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대인관계 게슈탈트 사례와 심리치료
경계선, 자기애성 그리고 분열성 성격 적응 중심으로
저자 : Elinor Greenberg | 역자 : 윤인, 류경숙, 원용희
페이지 : 416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4,000원
  • 978-89-997-2953-9 93180
  • 2023-08-30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의 장점은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증상과 원인을 설명하고 있어서 독자들이 임상적인 관점에서 내담자를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저자가 제시한 방법을 손쉽게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자의 자유로운 표현과 창의적인 비유를 알기 쉽게 번역하기 위해 여러 번 검토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거쳤으나 간혹 미흡한 부분들도 있음을 밝히며, 독자들에게 미국의 상담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성격적응 사례들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동시에 한국 문화라는 맥락에서 고려할 점은 무엇인지 고민해 보는 계기가 되어 이를 통해 국내 게슈탈트치료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를 감히 기대해 본다.

목차

역자 서문
감사의 글
서문

제1부 성격 적응 개관


제1장 서론
1. 왜 진단인가
2. 왜 경계선, 자기애성, 분열성 범주를 유지해야 하는가
3. 왜 이런 시도를 해야 하는가
4. 대인관계 게슈탈트
5. 나의 치료 미션
6. 이 책의 목표


제2장 사랑, 찬사, 안전: 경계선, 자기애성, 분열성 성격 적응의 게슈탈트 진단 시스템
1. 대인관계 게슈탈트
2. 진단
3. 내담자의 전경이 무엇인지 어떻게 아는가
4. 내담자는 내 치료실과 나의 어떤 점에 관심을 갖는가
5. 내담자를 향해 느끼는 감정
6. 체험 작업
7. 요약


제3장 경계선, 자기애성, 분열성 성격 적응에 관한 간략한 안내 I
1. 개요
2. 성격장애란 무엇인가
3. 성격 적응이라는 개념의 발달과정에 대한 간략한 소개
4. 어떻게 성격 적응을 하게 되는가
5. 진단
6. 성격 적응 내담자 치료의 일반 지침


제4장 경계선, 자기애성, 분열성 성격 적응에 관한 간략한 안내 II
1. 경계선 내담자
2. 자기애성 내담자
3. 분열성 내담자
4. 변별적 진단
5. 맺음말


제5장 스플래시!(Splash, 첨벙) 내담자의 문제가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
1. 높은 스플래시 내담자 이슈의 특징
2. 스플래시를 어떻게 예측할 수 있는가
3. 스플래시 게슈탈트
4. 성격 적응과 스플래시
5. 성격 적응: 높은 스플래시가 아님
6. 치료자를 지치게 만드는 반복되는 스플래시
7. 스플래시 수준이 중요한 이유
8. 스플래시를 이해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혜택: 예측 가능성
9. 치료상의 딜레마
10. 결론


제2부 경계선 성격 적응


제6장 경계선 내담자 치유하기
1. 경계선 적응은 건강한 반응이었다
2. 누가 경계선 내담자인가
3. 경계선 딜레마
4. MISERY로 고통받는 경계선 내담자
5. 경계선의 역사
6. 게슈탈트 치료자가 경계선 내담자와 겪는 일반적인 어려움
7. 치료
8. 게슈탈트 치료법을 경계선 내담자에게 적용하기
9. 결론


제7장 목표와 경계선 내담자: 게슈탈트 치료 접근법
1. 게슈탈트 치료 이론과 전경-배경 형성
2. 다섯 가지 기본 질문
3. 구조화된 접근 방식의 내면화: 목표는 목표가 아니다
4. 치료자의 역할
5. 치료자가 하지 말아야 할 일
6. 더 큰 목표를 주간 단위로 나누라
7. 내담자가 ‘잊어버린 목표’: 무엇을 할 것인가
8. 기본 지침
9. 공통 장애물
10. 결론


제8장 역전이: 얽힌 감정 풀어 내기
1. 역전이의 정의
2. 경계선 내담자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일반적인 역전이 문제들
4. 역전이를 당신의 친구가 되게 하라
5. 역전이로 인한 조기 종결


제3부 자기애성 성격 적응


제9장 SPECIAL: 자기애성 성격 적응 진단 및 치료
1. 자기애성 내담자 유형(과시형/벽장형/독성형)
2. 진단: 특별한 신(SPECIAL God)
3. 전지전능한 방어의 신
4. 치료적 제안
5. 요약
6. 맺음말


제10장 수치심의 소용돌이로부터의 회복: 자기혐오 우울증에 갇힌 자기애성 내담자와 작업하기
1. 전경-배경 형성과 자기애성 우울증
2. 알아차림의 변화로 전경을 바꾸는 방법
3. 요약: 부정에서 긍정으로 전경을 바꾸는 방법
4. 자기혐오 우울증 해소의 5단계
5. 결론


제11장 통찰이 상처가 될 때: 게슈탈트 심리치료와 자기애적으로 취약한 내담자
1. 자기애적으로 취약한 내담자
2. 자기애성이 강한 내담자는 거짓 자아를 보인다
3. 자기애적으로 취약한 내담자와 함께하는 초기 치료 단계
4. 자기애적으로 취약한 내담자와 작업할 때의 팁
5. 결론


제12장 똥, 수치심, 자기애


제13장 민감한 내담자를 위한 자기 돌봄: 자기애적으로 취약한 자신의 부분을 이해하고 돌보는 방법
1. 자기애적인 취약성
2. 어떻게 해야 하는가


제4부 분열성 성격 적응


제14장 분열성 성격 적응 내담자의 꿈과 접촉에 대한 두려움
1. 꿈과 접촉에 대한 욕구
2. 결론


제5부 용어 정리


제15장 그린버그의 심리학 용어집

미주
참고문헌

저자 소개

Elinor Greenberg, Ph.D.는 심리학자이자 세계적으로 유명한 게슈탈트 치료 트레이너로서, 특히 경계선, 자기애성과 분열성 성격 적응의 진단과 치료 전문 수련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이 책에 수록된 바 있는 「경계선 치료」 「통찰이 상처가 될 때」 「수치심의 소용돌이로부터의 회복」 「목표와 경계선 내담자」 등과 같은 논문의 저자이기도 하다.

그녀는 뉴욕 게슈탈트 심리치료 연구소(New York Institue for Gestalt Therapy)의 부회장, 게슈탈트 심리치료와 수련 센터(Gestalt Center for Psychotherapy and Training)의 겸임교수 그리고 『게슈탈트 리뷰(Gestalt Review)』 학회지의 부편집장으로 활동한 바 있다. 이와 같은 광범위한 게슈탈트 전문가로서의 경력 외에도, 그린버그 박사는 인격 장애의 이론과 치료에 대한 정신분석의 대상관계 접근법으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감독했던 대학원 훈련 기관인 마스터슨 연구소(The Masterson Institute)의 졸업생이자 전직 교수이다. 그린버그 박사는 또한 인증된 에릭소니안 최면 치료사이며 미국 국가 등록부에 인증된 집단 심리치료사이다.

역자 소개

<b>윤인</b>

미국 University of Missouri-Colimbia Ph.D.(교육 및 상담심리학)

한국 게슈탈트 상담심리학회 1급 전문가

전 한동대학교 교수

현 한국상담심리학회 수련감독

&nbsp;한국상담학회 수련감독

&nbsp;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감독회원

&nbsp;한국게슈탈트 상담심리학회 산하 ‘The Hill Gestalt 심리치료 수련기관’ 소장

<공역서>

전인적 돌봄을 위한 게슈탈트 심리치료: 기초이론과 실제(학지사, 2014), 아이들에게로 열린 창: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게슈탈트 예술치료(학지사, 2006), 게슈탈트 목회상담(시그마프레스, 2006)



<b>류경숙</b>

연세대학교 상담코칭학 박사(Ph.D.)

현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강사

&nbsp;강남GEM아동가족상담센터 소장

&nbsp;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감독회원

<공저·역서>

분석심리학과 표현예술치료(공저, 학지사, 2019), 상담 수퍼비전(공역, 학지사, 2013)



<b>원용희</b>

명지대학교 아동학 박사(Ph.D.)

현 명지대학교 미래교육원 강사

&nbsp;나무심리발달센터부소장

&nbsp;명지지역사회아동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공저서>

마인드커넥트 비대면 놀이치료(학지사, 2022)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