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검색
MY
심리학에서 찾는 한민족 평화재통일의 길
'여유로운 신국가론' 구상
저자 : 채정민
페이지 : 376p
  • 가격
  • ISBN
  • 발행일
  • 판형
  • 제본
  • 수량
  • 20,000원
  • 978-89-997-2681-1 93180
  • 2022-04-25
  • 크라운판
  • 반양장

내용

이 책은 새로운 재통일방식을 심리학자로서 제시한다는 점에서 기존 심리학자들의 접근과는 다르다. 기존 심리학자들은 주로 이미 발생하여 존재하는 심리적 현상에 대해서만 과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나 이러한 접근으로는 한민족 재통일에 대해서 기여할 수 있는 공간이 크지 않다. 서울대학교의 차재호 교수도 스키너(B. F. Skinner)의 문화 설계적 관점을 이어받아 한국에서의 문화설계 심리학을 제시한 바가 있기에, 저자는 우리의 재통일 문제에 대해서도 이러한 관점을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심리학적 관점에서 평화재통일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목차

저자 서문

제1부 재통일과 심리학의 이해

제1장 새로운 재통일 패러다임의 필요성
1. 재통일 문제, 제대로 다루고 있는가
2. 초단편소설
3. 재통일 분야에 관한 심리학 성과 체계화
4. 반성과 전환
5. 여유로운 신국가론의 제안
6. 재통일 현상에 대한 이해
7. 재통일 현상에 대한 심리학적 해결 과제
8. 한민족 재통일의 심리학적 해결 과제

제2장 한민족 재통일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방식
1. 심리학적 접근을 위한 모형
2. 접근 방식의 차원
3. 이론화

제3장 한민족 재통일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 방법
1. 한민족 재통일에 대한 심리 측정과 연구의 문제 극복 방안
2.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의 근본적 문제 해결
3. 한민족 재통일에 대한 심리검사 개발을 위한 방향
4. 정신질환 진단기준 마련
5. 북한주민에 대한 심리학적 개입 방안 마련
6. 남북한 양측 주민 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와 개입 방안 마련

제2부 재통일 심리 이론화

제4장 재통일 전후 개인 심리의 중요성
1. 재통일이 가진 심리적 함의

제5장 재통일 전후의 개인 심리 이론화
1. 개인 심리 이론화
2. 자기정체성 재형성
3. 가치관과 도덕관 재형성
4. 성격 변화
5. 사회적 추론과 판단, 귀인 양식의 작용
6. 상대적 박탈감 경험
7. 목표 설정과 동기 변화
8. 개인 네트워크 변화와 대인관계 변화
9. 공산권 출신자의 신경증
10. 입장 변화에 따른 인지부조화 현상
11. 구조적 실업 경험
12. 과거 그리워하기 현상
13. 무관심 현상

제6장 재통일 전후의 집단 심리 이론화
1. 남북한 양측 출신자의 상호 인식과 행동
2. 재통일 시대의 집단갈등
3. 6·25전쟁 경험과 적대관계 교육의 영향
4. 희생양 찾기 현상과 이민족 공격 행동
5. 조직 내 심리적 문제

제7장 재통일 전후 전체 공동체 수준의 심리 이론화
1. 공동체 형성
2. 성장 불균형과 지역 편중화 현상

제3부 재통일 심리의 적용

제8장 현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 간 연구 결과의 재통일 진행과정에의 적용 가능성
1. 북한이탈주민과 북한주민
2. 재통일 진행 과정에의 적용 가능성

제4부 맺음말

제9장 결론 및 미래 방향

참고문헌



저자 소개

<b>채정민</b>

고려대학교 심리학박사(문화심리학 전공)

현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부교수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정책자문위원장



<경력>

육군사관학교 심리학과 전임강사 역임

제일기획 마케터 역임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부회장 역임

북한이탈주민학회 부회장 역임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연구소장 역임

행정고시, 외무고시, 7급 공무원, 9급 공무원 시험 출제위원 역임



<주요 저·역서>

채정민(2014). 한국인 상담과 심리치료를 위한 문화심리학. 경기: 교문사.

채정민 외 공역(2021). 재난 대비 안전심리학. 서울: 학지사.

채정민 외 공역(2013). 심리학과 삶. 서울: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채정민 외 공역(1996). 외상후스트레스 장애의 통합적 이해. 서울: 하나의학사. 외 논문 다수

알림

X

알림

X