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융 학파의 꿈 해석 매뉴얼
저자 : James A. Hall | 역자 : 이창일
페이지 : 224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15,000원
  • 978-89-997-2786-3 93180
  • 2023-01-20
  • 신국판
  • 반양장

내용

저자는 융 심리학과 치료의 방향이 그렇듯이, 꿈이 점차로 성장하고 발달해 가는 인간 삶의 목적에 유용한 자원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일상을 사는 깨어 있는 자아가 세상에 정해진 길, 주로 남들이 만들어 놓은 길을 따라 살면서 협소해진 인식으로 인해 신경증이 유발되지 않기 위해서는, 꿈속 자아가 경험하는 무의식의 세계에 대한 이야기가 통합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래서 자신이 스스로 자신의 길을 만들어 가고, 삶 전체의 서판 위에 꿈에서 경험한 무의식의 이야기와 일상의 이야기를 합해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고 그림을 그려 나가는, 그렇게 해서 세상에 둘도 없는 너의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는 아무도 가지 않은 길을 스스로 내어 앞으로 나가는 개성화의 길이다. 꿈은 그래서 나를 성장시켜 주는 친구와 같다. 깨어 있는 자아와 짝이 되어 나에게 길을 안내해 준다. 저자는 이런 꿈을 현명하지만 편파적이지 않은 친구로 불렀다. 하지만 꿈은 여전히 자신을 분명하게 드러내지 않는다. 다만, 늘 신비하게 내 주위에 머물면서 나를 끌어당겨 주고, 나에게 해를 끼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주는 존재다. 제임스 홀 박사의 이 책이 독자들에게 꿈의 이해를 위한 뜻깊은 길잡이가 되기를 바라며, 또 하나의 친구가 되어 개성화의 길을 가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원한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01 융 심리학의 기초개념
일반적 구조
개인 정신과 객관 정신 사이의 관계
콤플렉스와 원형
정체성 구조: 자아와 그림자
관계 구조: 아니마, 아니무스, 페르소나
개성화 과정

02 꿈의 본성
보상으로서의 꿈
꿈 해석 이외의 꿈 이용 방법
꿈 해석과 이미지 기법
자아 정체성과 콤플렉스들의 구조

03 꿈에 대한 접근
이미지의 확충
꿈의 맥락

04 꿈-진단 도구
분석 초기의 꿈
연속되는 꿈의 관련 이미지
감별진단
-우울증
-불안
-신병
-신체 문제
-죽음에 대한 꿈

05 기법에 대한 질문
전이와 역전이
분석 중 약물 처방
환원적 분석 또는 미래지향적 분석
‘충격받은 자아’와 꿈
해석의 지연과 해석이 필요 없는 상황
집단치료와 개인치료의 병행

06 꿈속의 자아 이미지와 콤플렉스
콤플렉스의 식별
구조 전환: 접경과 경계
관계 구조와 정체성 구조
-페르소나
-그림자
-아니마와 아니무스
-진아, 자아-진아의 축
-원형적 확충

07 평범한 꿈의 주제
근친상간
애도

자동차
술과 약
죽음


08 꿈의 틀
꿈속의 꿈
있는 그대로의 실재에 대한 꿈
시간과 공간의 기준
동시성적 현상

09 연금술의 상징
꿈에 나타난 연금술의 주제
융합: 합일의 이미지

10 꿈과 개성화
신경증의 본성
자아의 상대화
개성화하는 자아
꿈속 자아와 깨어 있는 자아
초점을 맞춘 앎과 암묵적 앎

11 꿈 해석의 두 긴장 관계
객관적인 것과 주관적인 것
개인적인 것과 원형적인 것

12 간략한 정리
융 심리학 중요 개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b>제임스 A. 홀 박사(James A. Hall, M.D., 1934~2013)</b>

텍사스 사우스웨스턴 의과대학(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School: UTSW)과 취리히의 융 연구소에서 수학하고 같은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면서 심리치료와 융 학파 분석가로 활동하였다.

미국 융 학파 분석가 협의회(Congress of the American Societies of Jungian Analysts)를 결성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대학에서 교육을 하면서도 텍사스 댈러스 지역에서 융 학파의 치료 관점을 견지하는 심리치료와 정신위생 분야의 여러 단체를 만들어서 왕성한 활동을 하였다.

주요 저서는 『꿈의 임상적 사용(Clinical Uses of Dreams)』, 『무의식적으로는 기독교인(The Unconscious Christian)』, 『최면, 삶에 잠겨(Hypnosis, and Locked in to Life)』 등이 있다. 정신과 의사의 엄격한 합리성을 가지고 삶을 살았지만, 특이하게도 미국 마술사 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Magicians)가 수여하는 멀린 훈장(Order of Merlin)을 받기도 하였다. 또한 초상 심리학에 대한 관심이 커서 초상 심리학의 개척자인 라인 박사의 이름을 딴 J. B. 라인 재단(J. B. Rhine Foundation)의 이사로 재직하기도 하였다.

58세에 뇌졸중으로 쓰러진 이후 22년간 잠금 증후군(locked-in syndrome, 의식은 있으나 전신마비로 인해 외부 자극에 반응하지 못하는 상태)으로 고생하다가 2013년 1월 22일 생을 마감하였다. 몸을 쓰지 못하는 동안에도 시작(詩作) 활동을 하면서 투철한 융 학파 분석가답게 개성화의 길을 멈추지 않았다.

역자 소개

<b>이창일</b>

한국학중앙연구원 철학 박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심리학 박사

현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nbsp;&nbsp;&nbsp;&nbsp;&nbsp;한국주역학회 부회장

관심 연구 주제: 동아시아의 철학과 심리학적 유산에 대한 현대적 해석



<주요 저서 및 역서>

수치(저, 추수밭, 2021)

융의 적극적 명상(공역, 학지사, 2020)

까르마에토스 성격유형학(저, 하나의학사, 2019)

주역점쾌(저, 연암서가, 2016)

자연의 해석과 정신(역, 연암서가, 2015)

주역, 인간의 법칙(저, 위즈덤하우스, 2011)

정말 궁금한 예절 53가지(저, 위즈덤하우스, 2008) 등

알림

X

알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