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수사심리학
범죄자 프로파일링과 범죄 행위 분석
저자 : David Canter, Donna Youngs | 역자 : 강선, 김시업
페이지 : 576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8,000원
  • 978-89-997-2865-5 93180
  • 2023-03-10
  • 4x6배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범죄를 추리하고 범죄자를 추적하는 수사관의 시각에서 범죄자들의 심리, 행동, 그리고 범죄 현장에서 어떠한 정보를 찾아내고 분석해 나가야 할 것인가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에 출간된 범죄심리학 서적들과는 관점의 시작을 달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저자들은 심리학이라는 과학을 통해 범죄 수사, 특히 범죄가 범해지는 현장에서 나타나는 범죄자의 행동에 담겨 있는 패턴을 추적하고 있다. 과학은 논리적 입증을 통해 현상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것이며, 패턴이란 많은 자료를 통해서 다양성 속에 숨어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별해 내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범죄 수사를 단순히 직관과 경험의 결과라는 인식으로부터 자료와 정보의 수집과 분석, 행동 패턴의 유형화 등을 통해 범죄자 특성에 접근해 가는 과학적인 체계로 이끌어 가고 있다는 점에서 저자들의 노력은 높이 평가 되어야 할 것이다.  제1부(제1장에서 제4장)에서는 심리학과 범죄 수사가 접목되어 온 역사를 성서 속 유대인의 행동으로부터 유럽의 마녀사냥, 그리고 초기 프로파일링 사례들을 통해 살펴보면서, 수사심리학의 시작점에 있는 프로파일링이 결코 경험 많은 수사관의 직관에 의한 것이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다. 제2부(제5~10장)는 수사심리학의 기본 이론들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제5장에서 분화도(Radex)라 이름 붙인 모형을 통해 범죄의 유형화와 범주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제6장에서 범죄자의 행위에 대해 심리학적으로 접근하여, 범죄자가 범죄를 실행하게 되는 심리적 원인 유형을 네 가지 서사 형태로 분류하고 있다. 범죄자들이 스스로를 피해자로서, 전문가로서, 영웅적인 행위자로서, 보복의 주체로서 이해하는 범죄자의 내적 서사 유형을 제시하면서, 이러한 내적 서사가 범죄행위의 대상, 즉 피해자와의 관계를 규정하게 된다는 점을 함께 보여 준다. 제7장에서는 이러한 내적 서사에 내재된 범죄자들의 심리적 과정과 이로부터 표출되는 각 범죄자들의 현저한 행위적 특성을 탐색하여 행위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현저성은 범죄 유형에 따른 전형성과 특정 행동이 행해지는 빈도, 상황적 요인들 그리고 범죄자와 피해자 간 상호작용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수사관이 범죄 현장에서 이러한 요소들을 찾아내고 범죄자의 특성을 추리하는 과정을 진행해야 한다고 저자들은 이야기한다. 이러한 범죄자의 행위에 대한 특성 탐색에 이어서, 제8장에서는 지리적 범죄심리학, 제9장에서는 수사 정보의 취득과 분석, 제10장에서는 범죄자 또는 목격자 신문과 관련된 다양한 면담기법 및 거짓 탐지 등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법과 체계적인 분류법을 소개하여 범죄별 및 각 범죄의 유형과 방식에 대한 특성 이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3부(제11장에서 제15장)에서는 제2부의 기본 원리에서 제시한 다양한 원리적 측면에서의 범죄 행위적 특성(현저성)과 범죄자의 심리 특성을 통해 재물범죄, 성범죄, 살인, 조직범죄 그리고 테러를 분석하고 추리과정에서 착안해야 할 요점들을 이야기해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16장에서는 수사심리학의 보다 폭넓은 기여 분야 및 가능성과 함께 양적 및 질적인 확장 방향을 제시해 준다. 

목차

역자 서문
서문

제1부 수사심리학으로의 길: 범죄자 프로파일링으로부터 수사심리학의 출현

제1장 수사심리학 소개
제2장 토대: 기술과 분류
제3장 정보를 가진 형사의 등장
제4장 프로파일링의 시대와 수사심리학을 향한 길

제2부 기본 원리: 범죄 행위 연구 및 범죄자에 대한 추리를 위한 모형틀

제5장 범죄성의 분화도
제6장 범죄의 개인적 서사
제7장 행위 패턴의 발견과 프로파일 구성
제8장 지리적 범죄 심리학
제9장 수사 정보
제10장 용의자 면담 및 거짓 탐지

제3부 범죄 행위 프로파일링: 범행 모형과 수사심리학의 적용

제11장 소유욕구 범죄
제12장 성범죄
제13장 살인
제14장 조직범죄
제15장 테러
제16장 수사심리학의 실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David Victor Canter</b>

영국 허더즈필드 대학교(University of Huddersfield) 심리학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국제 수사심리 연구센터(International Research Centre for Investigative Psychology)를 설립하였다. 2018년 동 대학을 퇴직하고, 현재는 리버풀 대학교(University of Liverpool)의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수사심리학의 창설자로 알려져 있으며, 응용심리 분야에서 수사와 관련된 다양한 측면을 종합하여 반영한 범죄자 프로파일링의 발전에 기여하여 왔다. Canter 교수의 수사심리학 연구는 앞서 참여하였던 환경심리학과 인간 행동에 대한 연구 업적들이 기반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련 분야에 대하여 약 40여 권의 전문 서적을 집필하였으며, 300여 편이 넘는 학술 논문을 발표하였다. 또한 200여 건의 경찰수사 단계 및 법정심리 과정에 전문가로서 기여하였다.



<b>Donna Youngs</b>

영국 킹스턴 대학교(Kingston University London)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허더즈필드 대학교 재직 중에는 공저자 Canter 교수와 함께 국제 수사심리 연구센터에서 부책임자로 활동하였다. 수사심리학자이자 인간 행동 분석 프로파일러로서 관련 분야에 대한 6종의 서적을 포함하여 75건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또한 BBC, Channel 4, CBS 등에서 제작한 20여 개의 다큐멘터리와 드라마 및 Netflix 영화 등에서 패널 또는 전문가 자문 역할로 참여하기도 하였다. 그는 스스로 밝힌 것처럼, 인간 행동과 이와 관련된 인간 서사의 바탕을 이루는 심리적 및 사회적 상관성을 모형화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역자 소개

강 선

경찰대학교를 졸업하고 경찰관으로 재직하였다. 재직 중 범죄심리학을 공부하여 경기대학교에서 「사건에 대한 장기기억에서 역순회상의 인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퇴직 후 경찰대학교, 경기대학교, 수원대학교 등에서 학생들과 만났으며, 현재는 수원과학대학교에서 경찰을 꿈꾸는 학생들과 함께하고 있다.



김시업

고려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범죄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한국 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회장, 한국 수사심리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범죄 및 일탈 심리와 관련하여 인지면담, 진술분석, 행동분석 등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