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미누친의 숙련된 가족치료 기술
치료사를 위한 가르침
저자 : Salvador Minuchin, Michael D. Reiter, Charmaine Borda | 역자 : 정정화, 천성문, 이영순, 이숙자, 최경하
페이지 : 320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2,000원
  • 978-89-997-2997-3 93180
  • 2024-01-10
  • 4x6배판변형
  • 반양장

내용

준비중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부 개념과 기술의 실제
제1장 가족치료의 숙련된 기술
가족치료사 파우치
도구의 목적

제2장 증상들 한 명의 가족 구성원에게서 증상을 찾아내야 한다는 개념에 도전하기
사례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제3장 가족 구성원의 정체성 풀어 나가기
정체성의 표층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제4장 가족 조직을 해체해 보기 하위체계를 탐색하면서
가족 치료: 사례 분석

제5장 치료사의 방식
치료 방식

제6장 가족치료사의 파우치 활용하기
사례: 대화와 분석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제2부 치료 기술의 교수 및 학습
제7장 안젤라와 질문의 방법
사례: 감독 대화 및 해설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제8장 슈퍼내니가 된 올리비아
대학원생들과 슈퍼바이저의 논의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제9장 나의 실수로부터 배우기 사라 A. 워커
당신의 왼쪽 발을 쳐다보세요
로드리게즈 가족
결론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제10장 너무 가까워서 편하지 않은 로잔 파스칼
한 부부에게 반응하는 치료사
회기 1: 로잔의 인터뷰
갈등의 중심에서
물러서지만 머물러 있기
회기 2: 미누친 박사의 인터뷰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제11장 미누친 박사의 가르침 헬렌 T. M. 레이놀즈
윌슨 가족

제12장 미누친과 윌슨 가족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제13장 변화하는 현장에서 자신의 기술을 연마하기
포스트모더니즘과 체계론적 가족치료
체계적인 치료사 되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살바도르 미누친(Salvador Minuchin)



구조적 가족치료의 창시자로서 아르헨티나에서 태어나 1947년에 아르헨티나 코르도바대학교(Cordoba University)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수여받았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동 정신과 의사로 아커만(N. Ackerman)에게 지도를 받았으며, 1950년대 말 아동 시설에서 가족 면담을 시작하였다. 1960년대에는 미국 뉴욕의 윌트윅 학교(Wiltwyck School)에서 비행청소년을 교정하는 정신과 의사로 일하면서 비행청소년의 가족을 치료하였다. 이때 치료사는 즉각적 개입과 행동을 주로 요구하는 방법으로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이후 동료들과 함께 『Working with families of the poor』(1998)를 출판하였고, 1965년에는 미국 필라델피아 아동지도치료소의 원장이 되었으며, 그곳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1970년대에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을 만들었다.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에서는 역기능의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특징을 기술하고 있다. 신체화 증상을 가진 가족은 특히 같은 종류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과보호, 지나친 엄격성, 갈등 해결의 부재 등이 공통적인 특징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신체화증상 중에서도 거식증이 가족치료로 가장 잘 해결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 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 의과대학 소아정신의학 임상교수를 역임한 그는 1974년에 가족치료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Families and family therapy』(1974)를 집필하였다. 미누친은 매우 적극적인 가족치료 기법을 확립하여 ‘구조적 가족치료’를 만든 사람으로 알려져 있으며, 거식증 치료의 성공 사례로 가족치료의 유효성이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에게도 널리 알려졌다.



마이클 레이터(Michael D. Reiter)

미국 노바사우스이스턴대학교(Nova Southeastern University) 가족치료학과 교수로 『Therapeutic interviewing』(2008) 『Case conceptualization in family therapy』(2013)를 출판하였고, 가족치료의 선구자 중 한 사람인 살바도르 미누친과 함께 『 The craft of family therapy』(2019)와 『Substance abuse and the family』(2013)를 공동 집필하였다.



카메인 보르다(Charmaine Borda)

미국 노바사우스이스턴대학교(Nova Southeastern University)의 가족치료학과 교수로 16년간 역임한 바 있고, 2022년 6월 이후부터는 미국 카펠라대학교(Capella University)의 결혼과 가족치료학과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가족치료, 정신건강, 지역사회 아웃리치 서비스, 비영리기관, 임상 슈퍼비전, 집단치료, 임상연구, 정신치료 영역 전반에 경륜이 많은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역자 소개

정정화(Jeong Jeonghwa)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박사

박앤정 임상심리클리닉 원장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초빙교수

한국임상심리학회 학술위원 및 지회장 역임

저역서 부부·가족 치료를 위한 마음챙김과 수용(학지사, 2019), 정신병리학(학지사, 2013) 외 다수

자격증 국제 이마고부부치료전문가,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외



천성문(Cheon Seongmoon)

상담심리학 박사

부경대학교 평생교육상담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초빙교수

스탠포드대학교(Standford University) 연구교수

한국상담학회장 역임

저서 집단상담(학지사, 2022),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학지사, 2021) 외 다수

자격증 상담심리사 1급, 수련감독전문상담사, 정신건강임상심리사 외



이영순(Lee Youngsoon)

상담심리학 박사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전북대학교 심리코칭연구소 소장

한국대학상담학회장 및 한국교육치료학회장 역임

저역서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학지사, 2021), 성격심리학(박학사, 2013) 외 다수

자격증 상담심리사 1급, 수련감독전문상담사, 정신건강임상심리사 외



이숙자(Lee Sukja)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박사

동신대학종합사회복지관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외래교수

저역서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학지사, 2010), 부부·가족 치료를 위한 마음챙김과 수용(학지사, 2019) 외 다수

자격증 사회복지사 1급, 에니어그램 전문강사, 청소년상담사 1급 외



최경하(Choi Kyungha)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박사수료

광주해바라기센터(아동) 임상심리전문가

자격증 게슈탈트상담심리사 2급,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외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