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ADHD 아동을 위한 1000가지 베스트팁
주의집중력과 긍정적 행동 향상을 위한 양육 지침
저자 : Susan Ashley | 역자 : 장은진, 조주성, 강알리샤
페이지 : 280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6,000원
  • 978-89-997-2694-1 03180
  • 2023-08-25
  • 국판
  • 반양장

내용

“아이가 어릴 때는 하루하루 살얼음판을 걷는 기분이었어요. 오늘은 또 무슨 일이 일어날까? 집 밖을 나가는 것도 힘들었어요.” “선생님, 저는 둘째도 ADHD를 지닌 아이를 출산할까 걱정되어 한 명만 낳았는데 지금은 후회가 되네요.”  ADHD를 지닌 아이 중에는 매일 정해진 숙제하기, 준비물 챙기기, 부모에게 혼나지 않고 양치질과 세수하기 같은 것이 힘든 경우가 많다. 이 책에서는 ADHD의 진단과 이를 수용하는 것, 약물치료의 내용, 가정생활, 학교생활, 사회적 작용을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이 담겨 있다. 부모가 ADHD를 가진 자녀를 키우며 매일 마주치는 여러 문제 상황 속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에 대한 해답을 찾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어떻게 자녀들을 키워야 내 자녀가 지닌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자녀의 잠재력을 잘 발휘하도록 양육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실제적인 지침서이자 안내서가 될 것이다.  이 책의 특징은, 첫째, ADHD를 가진 자녀를 둔 부모님이 겪는 매일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이 분야의 오랜 전문가가 제시한다. 둘째, 번호가 붙어 있는 짧은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필요한 영역을 찾아가며 읽을 수 있다. 셋째, 구체적인 실천방안이 담겨 있다. 다른 책과의 차이점은 전문가가 기록한 내용이면서도 부모의 어려움에 대한 실제적인 내용에 대해 간략하게 나누어 적혀 있어 전문적이고 유용하면서도 읽기가 편하다는 것이다. 책의 전체를 읽는 것도 필요하지만 오히려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어디 있는지를 차례에서 먼저 살펴보고, 그 장을 펼쳐서 제시된 다양한 방법 중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생각되는 방법을 골라 시도해 볼 수 있다.

목차


•역자 서문
•들어가는 말



01 시작하기
진단 관련 팁
약물치료에 대한 팁
수용을 위한 팁


02 일반적인 ADHD 행동
행동 개선을 위한 팁
가만있지 못하는(꼼지락거리는) 행동에 대한 팁
건망증에 대한 팁
분노조절을 위한 팁
주의집중을 위한 팁
방해하는 행동에 대한 팁



03 행복한 가정생활을 위한 팁
집안일에 대한 팁
정리정돈에 대한 팁
학습에 대한 팁
수면을 위한 팁
식사 관련 팁
형제자매 간 경쟁에 대한 팁
전자기기 이용에 대한 팁


04 자녀의 학업 능력 향상을 돕는 팁
수업 시간을 위한 팁
특수교육에 대한 팁
숙제를 위한 팁
읽기를 위한 팁
글쓰기에 대한 팁
선생님과의 협업을 위한 팁
방과 후 활동을 위한 팁
수학을 위한 팁
받아쓰기에 대한 팁
성적을 위한 팁


05 건강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팁
사회기술을 위한 팁
공공장소에서의 행동을 위한 팁
개인적 공간에 대한 팁
자아존중감에 대한 팁


06 자녀양육을 위한 팁
협력을 위한 팁
보상에 대한 팁
시간 관리에 대한 팁
방학을 위한 팁
처벌에 대한 팁
분노발작에 대한 팁
부모의 결혼생활을 위한 팁
다른 사람들의 견해에 대한 팁

•참고 자료

저자 소개

<b>Susan Ashley</b>

『The ADD & ADHD Answer Book』 및 『The Asperger’s Syndrome Answer Book』의 저자이고,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Ashley Children’s Psychology Center의 창립자이자 이사이다. UCLA와 California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를 졸업하였고, 1990년부터 ADHD를 전문으로 다루어 왔다. 25년 이상 미국 전역에서 ADHD, ODD, OCD, 투렛 증후군, 아스퍼거 증후군을 포함한 아동의 심리장애에 대해 광범위하게 강의해 왔다. 또한 범죄심리학을 실천하며 민사, 가족 및 형사 법원에서 청소년 및 성인 사건의 전문가 증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역자 소개

<b>장은진</b>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발달임상심리학 전공으로 박사(Ph.D.)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와 대전스마일센터장을 맡고 있다. 제50대 한국심리학회 회장/이사장을 역임하였다. 대학교에서의 강의와 연구는 물론, 아동 및 청소년과 그 부모, 범죄피해 트라우마 대상자를 위한 임상 및 상담 현장에서 일하고 있다. 특히 학교장면 ADHD 아동에 관한 박사 논문을 집필하였으며, 병원과 연구소에서 다년간 ADHD 아동과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과 상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교현장에서의 긍정적 행동 및 개입 지원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였다.



<b>조주성</b>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상담 및 임상심리학 박사(Ph.D.)이다. 현재 순천향대학교의 창의라이프 대학원 상담 및 임상심리학과 전공 주임교수와 심리건강상담센터장, 한국상담학회 대전세종충청상담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수용전념치료, 심리도식치료 등을 주 치료이론으로 하여 수용적 환경에서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문제를 해결하는 긍정적 행동 지원 및 양육에도 많은 관심이 있다.



<b>강알리샤</b>

한국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에서 임상 및 상담심리를 전공(M.A.)하였으며, 법무부 위탁기관 스마일센터 총괄지원단 부단장, 학교심리학회 자격제도 이사, 한국심리학회 자살 및 위기관리위원회 위원을 역임하였다. 임상현장에서 주의집중력 및 다양한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아동 및 청소년과 성인들이 그들의 잠재 능력을 발휘하고 풍성한 삶을 누리는 과정에 다년간 동참해 왔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