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내러티브상담
저자 : 고미영, 고정은, 권희영, 김민화, 김사라, 김유숙, 김은영, 김혜경, 박숙현, 빈미향, 신영화, 안미옥, 이경욱, 이선혜, 이은주, 최지원, 한석준, 허남순
페이지 : 432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5,000원
  • 978-89-997-2950-8 93180
  • 2023-08-30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내러티브상담의 철학적 배경을 이해하고 그 과정과 기법을 효과적으로 학습하도록 기획되었다. 또한 학습한 내용을 적용하고 실천에 옮기는 가능성을 높이도록 다양한 이슈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 책은 내러티브상담이 궁금한 독자나 이를 배우고 실천하려는 예비 내러티브상담사의 지침서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머리말
마이클 화이트와 한국 내러티브상담의 마중물
내러티브상담과 내 삶의 이야기


제1부 내러티브상담의 세계

제1장 내러티브상담에서의 ‘이야기’
1. 서사로서의 이야기
2. 다시 쓰는 이야기

제2장 내러티브상담의 철학적 배경
1. 상담 패러다임의 전환과 내러티브상담의 발달
2. 포스트모더니즘과 내러티브상담
3. 포스트구조주의와 내러티브상담

제3장 내러티브상담의 원리와 과정
1. 내러티브상담의 원리
2. 내러티브상담의 과정


제2부 내러티브상담의 주요 기법

제4장 외재화
1. 외재화의 정의
2. 외재화 대화의 지도
3. 외재화 대화의 확장

제5장 독특한 결과
1. 독특한 결과의 이해
2. 독특한 결과의 발견과 확장

제6장 다시쓰기
1. 영향력 질문
2. 독특한 결과 질문
3. 내담자를 주 저자가 될 수 있도록 초대하는 방법

제7장 회원재구성
1. 회원재구성의 유래와 개념
2. 회원재구성 대화
3. 기대 효과

제8장 정의예식
1. 정의예식에 대한 이해
2. 정의예식의 구조와 내용
3. 다시말하기에서 흔히 일어나는 위험 및 대처 방법
4. 비밀보장과 사생활
5. 다양한 생활에서 정의예식의 활용

제9장 치료적 문서
1. 치료적 문서의 특징
2. 치료적 문서의 다양한 형식


제3부 내러티브상담의 윤리와 슈퍼비전

제10장 상담 윤리와 내러티브상담
1. 상담 윤리의 기초 개념과 주요 현안
2. 비대면 상담, 집단 상담, 부부가족 상담에서의 윤리
3. 상담 윤리와 내러티브상담

제11장 관계 윤리와 공동체 윤리
1. 상담자의 입장, 태도, 위치, 자세로서의 윤리
2. 협업 윤리
3. 책임 윤리

제12장 내러티브 슈퍼비전
1. 시대 정신과 내러티브상담
2. 내러티브 슈퍼비전의 특징
3. 내러티브 슈퍼비전의 유형과 방법


제4부 내러티브상담의 적용

제13장 아이들에 대한 화를 거부하기
1. 부재하지만 암시적인 것이란
2. 부재하지만 암시적인 것을 향한 8단계 지도의 사례 적용
3. 부재하지만 암시적인 것과 주체의식

제14장 자살의 상실을 딛고 앞으로 나아가기
1. 외재화 대화를 시작하기 위한 라포 형성 대화
2. 외재화 대화: 상실 경험에 대한 외재화
3. 트라우마를 드라마로 써 가는 다시쓰기 과정: 관계의 외재화 그리고 정체성 이야기

제15장 ‘구하는 사람’이란 정체성의 역사
1. 은유를 통한 자기개방
2. 지배적인 이야기 안에서의 독특한 결과
3. 내 삶의 이야기 속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다시쓰기: 꿈의 이야기를 통한 다시쓰기 과정

제16장 술의 지배에서 탈출하기
1. 중독에 대한 내러티브상담 접근
2. 내러티브상담 중독상담의 특성과 과정
3. 내러티브상담 중독상담의 사례

제17장 ADHD를 대하는 가족의 지혜
1. 사례 개요
2. 문제에 대한 관점
3. 상담 목표 및 전략
4. 상담진행 과정과 회기 내용
5. 전체 상담 과정을 통해 경험한 것

제18장 원주민 학살의 역사를 애도하기
1. 지역사회 안으로 들어가기
2. 지역사회를 위한 이야기치료 실천의 원리
3. 지역사회 모임의 진행
4. 쿠롱캠프 사례

찾아보기

저자 소개

고미영(Ko, Me Young)

미국 조지아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현 서울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고정은(Ko, Jung Eun)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현 경희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권희영(Kwan, Hee Young)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리토리아대학교 가족치료전공 박사

현 전남중부권 아동보호전문기관 치료실 실장



김민화(Kim, Min Hwa)

성균관대학교 아동학 박사

현 신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김사라(Kim, Sa Rah)

서울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 박사

현 새라심리상담연구소 소장



김유숙(Kim, Yoo Sook)

일본 동경대학교 의학부 보건학 박사

현 서울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명예교수



김은영(Kim, Eun Young)

독일 보훔대학교 사회과학 박사

현 한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빙강의교수



김혜경(Kim, Hei Kyung)

서울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 박사

현 도운심리상담센터 소장



박숙현(Park, Sook Hyun)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학 학사

현 구디프렌즈 이야기실천협동조합 교육이사



빈미향(Bin, Mi Hyang)

신라대학교 가족학 박사 수료

현 부산심리상담연구소 소장



신영화(Shin, Young Hwa)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현 군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안미옥(Ahn, Mee Ock)

미국 루터신학교 목회상담학 박사

현 마음나루심리상담연구소 소장



이경욱(Lee, Gyeong Uk)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현 원광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이선혜(Lee, Sun Hae)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버클리 사회복지학 박사

현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및 심리서비스대학원 교수



이은주(Lee, Eun Joo)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전 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최지원(Choi, Ji Won)

서울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상담 및 임상심리) 박사

현 서울신학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상담교수



한석준(Han, Suk Jun)

국민대학교 문화심리사회학 박사

현 웃는마음가족상담연구소 소장



허남순(Huh, Nam Soon)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사회복지대학 박사

현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