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장애인 재활상담의 이론과 실제
저자 : | 역자 : 조성재, 박중규, 최국환
페이지 : 656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9,000원
  • 978-89-997-2891-4 93180
  • 2023-02-28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재활상담과 정신건강 상담 관점에서 상담 및 심리치료 분야에 널리 활용되는 지배 이론과 기법에 적합한 첨단 처치에 관한 지식과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저술되었다. 이 책의 집필에 참여한 저자들은 각자의 분야에서 풍부한 지식과 전문성을 갖추었음은 물론, 전국적으로 지명도가 높은 재활 및 보건 분야의 전문 연구자들이다. 이 책의 주요 대상은 재활 현장에서 일하는 실천가들과 임상 재활상담과 임상심리, 정신건강 상담, 사회복지, 간호, 작업치료, 물리치료, 언어치료, 레크리에이션 치료 등 다양한 재활 및 보건 분야를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이다. 우리는 장애인 재활 현장에서 일어났던 실제 사례를 활용하여 임상 재활상담 관점에서 각 단원을 집필하였다. 저자들은 장애인이나 만성질환자들이 지닌 문제 해결에 특정 상담 이론과 기법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보여 주기 위해 각 장마다 실제 사례를 수록하였다. 이번 개정판에서 우리는 각 장에 소개된 상담 이론과 기법의 효능을 뒷받침하는 과학적 증거 제시에 초점을 맞추었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부 서론
제1장 재활 및 정신보건 분야 전문가를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의 소개

제2부 주요 상담 이론
제2장 인간 중심 이론
제3장 해결 중심 단기 치료
제4장 게슈탈트 치료
제5장 인지 행동 치료
제6장 합리적 정서 행동 치료
제7장 행동 치료
제8장 특성 요인 이론과 상담 과정
제9장 정신역동 치료
제10장 Adler 치료

제3부 기초적 상담 기술
제11장 기초적 상담 기술
제12장 동기 강화 상담
제13장 집단 상담 및 절차
제14장 재활 및 보건 전문가를 위한 가족체계 및 사회 생태학적 관점
제15장 진로 및 직업 상담

제4부 특수 고려사항
제16장 물질 사용 장애, 장애, 상담 개입
제17장 지체장애인 상담
제18장 정신장애인을 위한 상담 개입
제19장 다문화 재활상담: 다양성에 기반한 최적의 성공 전략

제5부 직능 관련 이슈
제20장 임상 슈퍼비전
제21장 임상 실제에서의 위험 관리

찾아보기

저자 소개

<b>Fong Chan</b>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재활상담 전공으로 1983년에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동 대학원의 재활심리 및 특수교육학과의 재활심리 박사 프로그램 전공 주임으로 재직하고 있다. 증거기반 직업재활 실제 연구 및 훈련 센터의 공동 소장을 맡고 있으며, 미국 공인 재활상담사이고, 면허 심리사이자 미국심리학회의 선임회원이다.



<b>Norman L. Berven</b>

위스콘신 대학교 재활심리 및 특수교육학과 명예교수로, 1976년부터 20여 년 동안 위스콘신 대학교의 재활심리 박사 프로그램 전공 주임을 역임하였다. 미국 공인 재활상담사, 면허 심리사, 위스콘신주 전문 상담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고, 미국심리학회 선임회원이다.



<b>Kenneth R. Thomas</b>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쳤으며, 시카고정신분석연구센터에서 정신분석 교육을 받았다. 존스타운 재활센터에서 재활상담사로 근무하였고, 박사 학위를 받은 후에는 위스콘신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다. 여러 공로를 인정받아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명예교수로 추대되었고, 미국 재활상담협회장까지 역임했다.

역자 소개

<b>조성재</b>

웨스턴미시간 대학교에서 재활상담과 시각장애 재활교육 석사 학위를, 미시간 주립대학교에서 재활상담교육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편집위원, 한국직업재활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대구대학교 직업재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b>박중규</b>

연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를 마쳤다. 서울대병원 신경정신과에서 임상심리학 수련을 이수했고, 한국심리학회임상심리전문가,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84호), 한국재활심리사협회 재활심리사 1급(28호) 등의 자격을 취득하였다. 제53대 한국임상심리학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대구대학교 재활심리학과 교수로 대구대학교 정신건강상담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다.



<b>최국환</b>

고려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일리노이 공과대학교에서 재활심리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직업재활학회 학과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가톨릭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