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위기 상담과 트라우마 사건 치료 플래너
DSM-5에 기반한
저자 : Tammi D. Kolski, Arthur E. Jongsma, Rick A. Myer | 역자 : 오혜영
페이지 : 288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0,000원
  • 978-89-997-3001-6 93180
  • 2024-01-20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위기 개입 분야에서 오랫동안 서비스를 제공하고 연구와 교육을 이끌어 온 Kolski 와 Myer가 Jongsma와 함께 집필하였다. 아동학대와 방임, 성인과 아동 자살, 실직, 재난, PTSD, 성폭행, 집단 따돌림을 포함한 학교 트라우마, 돌연사, 범죄 피해자, 응급 서 비스 요원들, 유산이나 낙태와 같은 26개의 위기에 대하여 행동적 정의와 목표, 그리고 치료적 개입을 촘촘하게 제시하고 있어 다양한 위기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개입에 목말라하는 현장 전문가들에게는 단비와도 같은 책이다. 1,000개의 행동 정의는 빠르게 사례개념화와 치료 계획을 구성해야 하는 위기 현장의 상담자와 임상가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단기 목표와 치료적 개입 전략들은 위기 개입과 트라우마 치료에 관한 증거기반 치료와 실천적 방법을 반영하고 있으며, 부록에는 이에 대한 상세한 증거기반 문헌들이나 독서치료 목록을 제시하여 필요시 쉽게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내담자의 부정적인 증상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고 위기나 트라우마로부터 성장을 인식하도록 돕는 데까지 초점을 맞추고 있어 최선의 치료에 대한 내담자와 상담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저자들의 의도를 해치지 않으면서 상담자와 임상가들이 현장에서 바로바로 참고가 가능하도록 가능한 한 쉽게 읽히는 데 주안점을 두고 이 책을 번역하였다. 저자가 소개한 개입에 대하여 추가적 설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몇몇 경우에는 역자 주를 달아 이해를 도왔다. 또한 저자들이 제시한 학교 트라우마(초등학생)와 학교 트라우마(미취학 아동) 장은 내용이 상당 부분 일치하여 하나의 장으로 합쳐 총 26개 위기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저자들이 제시한 학교 트라우마(대학), 학교 트라우마(초등학생), 학교 트라우마(청소년), 학교 트라우마(교직원)의 순서를 대학, 청소년, 아동, 교직원 순으로 변경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위기 장마다 일련번호를 부여하고 참고문헌에도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찾아보기에 수월하도록 제시하였다. 이 치료 플래너는 이러한 외부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식적인 치료 계획을 빠르고 쉽게 개발하는 데 필요한 요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즉, 이 플래너에는 공공기관 및 개인 치료 환경의 실무자들이 흔히 만나는 위기와 트라우마 사건들에 관하여 확인된 증거기반 치료들(EBTs)과 이와 일치하는 단기 목표 및 치료적 개입 전략들이 포함하였다.

목차

역자 서문
개관
1. 급성 스트레스장애
2. 불안 EBT
3. 집단 괴롭힘 피해자
4. 아동 학대/방임
5. 범죄 피해자 트라우마 EBT
6. 응급 서비스 요원들(ESPs)이 겪는 중대 사고들 EBT
7. 우울 EBT
8. 재난 EBT
9. 가정 폭력
10. 실직 EBT
11. 의학적 사망(성인) EBT
12. 의학적 사망(아동) EBT
13. 유산/사산/낙태
14. 공포증 EBT
15.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 EBT
16. 학교 트라우마(대학) EBT
17. 학교 트라우마(청소년) EBT
18. 학교 트라우마(아동) EBT
19. 학교 트라우마(직원) EBT
20. 성폭력
21. 스토킹 피해자
22. 돌연사/사고사(성인) EBT
23. 돌연사/사고사(아동) EBT
24. 자살(성인) EBT
25. 자살(아동) EBT
26. 직장 폭력 EBT
부록 A: 독서치료 제안
부록 B: 증거기반 장(EBT)을 위한 전문 참고문헌
부록 C: 객관적인 검사 도구
부록 D: 회복 모델 목표와 치료적 개입
찾아보기

저자 소개

<b>Tammi D. Kolski(MS)</b>는 센트럴 미시간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며 20년 이상 서부 미시간 지역의 의사이자 행동 건강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임상심리학자이다. 자연 재해, 강간, 폭행과 같은 충격적인 사건의 영향을 받는 수천 명의 사람들에게 위기 개입 서비스를 제공해 오고 있다.



<b>Arthur E. Jongsma </b>박사는 노던일리노이 대학교에서 임상심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의 Psychological Consultants를 설립하여 25년간 외래 및 입원환자들에게 전문적인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현재까지 임상 분야에서 50권이 넘는 책의 저자 또는 공동 저자로서 활동하면서 국제적 명성을 얻고 있다.



<b>Rick A. Myer</b> 박사는 엘패소에 있는 텍사스 대학교의 교수로 재직 중이며 위기 개입 및 관리 분야에서 25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공인 심리학자이다. 위기 평가와 관리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저서를 집필해 왔으며 상담 및 임상 전문가를 위한 연구와 강연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역자 소개

<b>오혜영</b>은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문학사를 취득하고 성균관대학교에서 상담교육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조교수와 이화여자대학교 학생상담센터장을 수년간 역임하였으며, 다양한 위기 청소년과 학부모, 성인들에게 위기 개입과 상담을 제공해 왔다. 국가청소년상담위원회 위원, 한국상담심리학회 학술위원장, 한국대학상담학회 부회장, 청소년폭력재단 자문위원, 전국청소년상담복지센터협의회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였고 자살위기 청소년, 재난 청소년, 학교 밖 청소년, 학교폭력, 인터넷중독 청소년, 취업 불안, 성폭력 등 다양한 위기 분야에 연구와 강연을 해 오고 있다. 이러한 공을 인정받아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상한 바 있으며 한국상담학회 우수논문상(2014), 학술상(2018/2019)을 수상하였다.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이자 주 수퍼바이저로 상담 현장에서 다양한 내담자를 만나고 있으며 상담자를 교육하고 있다. 현재는 위기를 경험하는 외국인과 내국인의 심리상담과 심리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주)휴아이 네트워크의 대표로 재직하고 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