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용 PPT는 PC에서만 다운이 가능합니다.(*교수회원만 가능)
이 책은『 Theory and Treatment Planning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를 바탕으로 국내 독자들을 위해 준비한 상담 이론 및 사례개념화 실습서이다.사례개념화는 상담 및 심리치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상담자와 심리치료사들은 내담자의 문제에 대한 자세한 분석과 이해를 바탕으로 상담 및 심리치료 목표를 설정하고, 적절한 방법을 선정하게 된다. 사례개념화를 통해 이루어지는 이 과정은 상담 및 심리치료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여겨진다. 이 책은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론적인 기반과 사례개념화를 통한 치료계획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상담 및 심리치료를 위한 기본적인 이론과 더불어 사례개념화의 중요성과 그 실습 방법에 대해 소개함으로써 상담자와 심리치료사들이 실제 상담 현장에서 도움을 필요로 하는 내담자들의 문제를 더욱 정확하게 이해하고, 적절한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사례개념화 실습에 대한 내용은 이 책에서 특히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부분이다. 다양한 사례를 통해 사례개념화의 실제 적용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상담 및 심리치료에 대한 이론적인 지식뿐 아니라, 실제 상담 현장에서 사례개념화를 어떻게 수행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실습 예제와 연습 문제를 통해 사례개념화를 직접 연습해 봄으로써 이론과 실제 사이의 간극을 좁히고, 상담 및 심리치료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담 및 심리치료의 다양한 이론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사례개념화 방법을 습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담자와 심리치료사에게뿐만 아니라 상담 및 심리치료 분야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과 일반인들에게도 유익한 내용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서론 제1부 상담 이론, 역량, 치료계획에 대한 소개 1장 상담 이론, 역량, 연구, 그리고 당신-그것들을 연결시키기 상담자와 바텐더를 구분 짓는 것은 무엇인가 상담과 심리치료에서의 역량 스냅샷: 연구와 근거 기반 가위바위보, 그리고 기타 이론 선택 전략 개인적 성찰과 토론을 위한 질문 2장 상담 및 심리치료 계획 치료계획 정신건강 치료계획의 간략한 역사 임상적 치료계획 이론에 입각한 사례개념화 치료계획 양식 치료 과제 작성하기 내담자 목표 유용한 개입 방법 작성하기 계획이 중요한가 개인적 성찰과 토론을 위한 질문 제2부 상담과 심리치료 이론들 3장 정신분석과 정신역동 상담 및 심리치료 들어가며 정신역동 이론 모든 정보 통합하기: 정신역동 사례개념화와 치료계획 양식 스냅샷: 연구와 근거 기반 증거 기반 치료: 단기 정신역동 상담 다문화적 접근: 다양한 집단과 작업하기 정신역동 사례 연구 개인적 성찰과 토론을 위한 질문 4장 융의 분석심리학 융의 분석심리학 모든 정보 통합하기: 융의 사례개념화와 치료계획 양식 스냅샷: 연구와 근거 기반 다문화적 접근: 다양한 집단과 작업하기 융 사례 연구 개인적 성찰과 토론을 위한 질문 5장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들어가며 모든 정보 통합하기: 아들러학파의 사례개념화와 치료계획 양식 다문화적 접근: 다양한 집단과 작업하기 스냅샷: 연구와 근거 기반 아들러학파 사례 연구 개인적 성찰과 토론을 위한 질문 6장 인간중심 상담과 심리치료 들어가며 인간중심 상담 모든 정보 통합하기: 인간중심 사례개념화 및 치료계획 양식 다문화적 접근: 다양한 집단과 작업하기 스냅샷: 연구와 근거 기반 인간중심 사례 연구 개인적 성찰과 토론을 위한 질문 7장 실존주의 상담과 심리치료 들어가며 모든 정보 통합하기: 실존주의 사례개념화와 치료계획 양식 스냅샷: 연구와 근거 기반 다문화적 접근: 다양한 집단과 작업하기 실존주의 사례 연구 개인적 성찰과 토론을 위한 질문 8장 게슈탈트 상담 및 심리치료 들어가며 모든 정보 통합하기: 게슈탈트 사례개념화와 치료계획 양식 스냅샷: 연구와 근거 기반 다문화적 접근: 다양한 집단과 작업하기 게슈탈트 사례 연구 개인적 성찰과 토론을 위한 질문 9장 인지행동 접근 들어가며 인지행동 접근 모든 정보 통합하기: 인지행동 사례개념화와 치료계획 양식 현실치료 이론 마음챙김 기반 접근 다문화적 접근: 다양한 집단과 작업하기 스냅샷: 연구와 근거 기반 인지행동 사례 연구 개인적 성찰과 토론을 위한 질문 10장 증거 기반 인지행동 접근: 변증법적 행동치료 및 트라우마 초점의 인지행동치료 들어가며 변증법적 행동치료 모든 정보 통합하기: 인지행동 사례개념화와 치료계획 양식 트라우마 초점의 인지행동치료 모든 정보 통합하기: 트라우마 초점의 인지행동치료 사례 개념화와 치료계획 양식 스냅샷: 연구와 근거 기반 다문화적 접근: 다양한 집단과 작업하기 변증법적 행동치료 사례 연구 개인적 성찰과 토론을 위한 질문 11장 체계적 가족 상담 및 심리치료 들어가며 모든 정보 통합하기: 체계적 가족 상담 사례개념화와 치료계획 양식 보웬의 다세대 가족 접근 사티어의 성장 모델 스냅샷: 연구 및 근거 기반 근거 기반 치료: 정서중심치료 다문화적 접근: 다양한 집단과 작업하기 체계적 사례 연구 개인적 성찰과 토론을 위한 질문 12장 해결 기반 접근 들어가며 해결 기반 상담 모든 정보 통합하기: 해결 기반 접근 사례개념화와 치료계획 양식 해결 기반 학교 상담 다문화적 접근: 다양한 집단과 작업하기 스냅샷: 연구와 근거 기반 해결 기반 사례 연구 개인적 성찰과 토론을 위한 질문 13장 이야기 상담 및 협업적 접근 들어가며 이야기 접근 모든 정보 통합하기: 이야기 치료 사례개념화와 치료계획 양식 협업적 언어 체계와 반영팀 모든 정보 통합하기: 협업적 치료 사례개념화와 치료계획 양식 스냅샷: 연구와 근거 기반 다문화적 접근: 다양한 집단과 작업하기 포스트 모더니즘 사례 연구 개인적 성찰과 토론을 위한 질문 14장 페미니스트와 다문화 상담 및 심리치료 들어가며 페미니스트 상담 모든 정보 통합하기: 페미니스트 사례개념화와 치료계획 양식 스냅샷: 연구와 근거 기반 다문화적 접근: 다양한 집단과 작업하기 페미니스트 사례 연구 개인적 성찰과 토론을 위한 질문 제3부 이론적 통합과 사례개념화 15장 이론적 통합에 대한 소개 흥미로운 결론에 대해서 통합 종류 온전한 통합 통합 마무리 개인적 성찰과 토론을 위한 질문 16장 통합적 사례개념화 사례개념화와 좋은 상담 사례개념화의 요소 내담자 소개 호소문제 배경정보 강점과 다양성에 대한 평가 이론 기반의 개념화 정신역동/아들러학파 이론 개념화 인본주의-실존주의 사례개념화 인지행동 개념화 가족 체계 개념화 포스트모던-페미니스트 개념화 사례개념화, 다양성, 동일성 이 끝은 단지 시작일 뿐이다 개인적 성찰과 토론을 위한 질문 사례개념화 양식 찾아보기
<b>Diane R. Gehart</b> 박사는 노스리지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California State University Northridge)의 부부와 가족 치료, 상담 프로그램 담당 교수이다. 그녀는 상담, 교육, 슈퍼비전을 20년 이상 해 왔다.
<b>이동훈</b> 미국 플로리다대학교(University of Florida) 박사 <b>현</b>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상담교육전공 주임) 성균관대학교 외상심리건강연구소 소장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수련감독급 전국대학교학생상담센터협의회 회장 한국재활심리학회 편집위원장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심리회복지원단 자문위원 법무부 법무보호위원 교육부·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과학(SSK)지원사업 '청소년 자해 및 자살 예방과 개입' 연구책임자 <b>명소연</b> 한국상담대학원 대학교 상담심리전공 교수 성균관대학교 박사(상담교육) 청소년상담사 1급 <b>전지열</b> 한국상담대학원 대학교 상담심리전공 교수 성균관대학교 박사(상담교육) <b>송연주</b> 동의대학교 평생교육/청소년상담학과 상담심리전공 교수 <b>함경애</b> 연세대 심리과학이노베이션 전문연구원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외래강사 <b>신지영</b> 백정신과부설 마음의 정원 심리연구소 소장 <b>전 울산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연구교수 <b>강수운</b> 성균관대학교 강사/외상심리건강연구소 선임연구원 성균관대학교 박사(상담교육) <b>이화정(</b> 성 균관대학교 강사/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과학(SSK)지원사업팀 ‘청소년 자해·자살 예방과 개입’ 전임연구원 성균관대학교 박사(상담교육) <b>양모현</b> 하늘빛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전문가 성균관대학교 박사수료(상담교육) <b>김영애</b> 성균관대학교 박사과정(상담교육) <b>박가현</b>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Ohio State University) 박사과정(상담교육) 성균관대학교 석사졸업(상담교육) <b>신지영</b> 미국 아이오와주립대학교(University of Iowa) 박사과정(상담심리) 성균관대학교 석사졸업(상담교육) <b>김주연</b> 경북대학교 대학상담센터 성균관대학교 석사졸업(상담교육) <b>김해진</b> 성균관대학교 석사졸업(상담교육) <b>남슬기</b> 성균관대학교 석사졸업(상담교육) <b>김나연</b> 성균관대학교 외상심리건강연구소 연구원 <b>허소정</b> 성균관대학교 석사졸업(상담교육) <b>황유진</b> 성균관대학교 석사졸업(상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