달하는 애착, 오늘날의 생생한 이론으로서의 애착, 결론적으로 말할 수 있는 애착이라는 다섯 가지 범주별로 질문을 세분화하고, 각 질문에 대한 답변을 이어 가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추천의 글
  감사의 글

서론
  왜 이 책인가
  여정
  ◎ 미주

제1장 감정 욕구로서의 애착
질문 1. 아이들은 감정적 욕구를 가지고 있는가
  안전의 욕구
  탐험의 욕구
  애착의 단계
질문 2. 아이들 간에 차이가 있는가
  세 가지 애착 유형
  아이를 울게 내버려두어야 하는가
  애착을 관찰할 수 있는가
  자연 환경에서의 관찰은 어떠한가
  애착을 범주로 보아야 하는가
질문 3. 애착의 질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불안전 애착은 발달에 해로운가
  불안전 애착은 병리적인가
  불안전 애착은 피하거나 치유할 수 있는가
  애착과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질문 4. 애착 장애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애착의 와해
  가장 심각한 애착 장애
  자폐와 애착
질문 5. 애착의 차이는 어디에서 오는가
질문 6. 모든 아이가 동일한 애착 욕구를 가지는가
  ◎ 미주

제2장 가족 안팎에서의 애착
질문 7. 자녀에 대한 부모의 애착은 어떠한가
질문 8. 아이는 누구에게 애착하는가
  아빠에 대한 애착: 세 가지 모델
  전형적인 경우: ‘교차 거주’
  가족 밖에서 보호받는 아이의 애착
  어린이집은 아이들에게 스트레스가 되는가
질문 9. 전문가에 대한 애착은 바람직한가, 해로운가
질문 10. 형제자매에 대한 애착은 어떠한가
  ◎ 미주

제3장 평생에 걸쳐 발달하는 애착
질문 11. 애착은 단지 아이들만의 일인가
  자신과 타인
  애착의 전이
질문 12. 나이에 따라 애착이 달라지는가
질문 13. 아이들의 경험이 애착을 좌우하는가
질문 14. 남녀 간에 애착의 성차가 있는가
질문 15. 노인들의 애착은 어떠한가
질문 16. 영적인 대상에게도 애착할 수 있는가
질문 17. 죽음과 장례 후에 다시 애착을 맺을 수 있는가
질문 18. 반려동물에 대한 애착은 어떠한가
질문 19. 사물에 대한 애착에 대해서도 논할 수 있는가
  ◎ 미주

제4장 오늘날의 생생한 이론으로서의 애착
질문 20. 타인에 대한 욕구와 자율의 욕구는 모순적인가
  자신과 잘 지내고 타인과도 잘 지내기
  두 가지 본질적인 욕구
질문 21. 애착은 항상 존재해 왔는가
  모성애 문제
  역사적 상황
질문 22. 애착은 보편적인가
  자율적인가, 상호의존적인가
  불안전 애착과 발달
질문 23. 애착은 신경생리적 현상인가
질문 24. 애착은 정치적 영향을 미치는가
질문 25. 개방적 연계인가, 감옥인가
  ◎ 미주

결론
질문 26. 결론적으로 애착은 무엇인가
질문 27. 애착 이론은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쳐 주는가
  ◎ 미주

  에필로그: 저자와의 대화
  찾아보기

저자 소개

<b>Blaise Pierrehumbert</b>

블레즈 피에르움베르 박사는 1979년 스위스 제네바대학교에서 발달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1982~1984년 미국 워싱턴에 있는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 of Health: NIH)에서 박사후 과정을 이수했다. 1984~2013년 스위스 로잔대학교의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의학연구소의 소장으로 재직했다. 아울러 스위스 프리부르대학교, 프랑스의 파리낭테르대학교, 툴르즈 르 미라이대학교, 벨기에의 브뤼셀 자유대학교의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심리학자로서 발달심리학, 애착, 트라우마 등을 주요 주제로 연구해 왔다. 대표 저서로는 참고 도서로 널리 읽히고 있는 『최초의 연결: 애착 이론(Le Premier Lien: Théorie de l’attachement)』 등이 있다.

역자 소개

<b>김향은</b>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아동학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미네소타대학교(University of Minnesota) 풀브라이트 방문학자, 보건복지부 산하 아동권리보장원 자문위원, 통일부 산하 부산하나센터 자문위원, 한국폴리텍대학 이사를 역임했다. 현재 고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b>이양호</b>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소르본느대학교(Université de Paris 1 Panthéon-Sorbonne)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시앙스포(Institut d’Etudes Politiques de Paris)에서 소련동구권학 박사과정을 마쳤다. 국회 정책연구위원(2급 상당),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 고려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사회활동으로는 한국이주노동자복지회 이사, 언론중재위원회 제19대 대통령선거 선거기사 심의위원을 역임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