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과 성장
저자 : 문봉규, 강향숙, 박상규
페이지 : 232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5,000원
  • 978-89-997-2817-4 93180
  • 2023-01-20
  • 신국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알코올 중독으로부터 단주하고 있는 사람들, 그리고 가족들을 위해 쓰였다. 또한 회복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싶은 전문가, 알코올 중독을 경험하지는 않았지만 진정한 어른으로 살아가고 싶은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이 책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Part 1 중독과 회복에서는 중독과 회복에 대한 우리의 의견을 제시한다, 술을 마시지 않는 단주에 초점을 두지 않고 한 인간의 성장 과정으로서의 회복을 주장하고 있다. Part 2 회복의 여정에서는 누구나 회복할 수 있다는 희망과 자신감을 보여 주고, 그 과정을 안내하고 있다. 회복 과정에서의 다양한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고 나아갈 수 있는 실천의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회복을 통한 전화위복의 삶이 주는 즐거움을 공유하고자 한다. Part 3 회복의 동행에서는 혼자가 아닌 함께 가는 회복의 여정에서 가족, 전문가, 회복 동료가 어떠한 태도를 가져야 할지를 제안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Part 1 중독과 회복

1. 중독은 성장을 멈춘 삶이다
중독된 삶에는 자기 자신이 없다 / 중독된 이는 어린아이의 모습과 같다

2. 회복은 진정한 어른이 되어 가는 것이다
술을 끊는 것은 단지 회복의 출발선에 서는 것일 뿐이다 / 스스로 선택하고 책임지는 것이다 / 자기 역할을 하는 것이다 / 독립적인 삶을 사는 것이다 / 이타적인 삶을 사는 것이다 / 인간의 도리를 알고 행하는 영적인 삶이다 / 건강하고 성숙한 관계를 맺는 것이다

Part 2 회복의 여정

3. 회복의 출발
회복은 가능하다 / 회복을 통해 전화위복의 삶을 살 수 있다 / 회복의 여정은 자신만의 길이다

4. 회복의 과정
단주: 중독이라는 구덩이를 기어오르다 / 회복 초기: 술 없는 낯선 세상에서 숨을 고르다 / 회복 안정기: 꽃도 보고 바람도 느끼다 / 성장: 내 앞에 펼쳐진 길에 나의 두 발을 내딛다

5. 회복 과정의 장애물
금단 증상 / 망가진 몸 / 감정처리의 미숙함 / 열등감으로 인한 과도한 불안과 두려움 / 왜곡된 사고와 피해의식 / 인간관계의 어려움 / 미숙함에서 오는 좌절 / 사라진 자리, 사라진 존재감 / 욕심과 조급함, 과도한 기대와 독촉 / 부적절한 자신감이나 우월감 그리고 교만 / 불평불만 / 권태 / 게으름 / 낙인과 차별

6. 회복을 위한 노력
AA에 참석하고 12단계를 생활화하라 / 도움을 요청하고 겸손하게 배우라 / 자신을 성찰하라 / 회복 중인 중독자임을 기억하라 / 회복 중인 중독자라는 주홍글씨를 받아들여라 / 단주에 감사하고 행복을 위해 노력하라 / 금단 증상의 극복과 신체적 건강을 위해 힘써라 / 감정을 적절히 표현하라 / 봉사를 실천하라 / 스트레스를 관리하라 / 새로움에 도전하고 삶을 다양화하라 / 좋은 관계를 만들고 유지하기 위하여 배우고 애쓰라 / 자립하기 위하여 돈을 벌으라 / 전문가를 만나 도움을 받으라 / 시간이 필요함을 인정하고 꾸준히 실천하라

7. 회복의 즐거움
맑은 정신의 즐거움 / 맑은 몸의 즐거움 / 자신을 알고, 자신으로 살아가는 즐거움 / 더불어 살아가는 즐거움 / 성장하는 즐거움

Part 3 회복의 동행

8. 가족이 기억할 것
잔소리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 그 사람이 회복 중인 중독자임을 잊지 말라 / 과거를 현재로 끌어오지 않아야 한다 / 지금까지와 다르게 사는 법을 배우라

9. 돕고자 하는 마음을 가진 회복 동료가 기억할 것
다른 이의 경험을 인정하라 / 다른 이를 돕는 일은 자신의 회복을 위한 것임을 잊지 말라 / 자신이 회복하는 만큼 다른 이의 회복을 도울 수 있음을 기억하라 / 전문가로서 일하고자 한다면 전문가가 되라

10. 전문가가 기억할 것
단주는 칭찬의 대상도, 비난의 대상도 아니다 / 회복의 단계를 이해하고 회복 단계에 맞는 전문가의 태도를 보이라 / 전문가로서 그리고 한 인간으로서 계속 성장하라

참고문헌

저자 소개

<b>문봉규</b>

현재 문경, 회복아카데미의 대표이며, 중독전문가 1급, 중독심리전문가, 중독수련감독급 전문상담사로 중독자와 가족에 대한 임상실천과 함께 중독전문가 양성을 위한 다양한 교육훈련을 수행하고 있다. 『알코올 중독자, 내 안의 또 다른 나』(공저, 학지사, 2019), 『마약류 중독의 이해와 치료』(공저, 학지사, 2021) 등을 저술하였다. 회정알코올클리닉 상담실장과 회정치료공동체 대표,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대우교수, 한국중독심리학회 이사, 한국중독전문가협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b>강향숙</b>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남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글로벌중독재활상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재 정신재활시설 비타민 운영위원장,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중독분과학회장이다.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청소년상담사, 중독심리전문가, 중독전문가로 회정치료공동체와 서울까리따스알코올상담센터 등에서 중독자와 가족들을 만나 왔다. 『중독영역에서의 슈퍼비전』(공역, 학지사, 2009), 『가족복지론』(공저, 학지사, 2015), 『아동상담』(공저, 파워북, 2017), 『중독가정을 위한 긍정훈육』(공역, 학지사, 2018), 『알코올 중독자, 내 안의 또 나른 나』(공저, 학지사, 2019), 『마약류 중독의 이해와 치료』(공저, 학지사, 2021), 『아들러 정신병리와 심리치료』(공역, 학지사, 2021) 등을 저술하였다.



<b>박상규</b>

현재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상담심리학과 명예교수이며, 박상규심리상담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임상심리학회 종신회원으로,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전문상담사 1급, 중독심리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2005년부터 지금까지 꽃동네치료공동체에서 회복 중인 알코올 중독자와 동반하고 있다. 『마음챙김과 행복』(학지사, 2022), 『임상심리학』(공저, 학지사, 2022), 『행복수업』(학지사, 2020), 『숲치료 이야기』(공저, 학지사, 2020), 『알코올 중독자, 내 안의 또 나른 나』(공저, 학지사, 2019), 『스마트폰에 빠진 우리 아이 구출하기』(학지사, 2019), 『중독상담학 개론』(공저, 학지사, 2018), 『중독의 이해와 실제』(2판, 공저, 학지사, 2017), 『중독과 마음챙김』(학지사, 2016) 등을 저술하였다. 한국중독상담학회 회장, 한국중독심리학회 회장, 경찰청 마약류범죄수사 자문위원,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 이사장, 세종충북도박문제예방치유센터 운영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